TOP

검색결과

고급검색

고급 검색

Total 6662

KUBS Holds Entrance Ceremony for the 106th Class of the MSP Cohort

2025.04.25 Views 90

“Doing Better by Being Different” – KUBS Holds Entrance Ceremony for the 106th Class of the MSP Cohort      On Friday, April 18, the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held the entrance ceremony and orientation for the 106th cohort of the Management Studies Program (MSP) at Ahn Young-Il Hall, located on the 6th floor of the LG-POSCO Hall. A total of eight new students joined the 106th cohort, embarking on a new journey of learning and growth together. MSP is a Mini MBA program tailored for young leaders, aiming to strengthen their strategic thinking and practical capabilities.      In his welcome address, Dean Eonsoo Kim of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emphasized, “At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under the philosophy of ‘Doing Better by Being Different,’ we aim to nurture leaders who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education.” He added, “You will cultivate the insight to navigate today’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rough the framework of 3C — Curiosity, Collaboration, and Contribution — and 4Tech —  AI, Semiconductors, Robotics, and Energy.”      Professor Seokkyun Kim, Academic Director of MSP, introduced the curriculum, faculty, and student activities, highlighting MSP’s unique strengths not only in academic excellence but also in fostering a broad and influential professional network. In his congratulatory remarks, Alumni Association President Hwan-gi Son said, “The passion and effort you dedicate over the next six months will surely become invaluable assets for your future,” and added, “It is a great honor to learn from top-tier faculty, and I look forward to the lasting connections that will be formed under the name of ‘alumni.’”      Following the speeches, the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of the Alumni Association presented flower bouquets to the new students. The ceremony concluded with a rendition of the Korea University school song and a commemorative group photo.      Launched in 1963, the Management Studies Program (MSP) is Korea’s leading executive education program, boasting a tradition of over 60 years. It attracts mid- to senior-level executives, public sector leaders, and professionals from a wide range of industries.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remains committed to delivering relevant and impactful business education that responds to the evolving demands of society. 

KUBS Signs MoU with Carnegie Mellon University’s Tepper School of Business

2025.04.18 Views 460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Signs MoU with Carnegie Mellon University’s Tepper School of Busines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Friday, April 4,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UB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the Tepper School of Business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he signing ceremony took place at the Dean’s Office,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KUBS main building.  This in-person ceremony was made possible by the visit of Professor Isabelle Bajeux-Besnainou, Dean of the Tepper School of Business, to Korea University. Representing KUBS were Dean Eonsoo Kim, Associate Dean Gangseog Ryu, and Associate Dean Byung Cho Kim. The two institutions shared their vision and explored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Under the MoU, the two schools agreed to collaborate in the following areas:  ▲ faculty exchange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 exchange programs,  ▲ join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urses within degree programs, and  ▲ coop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new degree programs and curricula.      Following the signing, Dean Kim and Dean Bajeux-Besnainou participated in a commemorative photo session and exchanged gifts symbolizing their respective institutions.  Dean Eonsoo Kim stated, “Partnering with the Tepper School of Business—one of the world’s leading business schools—will be a meaningful step toward expanding KUBS’s global network. We will actively work to ensure this partnership leads to tangible exchanges and outcomes.”  Through this agreement, KUBS aims to further enhance its global competitiveness in education and research, and to solidify its position as a leading business school dedicated to nurturing global leaders.      The Tepper School of Business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is widely recognized for its data-driven approach to business education. Most recently, it ranked 6th in the 2025 U.S. News & World Report for undergraduate business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reaffirming its excellence and reputation. 

Entrepreneurship Academy Lecture by Jung Dohwan, Co-CEO of CRYCHEESEBURGER 

2025.04.17 Views 290

“Brands Are Ultimately Built by People” – Entrepreneurship Academy Lecture by Jung Dohwan, Co-CEO of CRYCHEESEBURGER      A special lecture organized by the Startup Station at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took place on Tuesday, April 8, at The STAGE on the second floor of the Main Building. Under the theme “Launching and Operating an F&B Brand,” the lecture was delivered by Jung Dohwan, Co-CEO of CRYCHEESEBURGER, a handcrafted burger brand, who shared practical insights into entrepreneurship and brand management.      Jung opened the lecture by explaining what led him to enter the F&B industry, emphasizing its systems-oriented nature and the appeal of offline business. “F&B is a field where you can gain hands-on experience in every aspect of business, from logistics and product development to marketing and customer experience,” he said. “Its biggest advantage is the ability to rapidly test and implement hypotheses in real time.”    He then shared the brand philosophy behind CRYCHEESEBURGER. As a casual dining brand, CRYCHEESEBURGER centers its core value on “delivering a satisfying dining experience at a reasonable price.” Jung emphasized, “What sets a brand apart is offering products and experiences that match its positioning,” and added,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be honest with your customers.”    He also shared practical lessons from his journey as a founder and operator. “While having an efficient business strategy is important, the essence of any business ultimately lies in people,” he said. “What matters most is having teammates you can trust—those who are willing to climb the mountain with you.” On leadership, he noted, “The most effective way to motivate your team is by leading through example,” adding, “Never forget that, in the end, every leader is judged by their results.”      Toward the end of the lecture, a Q&A session was held with Korea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to launch their own startups. Jung encouraged them, saying, “Don’t trap yourself in a narrow mold—take charge of your life and career, and carve out your own path.” He reiterat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broad and open perspective.    CRYCHEESEBURGER is a Korea-based handcrafted burger brand that launched its first store in Bucheon in 2013 and currently operates seven company-owned locations throughou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ung Dohwan, who formerly served as an investment professional at Fast Ventures, supported the growth of numerous startups. He now leads the company as an F&B executive, putting into practice a distinctive branding strategy. 

KUBS KULSOM Advances to Global Student Challenge Final with 5th Place Worldwide in Preliminary Round

2025.04.16 Views 311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s KULSOM Advances to Global Student Challenge Final with 5th Place Worldwide in Preliminary Round      KULSOM (Korea University Logistics, Service and Operations Management), a student academic society at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has advanced to the Final Round of the Global Student Challenge (GSC), a prestigious international supply chain management competition. Representing South Korea after winning the national S&OP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competition, KULSOM placed 5th among 143 teams worldwide in the preliminary round.    KULSOM is composed of students interested in LSOM (Logistics, Service and Operations Management), a discipline within business administration. KULSOM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s based on its academic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supply chain and operations strategy. In this event, the team competed under the name “KULSOM” along with Korea University’s official logo, further enhancing the university’s presence on the global stage.    Professor Hyun Seok Lee, academic director and LSOM professor, remarked, “This outstanding achievement reflects the students’ passion and hard work. It is a source of great pride to see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s strengths once again recognized on the global stage.”      The GSC is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hosted by Inchainge, a supply chain education institution based in the Netherlands. It brings together university students from around the world who specialize in supply chain and operations management to compete through strategic simulations modeled after real-world business scenarios.    KULSOM is now making thorough preparations for the Final Round, aiming to deliver another strong performance and take another leap forward on the global stage. 

MSBA Meets Industry: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Signs MOU with Hyundai GF Holdings 

2025.04.16 Views 379

MSBA Meets Industry: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Signs MOU with Hyundai GF Holdings      On Tuesday, April 15,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UB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Hyundai GF Holdings Co., Ltd. to launch the 2025 Capstone Project for its MSBA (Master of Science in Business Analytics) program.    Attending on behalf of KUBS were △Dean Eonsoo Kim, △Associate Dean Byung Cho Kim, △Director of the Center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Business (CDTB) Kyung Sam Park, and △Jeunghyun Kim, academic director of the BA program. Hyundai GF Holdings was represented by Executive Vice President Sungil Kim and three other senior executives.      The event began with a tea reception, followed by the official signing of the MOU and a commemorative group photo. Both institutions expressed their commitment to establishing a practical and sustainabl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Dean Eonsoo Kim stated, “The Capstone Project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fer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solve real-world problems while providing companies with creative, data-driven solutions.”    Executive Vice President Sungil Kim commented, “I hope today’s agreement marks the beginning of a productive partnership through close collabo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leading to mutual growth for both students and the company.”      Following the agreement, MSBA students will engage in team projects tackling real-world challenges provided by the company, thereby strengthening their practical data analysis skills and gaining valuable hands-on experience.    KUBS remains committed to cultivating industry-ready professionals equipped with data-driven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ongoing collaboration with corporate partners. 

With Love for the Mountains… PeaKMBA Donates to Wildfire Affected Areas

2025.04.16 Views 351

With Love for the Mountains… PeaKMBA Donates to Wildfire Affected Areas      PeaKMBA, a hiking club composed of students from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orea MBA (hereinafter K-MBA) program, has donated funds to the Korean Red Cross to support recovery efforts in wildfire-affected areas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e donation was made via bank transfer to the Korean Red Cross on Thursday, April 3, under the name of PeaKMBA. A total of 80 K-MBA students participated, raising a total of KRW 4.2 million. The initiative was proposed b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24th cohort and carried out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ver five days via the club’s group KakaoTalk chatroom.    The PeaKMBA executive committee of the 24th cohort shared, “When we heard that wildfires had devastated forests equivalent to 90% of Seoul’s area, as mountain lovers, we couldn’t just sit idly by,” explaining the motivation behind the donation. They added, “It may be a small act, but we’re proud to have done something meaningful. Go PeaKMBA!”    PeaKMBA noted that this donation is just the beginning, as they plan to take part in on-site volunteer work for forest restoration in the near future—further demonstrating their commitment through sustained, hands-on action.    Meanwhile, PeaKMBA, a community of mountain enthusiasts, continues its vibrant activities under the slogan “Let’s Play in the Mountains,” holding monthly group hikes and an annual trek across Jirisan. 

CEMS MIM Ranks 10th Globally in 2025 QS Master in Management Rankings … Korea University Business Sc

2025.04.11 Views 429

CEMS MIM Ranks 10th Globally in 2025 QS Master in Management Rankings …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Demonstrates Prestige as the Only CEMS Member in Korea      The CEMS Master in International Management (MIM) program, in which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UBS) participates as a full academic member, has once again proven its global excellence by ranking 10th out of 206 programs worldwide in the 2025 QS Master in Management Rankings.    The ranking was released by QS (Quacquarelli Symonds), a leading global higher education evaluator. CEMS MIM rose one spot from last year’s 11th place to rank 10th, placing it within the top 4.8% worldwide. The program received an impressive overall score of 90.5 out of 100.    CEM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global average across all evaluation categories, particularly in ‘Value for Money’, where it scored an outstanding 97.3 points—far exceeding the global average of 61.3. It also received high marks in several other key areas: Thought Leadership – 86.5 (global average: 50.6), Employability – 86.4 (global average: 50.1), Alumni Outcomes – 83.7 (global average: 49.9), and Diversity (class and faculty) – 84.6 (global average: 64.8). Moving forward,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plans to continue taking the lead in cultivating the next generation of global business leaders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its international partners.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UBS) became a full academic member of CEMS in 2015 and remains the only member institution in Korea. CEMS is an exclusive global alliance of leading business schools, allowing only one institution per country to join. The alliance currently consists of 33 top universities from 33 countries and more than 70 global corporate partners.    Applications for the CEMS Global MIM program are now open and will close at 5:00 PM on Friday, April 18. For inquiries regarding admissions and applications, please contact the administrative office at +82-2-3290-5365.    ▶ [CEMS G-MIM Admission Guide (Click)]   ▶ [Apply for CEMS G-MIM (Click)] 

안녕하세요, 2024학년도 2학기에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Copenhagen Business School(CBS)로 교환학생을 다녀온 2021120135 조유빈입니다. 교환학생을 고려 중이시거나 파견을 앞두고 계신 분들께 제 경험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특히 CBS로 교환을 앞두신 분들에게는 이 글을 참고하시어 풍부한 교환 생활을 만드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1) 수강신청 및 수업: 교환교 수강신청 방식 - 수강신청 - CBS는 고려대학교처럼 16주 동안 한 학기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1년이 두 개의 학기, 그리고 한 학기 당 두 개의 쿼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업은 한 쿼터짜리도 있고, 한 semester짜리 수업도 있습니다. 수강신청을 할 때 강의계획표에 나와 있는 쿼터를 확인해 학업 계획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1쿼터 수업 2개, 2쿼터 수업 하나, 한 학기 짜리 수업 하나를 수강하였습니다. 필요에 따라 첫 쿼터에 수업을 몰아 듣고 두번째 쿼터에는 수업 없이 자유롭게 여행하실 수도 있으나 수업 난이도가 높지 않고 출결을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그러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 수강신청은 파견 몇 달 전 학교에서 메일로 방법을 알려주기 때문에 그대로 따르시면 됩니다. 한국처럼 티켓팅 하듯 수신을 하는 게 아니라 듣고 싶은 강의와 대체할 후보 몇 개를 학교 측에 보내면 알아서 배정해주는 방식입니다. 이때 시간표를 모르는 채로 신청하게 되고, 나중에 시간표가 나왔을 때 수업이 많이 겹치면 그때 다시 정정을 해야 합니다. 정정이 어렵지 않고, 어차피 정정할 일이 생기기 때문에 처음에는 큰 부담 없이 듣고 싶은 과목 위주로 일단 신청하시면 됩니다. - CBS는 온라인 수업이 꽤 있습니다. 저는 일부러 두 과목은 온라인 강의로 신청해 길지 않은 교환학기를 알차게 보내고자 노력했습니다. - 수업: 저는 총 4과목을 수강하였고, 모두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았습니다. 4과목 모두 평가 방식은 팀플, 과제, 출결, 시험 하나 없이 written essay 로만 성적이 산출됐습니다. 저는 시험을 피하고 싶어서 일부러 해당 과목들만 골랐고 결과적으로 학업 부담 없이 즐겁게 생활할 수 있었습니다. 패스 받는 것이 결코 어렵지 않으니 저처럼 학업 부담을 피하고 싶은 분들은 평가 방식을 잘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Google, Uber, Amazon: The Management of Platform Business: 첫번째 쿼터 수업이고, 대면 수업입니다. - Brand Management: 첫번째 쿼터 수업이고, 비대면 수업입니다. - Visual Communication: 한 학기 짜리 수업이고, 대면 수업입니다. - Consumer Behavior: 두번째 쿼터 수업이고, 비대면 수업입니다. 참고로 두번째 쿼터 강의의 시험기간은 1월인데, 모든 기숙사는 12월 안에 계약이 만료됩니다. 저는 에세이만 제출하면 돼서 귀국 후 시험을 봤지만, 혹시 시험을 대면으로 봐야 하는데 머물 집이 없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해당 사항 꼭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기숙사: a) 교환교로부터의 기숙사 정보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의 내용 - 신청 절차 - 기숙사는 학교 메일의 안내에 따라 진행됩니다.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어떤 기숙사에 가고싶은지 생각해보시고, 신청 기간이 되면 1순위부터 5순위까지 입력해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때 small room과 large room을 골라야 하는데, 일괄적으로 5개의 기숙사에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기숙사별로 방 크기를 정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저는 small room, 1순위 기숙사로 tietgen을 선택했고 해당 기숙사에 배정받았습니다. (배정 결과 또한 이메일로 안내받습니다.) 저는 운이 좋게 1순위 기숙사에 배정받았지만 배정은 거의 랜덤에 가깝습니다. 학교에서는 기숙사 신청 기간 중 아무때나 등록하면 된다고 안내해주지만, 저는 오픈 시간에 딱 맞춰서 신청했는데 이게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러니 미리 생각해두시고 최대한 빠르게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기숙사 정보 - 제가 지낸 Tietgenkollegiet은 세계적으로 아름답기로 유명한 기숙사입니다. 11명의 덴마크인, 2명의 교환학생이 한 주방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이고 각 방에 개인 화장실이 있습니다. 신청할 때까지만 해도 덴마크 사람들과 사는 것에 큰 불편함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일단 덴마크 친구들은 주로 덴마크어로 대화하고, 교환학생이 아닌 정규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들이기 때문에 생활 면에 있어 공통점이 적었습니다. 키친 사람들이 누구냐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제가 살았던 키친 친구들은 그들끼리 유대감이 너무 크고 제가 있을 때에도 덴마크어를 쓸 때가 많아서 짐을 빼는 날까지 정을 붙이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4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덴마크 문화를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가는 점도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덴마크어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덴마크인들과 친구를 맺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기숙사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 유명한 기숙사인만큼 방이 넓고 쾌적하며 공용 주방도 타 기숙사대비 훨씬 잘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은 Tietgen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b) 외부 숙소 정보 - 학교를 통해 기숙사를 배정받지 못하면 외부 기숙사를 신청하거나 Private Housing 시스템을 이용하면 됩니다. 이럴 경우 학교를 통해 사설 기숙사를 추천받거나 private housing을 연결해주는 정도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설 기숙사의 경우 Umeus나 Basecamp 등이 있는데, 방 크기에 비해 월세가 비싸고 보증금을 잘 안 돌려주기 때문에 웬만하면 학교 기숙사를 배정받으시기 바라요. Private Housing의 경우 CBS 본교 학생 중 같은 시기에 교환학생으로 집을 비우는 학생의 방을 단기로 거주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집주인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덴마크 현지인의 집에 살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숙사가 아니다보니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생활 및 기타 a) KUBS BUDDY 와 같은 교환학생 도우미 프로그램 존재여부 - 버디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본교 학생과 교환학생이 일대 일로 매칭되며, 버디가 공항까지 데리러 나오고 기숙사 키도 먼저 받아주기 때문에 버디를 못 만날 일은 거의 없습니다. 저는 버디 그룹 디너 외에 버디와 큰 교류가 없었지만 교환 생활 내내 친구처럼 지내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b) 파견 국가의 교우회 - 덴마크 한인회가 존재합니다. 추석 행사, 언어교환 프로그램 등 한인회에서 주최하는 행사가 매우 다양한 편인데 저는 적극 참여했습니다. 그곳에서 한국인으로서 덴마크에 사는 것은 어떤지 보고 들을 수 있었고, 한국에 관심있는 덴마크인들과 대화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행사 공지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행사에 참여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c) 물가 - 장보기 물가를 제외한 물가는 한국보다 월등히 비쌉니다. 장보기 물가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그 외 인건비가 포함된 모든 서비스/물건은 한국보다 두 세 배 정도 됩니다. 카페에서 빵 하나, 커피 한 잔 시키면 만오천원에서 이만원 정도 나옵니다.. 그래도 코펜하겐에는 유명한 카페나 베이커리가 많아서 저는 많이 다녔습니다. 떠날 때가 되면 모든 게 아쉬우니 시간 있을 때 부지런히 돌아다니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d) 파견교 장학금 혜택 - CBS에서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경로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없습니다. 저는 장학제도를 이용하지 않았으나 고려대나 외부에서 여러 장학 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e) 교통 - 교통카드 - DOT 앱을 통해 실물 카드 없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티머니처럼 쓴 만큼 돈을 내는 카드도 있고, 한 달 무제한권도 있습니다. 자전거를 이용하실 거라면 전자가 더 나을 거예요. 저는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아서 지내는 내내 무제한권을 이용했습니다. 한 달에 15만원이 넘는 어마무시한 가격이지만, 지하철 한 번 타는 것이 3천원에 육박하기 때문에 한 달권이 무조건 이득입니다. 하지만 여행을 많이 다니는 달이나, 이동이 적은 달일 경우 일반권이 나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잘 비교해보시고 합리적으로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자전거 - 덴마크는 자전거 도로가 매우 잘 되어 있는 나라입니다. 교환학생 대부분이 swapfiets라는 곳에서 자전거를 빌려 타는데, 다달이 구독료를 내고 타다가 귀국 전 반납만 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편합니다. Swapfiets 자전거는 기본적으로 매우 크고 높기 때문에 체구가 작으시다면 어린이용 자전거를 중고로 구하시는 것이 나을 거예요. 코펜하겐은 도시 자체가 작기 때문에 사실상 어디든 자전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앞서 언급했듯 교통비가 매우 비싼 편이라 자전거를 타고 다니시면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출국 전 준비사항 - 트래블로그 카드 발급 - 저는 트래블월렛 카드를 이용하였으나, 트래블로그가 환율 우대가 더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수료 잘 비교하셔서 덴마크에서, 또 여행지에서 쓸 카드 꼭 미리 준비해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휴대폰 로밍 - 로밍은 따로 하지 않았고, lyca e sim을 이용하였습니다. 실물 심카드가 필요없어 매우 편리했고, 데이터도 잘 돼서 문제 없이 사용했습니다. 5) 보험 및 비자 - 보험 - 저는 어시스트카드의 보험 중 가장 저렴한 옵션으로 선택했습니다. 저렴한 만큼 커버되는 건 많지 않았지만, 보험이 필요할 일이 없을 것 같아 선택했고 실제로 한 번도 쓰지 않았습니다. 덴마크는 CPR 넘버가 나오면 치과를 제외한 병원비가 무료인 것 고려하시어 본인에게 잘 맞는 보험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비자 - 덴마크에서 비자 발급받기 (https://www.gohackers.com/?c=life/life_info/godiary&type=url&uid=65396) - 1) Case Id 발급 - 2) ST1폼 작성 - 3) SIRI 예약 (까지는 한국에서 준비) - 4) SIRI 방문 (가서 서류 보여주고 생채 등록) - 5) SIRI 에서 오는 Residence permit 받기 (3주 내 우편으로, 우편함에 이름 기재 필수) - 6) International house에서 CPR 넘버 신청하기 - 거주허가증에 있는 안내 따라 신청 - 확인메일 받기 - 7) International House에서 메일 받고(2주 내) 약속 잡기, International house 가서 CPR 넘버 발급받기 - 8) Pink card 와 Yellow card 배송받기 (3주 내 배송) - 저는 위 링크를 참고해 덴마크 현지에서 비자를 발급받았습니다. 한국에서 발급받으면 노르웨이 대사관을 거쳐야 해 수수료가 70만원 정도 더 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근차근 하시면 현지에서 발급받는 것도 전혀 어렵지 않으니 굳이 한국에서 해오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ST1 폼도 학교에서 보내주기 때문에 크게 품 들 일이 없습니다. 다만 덴마크가 일처리가 늦어서 저는 떠나는 날까지 pink card와 yellow card를 받지 못했습니다. 그전까지는 Residence Permit이라고 써 있는 종이 한 장이 거주허가증을 대신 하니, 우편 받으시면 꼭 버리지 말고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6) 파견교 소개 - CBS는 덴마크 내에서도, 세계적으로도 권위 있는 경영대학으로 손꼽힙니다. 덴마크라는 나라가 생소한 분들이 많겠지만, 북유럽의 매력을 느끼면서도 학업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곳이 CBS라고 생각합니다! 덴마크는 한국과 비슷한 점도, 반대인 점도 정말 많아서 익숙함 속에서 새로운 관점을 얻기에 제격인 나라이니 CBS 교환학생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적극 추천드려요 :)

2025.04.11 Views 101

안녕하세요, 2024학년도 2학기에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Copenhagen Business School(CBS)로 교환학생을 다녀온 2021120135 조유빈입니다. 교환학생을 고려 중이시거나 파견을 앞두고 계신 분들께 제 경험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특히 CBS로 교환을 앞두신 분들에게는 이 글을 참고하시어 풍부한 교환 생활을 만드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1) 수강신청 및 수업: 교환교 수강신청 방식 - 수강신청 - CBS는 고려대학교처럼 16주 동안 한 학기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1년이 두 개의 학기, 그리고 한 학기 당 두 개의 쿼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업은 한 쿼터짜리도 있고, 한 semester짜리 수업도 있습니다. 수강신청을 할 때 강의계획표에 나와 있는 쿼터를 확인해 학업 계획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1쿼터 수업 2개, 2쿼터 수업 하나, 한 학기 짜리 수업 하나를 수강하였습니다. 필요에 따라 첫 쿼터에 수업을 몰아 듣고 두번째 쿼터에는 수업 없이 자유롭게 여행하실 수도 있으나 수업 난이도가 높지 않고 출결을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그러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 수강신청은 파견 몇 달 전 학교에서 메일로 방법을 알려주기 때문에 그대로 따르시면 됩니다. 한국처럼 티켓팅 하듯 수신을 하는 게 아니라 듣고 싶은 강의와 대체할 후보 몇 개를 학교 측에 보내면 알아서 배정해주는 방식입니다. 이때 시간표를 모르는 채로 신청하게 되고, 나중에 시간표가 나왔을 때 수업이 많이 겹치면 그때 다시 정정을 해야 합니다. 정정이 어렵지 않고, 어차피 정정할 일이 생기기 때문에 처음에는 큰 부담 없이 듣고 싶은 과목 위주로 일단 신청하시면 됩니다. - CBS는 온라인 수업이 꽤 있습니다. 저는 일부러 두 과목은 온라인 강의로 신청해 길지 않은 교환학기를 알차게 보내고자 노력했습니다. - 수업: 저는 총 4과목을 수강하였고, 모두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았습니다. 4과목 모두 평가 방식은 팀플, 과제, 출결, 시험 하나 없이 written essay 로만 성적이 산출됐습니다. 저는 시험을 피하고 싶어서 일부러 해당 과목들만 골랐고 결과적으로 학업 부담 없이 즐겁게 생활할 수 있었습니다. 패스 받는 것이 결코 어렵지 않으니 저처럼 학업 부담을 피하고 싶은 분들은 평가 방식을 잘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Google, Uber, Amazon: The Management of Platform Business: 첫번째 쿼터 수업이고, 대면 수업입니다. - Brand Management: 첫번째 쿼터 수업이고, 비대면 수업입니다. - Visual Communication: 한 학기 짜리 수업이고, 대면 수업입니다. - Consumer Behavior: 두번째 쿼터 수업이고, 비대면 수업입니다. 참고로 두번째 쿼터 강의의 시험기간은 1월인데, 모든 기숙사는 12월 안에 계약이 만료됩니다. 저는 에세이만 제출하면 돼서 귀국 후 시험을 봤지만, 혹시 시험을 대면으로 봐야 하는데 머물 집이 없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해당 사항 꼭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기숙사: a) 교환교로부터의 기숙사 정보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의 내용 - 신청 절차 - 기숙사는 학교 메일의 안내에 따라 진행됩니다.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어떤 기숙사에 가고싶은지 생각해보시고, 신청 기간이 되면 1순위부터 5순위까지 입력해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때 small room과 large room을 골라야 하는데, 일괄적으로 5개의 기숙사에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기숙사별로 방 크기를 정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저는 small room, 1순위 기숙사로 tietgen을 선택했고 해당 기숙사에 배정받았습니다. (배정 결과 또한 이메일로 안내받습니다.) 저는 운이 좋게 1순위 기숙사에 배정받았지만 배정은 거의 랜덤에 가깝습니다. 학교에서는 기숙사 신청 기간 중 아무때나 등록하면 된다고 안내해주지만, 저는 오픈 시간에 딱 맞춰서 신청했는데 이게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러니 미리 생각해두시고 최대한 빠르게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기숙사 정보 - 제가 지낸 Tietgenkollegiet은 세계적으로 아름답기로 유명한 기숙사입니다. 11명의 덴마크인, 2명의 교환학생이 한 주방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이고 각 방에 개인 화장실이 있습니다. 신청할 때까지만 해도 덴마크 사람들과 사는 것에 큰 불편함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일단 덴마크 친구들은 주로 덴마크어로 대화하고, 교환학생이 아닌 정규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들이기 때문에 생활 면에 있어 공통점이 적었습니다. 키친 사람들이 누구냐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제가 살았던 키친 친구들은 그들끼리 유대감이 너무 크고 제가 있을 때에도 덴마크어를 쓸 때가 많아서 짐을 빼는 날까지 정을 붙이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4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덴마크 문화를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가는 점도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덴마크어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덴마크인들과 친구를 맺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기숙사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 유명한 기숙사인만큼 방이 넓고 쾌적하며 공용 주방도 타 기숙사대비 훨씬 잘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은 Tietgen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b) 외부 숙소 정보 - 학교를 통해 기숙사를 배정받지 못하면 외부 기숙사를 신청하거나 Private Housing 시스템을 이용하면 됩니다. 이럴 경우 학교를 통해 사설 기숙사를 추천받거나 private housing을 연결해주는 정도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설 기숙사의 경우 Umeus나 Basecamp 등이 있는데, 방 크기에 비해 월세가 비싸고 보증금을 잘 안 돌려주기 때문에 웬만하면 학교 기숙사를 배정받으시기 바라요. Private Housing의 경우 CBS 본교 학생 중 같은 시기에 교환학생으로 집을 비우는 학생의 방을 단기로 거주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집주인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덴마크 현지인의 집에 살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숙사가 아니다보니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생활 및 기타 a) KUBS BUDDY 와 같은 교환학생 도우미 프로그램 존재여부 - 버디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본교 학생과 교환학생이 일대 일로 매칭되며, 버디가 공항까지 데리러 나오고 기숙사 키도 먼저 받아주기 때문에 버디를 못 만날 일은 거의 없습니다. 저는 버디 그룹 디너 외에 버디와 큰 교류가 없었지만 교환 생활 내내 친구처럼 지내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b) 파견 국가의 교우회 - 덴마크 한인회가 존재합니다. 추석 행사, 언어교환 프로그램 등 한인회에서 주최하는 행사가 매우 다양한 편인데 저는 적극 참여했습니다. 그곳에서 한국인으로서 덴마크에 사는 것은 어떤지 보고 들을 수 있었고, 한국에 관심있는 덴마크인들과 대화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행사 공지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행사에 참여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c) 물가 - 장보기 물가를 제외한 물가는 한국보다 월등히 비쌉니다. 장보기 물가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그 외 인건비가 포함된 모든 서비스/물건은 한국보다 두 세 배 정도 됩니다. 카페에서 빵 하나, 커피 한 잔 시키면 만오천원에서 이만원 정도 나옵니다.. 그래도 코펜하겐에는 유명한 카페나 베이커리가 많아서 저는 많이 다녔습니다. 떠날 때가 되면 모든 게 아쉬우니 시간 있을 때 부지런히 돌아다니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d) 파견교 장학금 혜택 - CBS에서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경로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없습니다. 저는 장학제도를 이용하지 않았으나 고려대나 외부에서 여러 장학 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e) 교통 - 교통카드 - DOT 앱을 통해 실물 카드 없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티머니처럼 쓴 만큼 돈을 내는 카드도 있고, 한 달 무제한권도 있습니다. 자전거를 이용하실 거라면 전자가 더 나을 거예요. 저는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아서 지내는 내내 무제한권을 이용했습니다. 한 달에 15만원이 넘는 어마무시한 가격이지만, 지하철 한 번 타는 것이 3천원에 육박하기 때문에 한 달권이 무조건 이득입니다. 하지만 여행을 많이 다니는 달이나, 이동이 적은 달일 경우 일반권이 나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잘 비교해보시고 합리적으로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자전거 - 덴마크는 자전거 도로가 매우 잘 되어 있는 나라입니다. 교환학생 대부분이 swapfiets라는 곳에서 자전거를 빌려 타는데, 다달이 구독료를 내고 타다가 귀국 전 반납만 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편합니다. Swapfiets 자전거는 기본적으로 매우 크고 높기 때문에 체구가 작으시다면 어린이용 자전거를 중고로 구하시는 것이 나을 거예요. 코펜하겐은 도시 자체가 작기 때문에 사실상 어디든 자전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앞서 언급했듯 교통비가 매우 비싼 편이라 자전거를 타고 다니시면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출국 전 준비사항 - 트래블로그 카드 발급 - 저는 트래블월렛 카드를 이용하였으나, 트래블로그가 환율 우대가 더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수료 잘 비교하셔서 덴마크에서, 또 여행지에서 쓸 카드 꼭 미리 준비해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휴대폰 로밍 - 로밍은 따로 하지 않았고, lyca e sim을 이용하였습니다. 실물 심카드가 필요없어 매우 편리했고, 데이터도 잘 돼서 문제 없이 사용했습니다. 5) 보험 및 비자 - 보험 - 저는 어시스트카드의 보험 중 가장 저렴한 옵션으로 선택했습니다. 저렴한 만큼 커버되는 건 많지 않았지만, 보험이 필요할 일이 없을 것 같아 선택했고 실제로 한 번도 쓰지 않았습니다. 덴마크는 CPR 넘버가 나오면 치과를 제외한 병원비가 무료인 것 고려하시어 본인에게 잘 맞는 보험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비자 - 덴마크에서 비자 발급받기 (https://www.gohackers.com/?c=life/life_info/godiary&type=url&uid=65396) - 1) Case Id 발급 - 2) ST1폼 작성 - 3) SIRI 예약 (까지는 한국에서 준비) - 4) SIRI 방문 (가서 서류 보여주고 생채 등록) - 5) SIRI 에서 오는 Residence permit 받기 (3주 내 우편으로, 우편함에 이름 기재 필수) - 6) International house에서 CPR 넘버 신청하기 - 거주허가증에 있는 안내 따라 신청 - 확인메일 받기 - 7) International House에서 메일 받고(2주 내) 약속 잡기, International house 가서 CPR 넘버 발급받기 - 8) Pink card 와 Yellow card 배송받기 (3주 내 배송) - 저는 위 링크를 참고해 덴마크 현지에서 비자를 발급받았습니다. 한국에서 발급받으면 노르웨이 대사관을 거쳐야 해 수수료가 70만원 정도 더 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근차근 하시면 현지에서 발급받는 것도 전혀 어렵지 않으니 굳이 한국에서 해오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ST1 폼도 학교에서 보내주기 때문에 크게 품 들 일이 없습니다. 다만 덴마크가 일처리가 늦어서 저는 떠나는 날까지 pink card와 yellow card를 받지 못했습니다. 그전까지는 Residence Permit이라고 써 있는 종이 한 장이 거주허가증을 대신 하니, 우편 받으시면 꼭 버리지 말고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6) 파견교 소개 - CBS는 덴마크 내에서도, 세계적으로도 권위 있는 경영대학으로 손꼽힙니다. 덴마크라는 나라가 생소한 분들이 많겠지만, 북유럽의 매력을 느끼면서도 학업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곳이 CBS라고 생각합니다! 덴마크는 한국과 비슷한 점도, 반대인 점도 정말 많아서 익숙함 속에서 새로운 관점을 얻기에 제격인 나라이니 CBS 교환학생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적극 추천드려요 :)

Application for KUBS(Tuition fee) Scholarship 2nd round for spring semester of 2025(4.14-21)

2025.04.10 Views 382

Application for KUBS(Tuition fee) Scholarship 2nd round for spring semester of 2025   ※ KUBS Scholarship supports tuition fee only. ※ Students who were not selected in the first round also can reapply. ※ To apply for both the KUBS(tuition) Scholarship and the Dream Scholarship: Apply online and attach the same documents.   1. Application period : April 14, 2025 (Mon), 9:00 AM – April 21, 2025 (Mon), 5:00 PM Announcement in mid May (notification of acceptance/rejection via text message), followed by disbursement at the end of May. * The KUBS Scholarship (for Tuition Fee) is disbursed to the student’s account after the student has paid the full tuition fee. * Scholarships cover up to 50% of tuition.   2. Eligibility: Students enrolled as of the spring semester of 2025   3. Ineligibility: (1) Students who have received (or will receive) 100% tuition fee support for the spring semester. (2) Students who have been enrolled for 9 semesters or more (5 semesters or more for transfer students). 4. Necessary documents to apply for the KUBS scholarship: (1) [Required] Online Application (including the agreement to collect and use personal information). (2) ~ (5): This is an option you can choose to prove your economic situation. ------------------------------- (2) Family Relation Certificate (3) Bank Statement (including 3 months of transaction history) (4) Confirmation of Disease (for whom possible only / including a family member) (5) Other Documents Proving Financial Circumstances: Parents' income certificate, unemployment certificate, etc. * All documents must be submitted in both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s. * All documents must be in either Korean or English only.   5. How to apply :  (1) KUBS website https://biz.korea.ac.kr/eng/undergraduate/scholar_kubs.html - KUBS Scholarship – Application – Apply (2) Log in using KUPID account – Fill out the application form with the required documents – Submit  * You can edit your application within the application period.  * You cannot edit the application after the application period ends. Please ensure you check the pop-ups confirming “Your application has been successfully submitted” and “Online application has been made.’  * Application must be submitted online only and will not be accepted via post, email, or in-person visits.  * If you encounter an error when logging in: Try changing your password at KUPID to one that does not include any special characters. If you still cannot log in with your new password, please email chun2dan@korea.ac.kr.   6. Things to consider: (1) If you've already been offered 100% of your tuition as a scholarship, you will automatically be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2) Applicants should explain the reasons they need the scholarship, focusing on their household financial situation and academic plans. (3) If the reason for applying for a scholarship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emester, it may be excluded from the screening. (4) If you take a leave of absence during the semester, you must pay back the scholarship. (5) We only accept online applications. However, if you encounter any problems with saving/submitting/logging into the application form, please send an email to 'chun2dan@korea.ac.kr'. (6) If you don't encounter any problems with 'submitting' the application form, you don't need to send it via email again.   7. Contact: 02-3290-1301 / chun2dan@korea.ac.kr

Application for KUBS Dream Scholarship 2nd round for spring semester of 2025(4.14-21)

2025.04.10 Views 284

Application for KUBS Dream Scholarship 2nd round for spring semester of 2025   ※ Dream Scholarship is a living-fee scholarship. ※ The amount of scholarship for the 2nd round is 2,000,000 KRW. ※ To apply for both the KUBS(tuition) Scholarship and the Dream Scholarship: Apply online and attach the same documents.   1. Application period : April 14, 2025 (Mon), 9:00 AM – April 21, 2025 (Mon), 5:00 PM * Announcement in mid May (notification of acceptance/rejection via text message), followed by disbursement at the end of May. * The Dream Scholarship provides a lump sum of KRW 1,000,000 in May upon selection, followed by monthly payments of KRW 500,000 at the beginning of each month from July to August, directly deposited into the student’s personal account.   2. Eligibility: Business School Student who've registered for spring semester of 2025 * If you already received living fee scholarship more than 2,000,000KRW, you are automatically rejected from the evaluation.   3. Ineligibility:  Students who have been enrolled for 9 semesters or more (5 semesters or more for transfer students).   4. Necessary documents to apply for the KUBS Dream scholarship: (1) [Required] Online Application (including the agreement to collect and use personal information). (2) ~ (5): This is an option you can choose to prove your economic situation. ------------------------------- (2) Family Relation Certificate (3) Bank Statement (including 3 months of transaction history) (4) Confirmation of Disease (if applicable, including for family members) (5) Other Documents Proving Financial Circumstances: Parents' income certificate, unemployment certificate, etc. * All documents must be submitted in both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s. * All documents must be in either Korean or English only.   5. How to apply :  (1) KUBS website https://biz.korea.ac.kr/eng/undergraduate/scholar_dream.html - KUBS Dream Scholarship  - Application – Apply (2) Log in using KUPID account – Fill out the application form with the required documents – Submit  * You can edit your application within the application period.  * You cannot edit the application after the application period ends. Please ensure you check the pop-ups confirming “Your application has been successfully submitted” and “Online application has been made.’  * Application must be submitted online only and will not be accepted via post, email, or in-person visits.  * If you encounter an error when logging in: Try changing your password at KUPID to one that does not include any special characters. If you still cannot log in with your new password, please email chun2dan@korea.ac.kr.   6. Things to consider: (1) If you already received living fee scholarship more than 2,000,000 KRW, you are automatically rejected from the evaluation. (2) Applicants should explain the reasons they need the scholarship, focusing on their household financial situation and academic plans. (3) If the reason for applying for a scholarship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emester, it may be excluded from the screening. (4) If you take a leave of absence during the semester, you must pay back the scholarship. (5) We only accept online applications. However, if you encounter any problems with saving/submitting/logging into the application form, please send an email to 'chun2dan@korea.ac.kr'. (6) If you don't encounter any problems with 'submitting' the application form, you don't need to send it via email again. 7. Contact: 02-3290-1301 / chun2dan@korea.ac.kr

The Inaugural Ceremony of the CHRO Program at Korea University

2025.04.09 Views 365

“A New Era of Talent Development: Advancing as HR Leaders” – The Inaugural Ceremony of the CHRO Program at Korea University      The inaugural ceremony for the first cohort of the CHRO (Chief Human Resources Officer) Program, newly established by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was held on Tuesday, April 8th at the Cuckoo Seminar Room on the 6th floor of LG-POSCO Hall.      The event featured a series of segments, including a welcoming address, the university anthem, a campus tour, an introductory lecture, an orientation, and a banquet. During the ceremony, incoming participants had the opportunity to meet with faculty members and peers, sharing their excitement and anticipation for the journey ahead. The ceremony was attended by Eonsoo Kim, Dean of the Business School; Gangseog Ryu, Associate Dean; and Kwanghyun Kim, Academic Director. All three extended warm greetings to the participants. In his welcoming address, Dean Kim remarked, “In this era, valuing and nurturing people is the key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for any organization. I hope this CHRO program empowers you to grow into HR leaders with both practical capabilities and strategic insight.”      The first cohort of students shared their thoughts, saying, “Until now, our focus has primarily been on practical work, and we’ve had few opportunities to study HR theories in a structured way. We’re excited to learn and grow through this program,” and added,  “The chance to network with professionals from a wide range of industries will also be an invaluable asset.”      The CHRO Program was established to cultivate top-level talent capable of leading the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functions of companies in an ever-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Starting in April, the 16-week program is held once a week on Tuesday evenings (18:00–21:00). It is the only CHRO-dedicated executive education program in South Korea, specifically designed for HR managers and senior-level executives. 

Notice on Application for Dissertation Examination for spring 2025

2025.04.09 Views 229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below, please also refer to the attached file "Notice on Application for Dissertation Examination for spring 2025"   1. Please confirm whether you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dissertation examination before applying. KUPID > Register/Graduation > Academic Records & Graduation > Evaluation for Thesis > Dissertation Submission Requirements   2. Application for Dissertation Examination (Must apply for both online and offline)   ▶ Date for applying in KUPID and submitting documents: 4/21(Mon) ~ 4/25(Fri) 17:00   ▶ How to submit documents        1) Visit an administrative office(BM Room 103)       2) Submit via email (kubs_msphd@korea.ac.kr) (Require submission by merging into one PDF file)   ▶ Required Documents  ※ The department chair signature is not required as it will be processed in bulk by the office (The department chair  professor is not a major area chair professor).       1) PhD / Integrated MS&PhD          - 4 copies of dissertation             ※ If you have difficulty submitting your dissertation within the application period and need to submit it to the committees yourself,                you must submit a confirmation of submission to the administrative office.          - Application for dissertation examination          - Approval of Dissertation Submission          - Recommendation for Appointment to Dissertation Evaluation Committee          - External Examiner List +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Agreement          - Confirmation of proposal          - Research Ethics Compliance Declaration for Guidance Dissertation          - Proof of eligibility for dissertation submission (check the internal regulation of each major)            ※ Proof of conference attendance: RMS capture / conference brochure (specify your name, thesis name, conference name, conference date) /                                                          page with thesis title and author's name            ※ Proof of publication: RMS capture / page with the title of the paper and author's name            ※ How to use RMS: KUPID > RMS (Research Portal) > Research Achievements > Academic Papers or Conferences                                       > Click 'New' button on the right > Enter required values > Click 'Save (Identity Verification)'                                       (Inquiries regarding RMS system errors: 02-3290-5816)        2) MS         - 2 copies of dissertation             ※ If you have difficulty submitting your dissertation within the application period and need to submit it to the committees yourself,                you must submit a confirmation of submission to the administrative office.          - Application for dissertation examination          - Recommendation for Appointment to Dissertation Evaluation Committee          - Research Ethics Compliance Declaration for Guidance Dissertation          - (only those who) for External Examiner List +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Agreement          - (only for LSOM MS program students) Proof of conference presentations            ※ Proof of conference attendance: RMS capture / conference brochure (specify your name, thesis name, conference name, conference date) /                                                          page with thesis title and author's name            ※ How to use RMS: KUPID > RMS (Research Portal) > Research Achievements > Academic Papers or Conferences                                       > Click 'New' button on the right > Enter required values > Click 'Save (Identity Verification)'            ※ Inquiries regarding RMS system errors: 02-3290-5816            ※ If your presentation date is after the application period, please submit proof that you have applied for a conference presentation first               and submit proof of presentation later.   3. Deadline to enter results for committee: 6/13(Fri) 23:59   4. Result Announcement: 6/17(Tue): You can find it on the KUPID

“Becoming Leaders in the Future of Healthcare”… SNUH Business Program Holds Entrance Ceremony

2025.04.08 Views 352

“Becoming Leaders in the Future of Healthcare”… SNUH Business Program Holds Entrance Ceremony      The entrance ceremony for the SNUH Business Program, jointly organized by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UB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was held on Tuesday, April 1 at CJ Hal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event was attended by key figures including Dean Eonsoo Kim of KUBS, Program Chair Professor Seok-Gyun Kim, and President Young-Tae Kim of SNUH. The ceremony featured introductions of distinguished guests, congratulatory remarks, and a commemorative photo session, celebrating the beginning of a new journey for the program’s inaugural cohort.      In his welcoming address, Dean Eonsoo Kim remarked, “It is truly meaningful to launch this program with such talented individuals who will become future leaders in the healthcare field.” He added, “As AI technology rapidly transforms the healthcare landscape, we will actively support you in cultivating the expertise and leadership needed to stay ahead of these changes.”       In his congratulatory remarks, President Young Tae Kim remarked, “As core member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 hope you will cultivate both managerial thinking and capabilities to support the hospital’s sustainable development.” He emphasized, “This program will serve as a solid foundation for your growth into leaders who can drive transformation in the healthcare sector.”      The SNUH Business Program is an educational initiative designed to strengthen the managerial and leadership competencies of 20 key personnel from SNUH, including staff in nursing, healthcare services, administration, and pharmacy. The program is built upon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e-oriented curriculum of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with the goal of delivering practical outcomes in areas such as strategic decision-making in healthcare, change management, and patient-centered service innovation. Moving forward, the SNUH Business Program aims to nurture creative and insightful leaders who will help shape the future of healthcare systems. 

KUBE’s 20th Cohort Farewell and 22nd Cohort Inauguration Ceremony 

2025.04.07 Views 388

"Closing One Chapter, Opening Another"… KUBS Student Ambassador KUBE’s 20th Cohort Farewell and 22nd Cohort Inauguration Ceremony      The closing ceremony for the 20th generation and the inauguration ceremony for the 22nd cohort of KUBE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Student Ambassadors) were held on Monday, March 31, at the Cuckoo Seminar Room in LG-POSCO Hall. KUBE is the official student ambassador group of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KUBS), actively involved in planning and supporting various events to enhance the school’s reputation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event was attended by Professor Eonsoo Kim, Dean of KUBS, Professor Hyun Seung Na, Vice Dean, and members of the 20th, 21st, and 22nd cohorts of KUBE.      The ceremony began with congratulatory remarks by Dean Eonsoo Kim, followed by a report on KUBE's activitie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24 and a presentation of the activity plan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5. Certificates of participation and prizes were awarded to members of the 20th cohort, and appointment letters and scholarship certificates were presented to the 22nd cohort. Scholarship certificates were also awarded to members of the 21st cohort. The event concluded with a group photo session. In his remarks, Dean Kim emphasized, “The paths you have paved will continue the tradition of KUBE and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that connects your experience to new opportunities. In this meaningful year marking the 120th anniversary of Korea University, I hope your passion and dedication will continue to enhance the legacy and spirit of KUBS.”      Following the speech, KUBE reflected on its activities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4 and introduced its plan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5.  In the previous semester, KUBE carried out a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the Fall 2024 Regular Campus Tour, the 10th Anniversary Homecoming Day, the 18th Youth Mentoring Day, ongoing campus tours, self-promotion initiatives, and protocol support.  For the upcoming semester, KUBE plans to continue its efforts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the Spring 2025 Regular Campus Tour, the 19th Youth Mentoring Day, KUBEmanza Season 5 — a themed annual interview series with KUBE alumni — along with continued self-promotion initiatives, ongoing campus tours, and protocol support.      During the closing ceremony, Dean Eonsoo Kim presented certificates of participation to six 20th-cohort members who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one-year term: Kim Min-Jin (Business ’24), Kim Se-Eun (Business ’24), Kim Yeon-Ha (Business ’23), Park Su-A (Business ’24), Yoon Je-Woo (Business ’20), and Jang Jun-Hyeok (Business ’24). Vice Dean Hyun-Seung Na also presented prizes, followed by individual photo sessions for each member.      Next, during the inauguration of the 22nd cohort, Vice Dean Hyun-Seung Na presented appointment letters and scholarship certificates to six newly selected members: Kim Da-Jin (Business ’25), Moon Si-Hoon (Business ’25), Ahn Hyo-Won (Business ’24), Lee Chae-Woo (Business ’25), Im Jeong-Yeop (Business ’22), and Hong Jun-Seok (Business ’25). The 22nd cohort members were chosen through a highly competitive selection process that evaluated their school spirit, passion, written applications, interview performance,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and ability to create social media content.      Finally, Dean Eonsoo Kim presented scholarship certificates to six members of the 21st cohort, who have continued to lead KUBE activities into this year: Kang Min-Ji (Business ’23), Kwon Na-Yoon (Business ’24), Park Seon-Yu (Business ’24), Shin Woo-Jin (Business ’23), Jeong Jun-Hee (Business ’24), and Cha Jae-Wook (Business ’24).      Yoon Je-Woo (Business ’20), who served as the president of KUBE during the past semester, shared, “I constantly wondered whether I was a good fit for KUBE and whether I could contribute meaningfully as the president of such a prestigious organization. Thanks to the support of my professors and staff, I’m grateful to have completed my term successfully and to take part in this closing ceremony.” He added, “I hope my year as a member of KUBE was a meaningful one, and I wish the best of luck to the new members.” Kim Da-Jin (Business ’25), a newly selected member of the 22nd cohort, said, “Becoming a part of KUBE, which I had dreamed of joining since entering Korea University, fills me with excitement, nervousness, and a deep sense of honor. I will carry out my role with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s the face and voice of the Business School.” 

안녕하세요, 저는 24-2학기에 일본 히토츠바시 대학으로 교환학생을 다녀 온 경영학과 20학번 현선민입니다. 히토츠바시 대학 혹은 일본으로의 교환학생에 관심이 있으신 학우 분들을 위해 열심히 작성해보았으니 재미있게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1) 수강신청 및 수업: 교환교 수강신청 방식 히토츠바시 대학은 개강 3주 정도 전에 기숙사에 입주할 것을 권고합니다. 일주일동안 매일 다른 내용의 OT를 진행하는데, OT에서 수강신청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본적으로 온라인 추첨제로 이루어지고, 한 학기 안에서도 quarter제를 사용해 가을/겨울 각각의 시간표를 짜야합니다. 몇 가지의 수업(대게는 교양)만 추첨제였고 대부분은 그냥 신청하면 모두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한 쿼터 당 6 credit(단위)을 필수로 들어야 했습니다. 한 교시 당 105분이었고, 105분*6credit을 꼭 채워야 합니다. 여기서 105분 수업 듣다가 고대 와서 75분 들으니 정말 짧게 느껴져서 아주 좋았습니다!! 히토츠바시에서 들을 수 있는 수업은 크게 전공/일본어/그외(교양) 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전공수업은 일본어/영어 수업을 모두 제공하고, 저는 전공은 영어수업만 들었습니다. 일본 대학교는 제미(ゼミ)라고 하는 소수 세미나 수업이 있습니다. 저는 수강하지 않았으나, 일본의 수업방식이 궁금하시다면 수강을 추천합니다! 따로 신청하여 교수님과의 면접 후 합격을 해야 수강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제미는 모두 일본어 수업입니다. - 일본어수업은 OT때 진행하는 일본어시험을 치러야만 수강할 수 있습니다. 일본어 시험은 JLPT와 형식이 같습니다. N2정도의 난이도였던 것 같습니다. 히라가나부터 가르쳐주는 기초 단계(basic)에서부터 상급반(advanced)까지 약 6개의 반으로 나누어져있고, 수강신청 전에 결과가 나와 각자 듣고 싶은 수업을 신청하면 됩니다. Speaking, Writing, Reading, 문법, 한자까지 수업이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Intermidiate Japanese 반이었고 한자, 스피킹, 문법 수업을 들었습니다. 수업이 체계적이고 일본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수업을 통해 정말 많이 늘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교환학생 친구들을 사귀기에도 아주 좋았습니다. - 이외에 저는 credit을 채우기 위해 사회학과 온라인 수업을 일반선택으로 들었습니다. 실라버스를 찾아보면 온라인 수업도 꽤 있었습니다. 실라버스는 한 학기 전에도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했기 때문에 미리 시간표를 짜보는 것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105분 수업이기 때문에 3교시까지만 들어도 한나절이 지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을 잘 찾아보고 시간표를 잘 짜서 공강을 확보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2) 기숙사: a) 교환교로부터의 기숙사 정보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의 내용 (학교 기숙사가 아닌 사설 기숙사 또는 off-campus 시설을 이용한 경우도 해당 내용을 적어주세요) Application 과정에서 기숙사를 같이 신청합니다. 히토츠바시 대학은 기숙사가 전부 제공되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일 것 같은데요, 따로 집을 구해서 살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기숙사가 배정됩니다. 또한 월세도 29,000엔(29만원 이하)으로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기숙사는 개인실/공용실 두 가지 타입이 있고, 둘의 차이는 개인 화장실(변기, 세면대만) 유무입니다. 그 외 키친, 샤워실, 세탁실은 모두 공용입니다. 입주 전 학교에서 설문이 메일로 온다고 하는데 저는 확인을 못 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공용실에 살았으나 일본인 친구도 사귈 수 있었고, 각자 프라이버시가 존중되어 불편한 점은 없었습니다. 그 외에도 기숙사 캠퍼스 내에 공부 공간(플라자), 헬스장 등이 있습니다. 기숙사는 히토츠바시가쿠엔역, 학교는 쿠니타치역에 있습니다. 도어투도어로는 약 40분, 열차 3정거장이고 환승이 필요합니다. 학교와 먼 것이 약간의 단점일 수는 있겠지만 기숙사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괜찮았습니다. 저는 전차를 이용했으나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학생들도 많았습니다. 기숙사 근처에 편의시설이 많은 편은 아니라서 여유가 되신다면 자전거를 구매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숙사에서 이벤트로 자전거 추첨 이벤트도 합니다. 꼭 신청해서 행운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 .. ★ b) 외부 숙소 정보 위에서 언급했듯이 히토츠바시 대학은 기숙사에서 거주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외부에서 살고 싶을 경우 따로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생활 및 기타 a) KUBS BUDDY 와 같은 교환학생 도우미 프로그램 존재여부 존재합니다. 입국 후 학교에서 메일이 오면 구글폼을 통해 제출할 수 있습니다. 기억 상으로는 입국 한 달 정도 후에 안내 메일이 왔던 것 같습니다. 입국 전부터 한 명씩 배정되어 따로 연락이 오고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아니라 생활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파견교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취지로 보입니다. 저는 따로 신청하지는 않았습니다. b) 파견 국가의 교우회 없습니다. c) 물가 일본의 물가는 종합적으로 보면 한국과 비슷합니다. - 식비가 비교적 저렴합니다. 여행할 때와 달리 기숙사나 학교 근처에서 식사를 하다보면 외식물가가 대략 8천원 대에서 해결이 가능합니다. 스키야, 요시노야 같은 규동집부터 한접시에 130엔인 스시로를 자주 이용했습니다. 히토츠바시 대학이 있는 쿠니타치/코쿠분지/코다이라가 도쿄 중심과 멀어 더욱 저렴한 로컬 맛집도 많습니다. 사실 기숙사 근처에는 음식점이 많지 않아 자주 해먹기도 했는데요. 장바구니 물가도 한국보다 저렴한 편입니다. 과일이나 채소는 비슷하거나 혹은 더 비싸기도 하지만 유제품이나 가공식품이 매우 저렴합니다. 또한 마트에서 도시락 종류도 많이 팔고 있기 때문에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편의점보다는 마트를 애용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숙사 근처 마트 중 ‘로피아ロピア’를 강추합니다! 다른 마트보다 훨씬 저렴하고 물건 종류도 많습니다.) - 반면 교통비는 매우 비쌉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한 달동안 약 2만엔 (20만원) 정도를 교통카드 충전대금으로 썼습니다. ㅠㅠ 일본은 노선이 모두 민영화되어 있어 환승 시에도 회사가 바뀐다면 내렸다 다시 타는 개념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기숙사-학교까지 총 세 정거장이지만 환승을 해야 하므로 왕복 6,000원 이상이었습니다. 도쿄 시내까지도 왕복 1만원이 넘기 때문에 놀러다니기에 조금 부담이 되었습니다. 일본 다른 지역까지 이동하는 기차인 신칸센도 매우 비싼데요,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편도 13만원정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비행기를 타고 놀러다녔습니다.. - 수도광열비가 비쌉니다. 기숙사비 29,000엔에 수도광열비 및 관리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따로 납입을 해야 하는데요. 이것도 한 달에 약 20만원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현금으로 납입해야 하는데 기숙사 근처인 은행에서 하면 수수료 700엔 정도가 부과되었습니다. 제휴은행인 미쓰이스미모토 은행에서 납입할 것을 추천합니다! d) 파견교 장학금 혜택 파견교 자체적인 장학금은 없고 일본에서 주는 유학생 장학금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Application 할 때 같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출국 전 준비사항 저는 출국 전에 일본 워홀 간 사람들의 블로그를 많이 찾아보았습니다. 재류카드/보험증 발급, 휴대폰 개통 등이 가장 고민이었는데요. - 일단 첫 번째로 재류카드와 보험증은 학교에서 도와줍니다. 기숙사 입주 첫날 기숙사에서 신청할 수 있으니 학교에서 안내한 입주일에 꼭 시간맞춰 입주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주 이내로 재류카드와 보험증이 나왔던 것 같습니다. - 휴대폰 개통은 한국인 직원이 있는 휴대폰 대리점에 찾아갔습니다. 저는 빅카메라 신주쿠히가시구치점 지하2층 AU Mobile에서 ‘한국인 직원 안내 부탁드립니다’라고 해서 했습니다. 월 30기가에 3,600엔정도에 계약을 했던 것 같습니다. 가서 정신 없이 오티 때문에 정신 없이 지내느라 바로 휴대폰 개통을 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여유롭게 이심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입국 전에 학교에서 제휴 통신사와 휴대폰, 와이파이 공유기를 계약하게 해주는 메일을 보내는데, 훨씬 비싸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와이파이 공유기도 한국에서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기숙사 방에서 와이파이가 터지지 않습니다.) - 하나은행 트래블로그 카드를 발급 받아가길 추천드립니다. 트래블로그 카드로 수수료 없이 출금 가능한 세븐일레븐이 기숙사 근처에 있습니다.(트래블월렛이 가능한 기기는 제가 있을 땐 없었던 것 같아요.) 일본은 여전히 현금을 많이 사용합니다. 기숙사 근처 마트, 음식점은 거의 현금만 받는 곳이 많습니다. 교통카드도 현금으로 충전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입국 전 여유 현금을 꼭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 짐은 30인치 캐리어 하나, 기내용 캐리어 하나 총 두 개를 가져갔습니다. 자리가 없어서 패딩을 못 가져갔는데 날씨가 한국보단 따듯해서 2월까지 패딩 없이 지냈습니다. 유니클로가 한국보다 훨씬 저렴해서 유니클로를 애용했습니다! 너무 많은 옷과 짐을 버리고 와서 혹시라도 쇼핑을 좋아하신다면 캐리어를 큰 거 두 개 가져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일본은 다이소가 무척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물건은 웬만해서는 가서 구매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기숙사 역(히토츠바시가쿠엔역) 근처에 다이소가 있고, 고쿠분지역에 무인양품이 있습니다. 근처 가장 큰 번화가인 타치카와역에 이케아와 니토리 매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불 같은 경우 학교에서 미리 렌탈을 신청할 수 있는 메일을 줍니다. 이불 렌탈은 제가 가장 잘 한 선택 중 하나인데요, 당일엔 힘들어서 절대 이불을 사러 갈 수 없었을 것 같습니다.. 5) 보험 및 비자 저는 강남에 있는 유니티스에서 비자를 우편으로 신청했습니다. 인터넷으로 신청하고 직접 방문 수령하면 됩니다. 일주일도 안 걸렸던 것 같아서 추천합니다. 일본 거주자는 건강보험과 연금보험을 필수로 가입해야 합니다. 두 보험 모두 우편으로 안내물이 오니 항상 기숙사 1층의 우편함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의 경우 한달에 1,000엔정도였던 것 같은데 입국 후 오는 우편물을 가지고 편의점에서 6개월치를 한 번에 납입하면 됩니다. 만약 그것보다 더 적게 거주하게 된다면 귀국시 시약소(주민센터)에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을 가입하면 보험증을 줍니다. 병원에 갈 때는 항상 보험증을 지참해야 하며, 병원비가 우리나라랑 비슷하게 저렴하여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은 드럭스토어에 다양한 종류의 상비약이 잘 갖추어져 있지만 가격대가 비싸기 때문에 병원에서 처방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연금보험은 유학생이라면 면제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면제받기 위해서는 우편으로 대학재학증명서 등의 서류를 따로 보내야 했으므로 항상 우편물을 수시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6) 파견교 소개/소감 히토츠바시 대학교는 도쿄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일본에서는 아주 유명한 학교입니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인지도가 낮아서 한국인 교환학생들이 와세다나 다른 학교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었는데요. 저는 그래서 더 좋았습니다. 서양인 친구들이 훨씬 많았기 때문에 영어로 소통할 기회도 많았습니다. 참고로 제가 파견 갔을 당시 한국인 교환학생은 5명이었던 반면, 프랑스에서 온 교환학생은 9명이었습니다. 일본어도 영어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좋은 학교입니다 .. 저는 막학기에 가서 한 학기밖에 못 있었지만, 가능했다면 꼭 연장 신청을 했을 것 같습니다. 또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일본어 공부를 더 열심히 하고 갔으면 적용해보며 실력을 늘리기에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히토츠바시가 위치한 지역이 도쿄이기는 하지만 23구 안에는 포함되지 않는 외곽 지역입니다. 이건 아쉬운 점도 많고 장점도 있는 부분인데요. 일단 장점으로는, 관광객이 없고 음식점에도 영어메뉴판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많아서 일본어 실력을 늘리기엔 아주 좋았던 것 같습니다. 로컬 느낌을 좋아하신다면 아주 추천입니다. 아쉬운 점은 도쿄 구석구석을 다니기 어려웠다는 점입니다. 저는 도쿄에서의 삶이 너무너무 기대되고 가보고 싶었던 곳도 엄청 많았는데요.. 어디든 한 시간 반에 교통비가 만원 이상 씩 든다고 생각하니까 귀차니즘이 너무 심해졌습니다. 돌아와서 생각해보니 이것도 다 너무 핑계 같고 아쉽습니다. ㅠㅠ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어디로 교환을 가시든간에 매일 문 밖으로 나가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래서 결론은 도쿄 시내와 멀어도 추천입니다! ★ 저는 일본이라는 아날로그의 나라에서 살면서 너무너무 소중한 기억들을 남기고 왔습니다. 만약 히토츠바시로의 교환학생을 고민하고 계신 분이 있으시다면, 완전 추천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2025.04.02 Views 140

안녕하세요, 저는 24-2학기에 일본 히토츠바시 대학으로 교환학생을 다녀 온 경영학과 20학번 현선민입니다. 히토츠바시 대학 혹은 일본으로의 교환학생에 관심이 있으신 학우 분들을 위해 열심히 작성해보았으니 재미있게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1) 수강신청 및 수업: 교환교 수강신청 방식 히토츠바시 대학은 개강 3주 정도 전에 기숙사에 입주할 것을 권고합니다. 일주일동안 매일 다른 내용의 OT를 진행하는데, OT에서 수강신청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본적으로 온라인 추첨제로 이루어지고, 한 학기 안에서도 quarter제를 사용해 가을/겨울 각각의 시간표를 짜야합니다. 몇 가지의 수업(대게는 교양)만 추첨제였고 대부분은 그냥 신청하면 모두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한 쿼터 당 6 credit(단위)을 필수로 들어야 했습니다. 한 교시 당 105분이었고, 105분*6credit을 꼭 채워야 합니다. 여기서 105분 수업 듣다가 고대 와서 75분 들으니 정말 짧게 느껴져서 아주 좋았습니다!! 히토츠바시에서 들을 수 있는 수업은 크게 전공/일본어/그외(교양) 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전공수업은 일본어/영어 수업을 모두 제공하고, 저는 전공은 영어수업만 들었습니다. 일본 대학교는 제미(ゼミ)라고 하는 소수 세미나 수업이 있습니다. 저는 수강하지 않았으나, 일본의 수업방식이 궁금하시다면 수강을 추천합니다! 따로 신청하여 교수님과의 면접 후 합격을 해야 수강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제미는 모두 일본어 수업입니다. - 일본어수업은 OT때 진행하는 일본어시험을 치러야만 수강할 수 있습니다. 일본어 시험은 JLPT와 형식이 같습니다. N2정도의 난이도였던 것 같습니다. 히라가나부터 가르쳐주는 기초 단계(basic)에서부터 상급반(advanced)까지 약 6개의 반으로 나누어져있고, 수강신청 전에 결과가 나와 각자 듣고 싶은 수업을 신청하면 됩니다. Speaking, Writing, Reading, 문법, 한자까지 수업이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Intermidiate Japanese 반이었고 한자, 스피킹, 문법 수업을 들었습니다. 수업이 체계적이고 일본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수업을 통해 정말 많이 늘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교환학생 친구들을 사귀기에도 아주 좋았습니다. - 이외에 저는 credit을 채우기 위해 사회학과 온라인 수업을 일반선택으로 들었습니다. 실라버스를 찾아보면 온라인 수업도 꽤 있었습니다. 실라버스는 한 학기 전에도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했기 때문에 미리 시간표를 짜보는 것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105분 수업이기 때문에 3교시까지만 들어도 한나절이 지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을 잘 찾아보고 시간표를 잘 짜서 공강을 확보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2) 기숙사: a) 교환교로부터의 기숙사 정보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의 내용 (학교 기숙사가 아닌 사설 기숙사 또는 off-campus 시설을 이용한 경우도 해당 내용을 적어주세요) Application 과정에서 기숙사를 같이 신청합니다. 히토츠바시 대학은 기숙사가 전부 제공되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일 것 같은데요, 따로 집을 구해서 살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기숙사가 배정됩니다. 또한 월세도 29,000엔(29만원 이하)으로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기숙사는 개인실/공용실 두 가지 타입이 있고, 둘의 차이는 개인 화장실(변기, 세면대만) 유무입니다. 그 외 키친, 샤워실, 세탁실은 모두 공용입니다. 입주 전 학교에서 설문이 메일로 온다고 하는데 저는 확인을 못 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공용실에 살았으나 일본인 친구도 사귈 수 있었고, 각자 프라이버시가 존중되어 불편한 점은 없었습니다. 그 외에도 기숙사 캠퍼스 내에 공부 공간(플라자), 헬스장 등이 있습니다. 기숙사는 히토츠바시가쿠엔역, 학교는 쿠니타치역에 있습니다. 도어투도어로는 약 40분, 열차 3정거장이고 환승이 필요합니다. 학교와 먼 것이 약간의 단점일 수는 있겠지만 기숙사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괜찮았습니다. 저는 전차를 이용했으나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학생들도 많았습니다. 기숙사 근처에 편의시설이 많은 편은 아니라서 여유가 되신다면 자전거를 구매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숙사에서 이벤트로 자전거 추첨 이벤트도 합니다. 꼭 신청해서 행운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 .. ★ b) 외부 숙소 정보 위에서 언급했듯이 히토츠바시 대학은 기숙사에서 거주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외부에서 살고 싶을 경우 따로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생활 및 기타 a) KUBS BUDDY 와 같은 교환학생 도우미 프로그램 존재여부 존재합니다. 입국 후 학교에서 메일이 오면 구글폼을 통해 제출할 수 있습니다. 기억 상으로는 입국 한 달 정도 후에 안내 메일이 왔던 것 같습니다. 입국 전부터 한 명씩 배정되어 따로 연락이 오고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아니라 생활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파견교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취지로 보입니다. 저는 따로 신청하지는 않았습니다. b) 파견 국가의 교우회 없습니다. c) 물가 일본의 물가는 종합적으로 보면 한국과 비슷합니다. - 식비가 비교적 저렴합니다. 여행할 때와 달리 기숙사나 학교 근처에서 식사를 하다보면 외식물가가 대략 8천원 대에서 해결이 가능합니다. 스키야, 요시노야 같은 규동집부터 한접시에 130엔인 스시로를 자주 이용했습니다. 히토츠바시 대학이 있는 쿠니타치/코쿠분지/코다이라가 도쿄 중심과 멀어 더욱 저렴한 로컬 맛집도 많습니다. 사실 기숙사 근처에는 음식점이 많지 않아 자주 해먹기도 했는데요. 장바구니 물가도 한국보다 저렴한 편입니다. 과일이나 채소는 비슷하거나 혹은 더 비싸기도 하지만 유제품이나 가공식품이 매우 저렴합니다. 또한 마트에서 도시락 종류도 많이 팔고 있기 때문에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편의점보다는 마트를 애용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숙사 근처 마트 중 ‘로피아ロピア’를 강추합니다! 다른 마트보다 훨씬 저렴하고 물건 종류도 많습니다.) - 반면 교통비는 매우 비쌉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한 달동안 약 2만엔 (20만원) 정도를 교통카드 충전대금으로 썼습니다. ㅠㅠ 일본은 노선이 모두 민영화되어 있어 환승 시에도 회사가 바뀐다면 내렸다 다시 타는 개념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기숙사-학교까지 총 세 정거장이지만 환승을 해야 하므로 왕복 6,000원 이상이었습니다. 도쿄 시내까지도 왕복 1만원이 넘기 때문에 놀러다니기에 조금 부담이 되었습니다. 일본 다른 지역까지 이동하는 기차인 신칸센도 매우 비싼데요,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편도 13만원정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비행기를 타고 놀러다녔습니다.. - 수도광열비가 비쌉니다. 기숙사비 29,000엔에 수도광열비 및 관리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따로 납입을 해야 하는데요. 이것도 한 달에 약 20만원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현금으로 납입해야 하는데 기숙사 근처인 은행에서 하면 수수료 700엔 정도가 부과되었습니다. 제휴은행인 미쓰이스미모토 은행에서 납입할 것을 추천합니다! d) 파견교 장학금 혜택 파견교 자체적인 장학금은 없고 일본에서 주는 유학생 장학금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Application 할 때 같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출국 전 준비사항 저는 출국 전에 일본 워홀 간 사람들의 블로그를 많이 찾아보았습니다. 재류카드/보험증 발급, 휴대폰 개통 등이 가장 고민이었는데요. - 일단 첫 번째로 재류카드와 보험증은 학교에서 도와줍니다. 기숙사 입주 첫날 기숙사에서 신청할 수 있으니 학교에서 안내한 입주일에 꼭 시간맞춰 입주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주 이내로 재류카드와 보험증이 나왔던 것 같습니다. - 휴대폰 개통은 한국인 직원이 있는 휴대폰 대리점에 찾아갔습니다. 저는 빅카메라 신주쿠히가시구치점 지하2층 AU Mobile에서 ‘한국인 직원 안내 부탁드립니다’라고 해서 했습니다. 월 30기가에 3,600엔정도에 계약을 했던 것 같습니다. 가서 정신 없이 오티 때문에 정신 없이 지내느라 바로 휴대폰 개통을 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여유롭게 이심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입국 전에 학교에서 제휴 통신사와 휴대폰, 와이파이 공유기를 계약하게 해주는 메일을 보내는데, 훨씬 비싸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와이파이 공유기도 한국에서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기숙사 방에서 와이파이가 터지지 않습니다.) - 하나은행 트래블로그 카드를 발급 받아가길 추천드립니다. 트래블로그 카드로 수수료 없이 출금 가능한 세븐일레븐이 기숙사 근처에 있습니다.(트래블월렛이 가능한 기기는 제가 있을 땐 없었던 것 같아요.) 일본은 여전히 현금을 많이 사용합니다. 기숙사 근처 마트, 음식점은 거의 현금만 받는 곳이 많습니다. 교통카드도 현금으로 충전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입국 전 여유 현금을 꼭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 짐은 30인치 캐리어 하나, 기내용 캐리어 하나 총 두 개를 가져갔습니다. 자리가 없어서 패딩을 못 가져갔는데 날씨가 한국보단 따듯해서 2월까지 패딩 없이 지냈습니다. 유니클로가 한국보다 훨씬 저렴해서 유니클로를 애용했습니다! 너무 많은 옷과 짐을 버리고 와서 혹시라도 쇼핑을 좋아하신다면 캐리어를 큰 거 두 개 가져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일본은 다이소가 무척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물건은 웬만해서는 가서 구매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기숙사 역(히토츠바시가쿠엔역) 근처에 다이소가 있고, 고쿠분지역에 무인양품이 있습니다. 근처 가장 큰 번화가인 타치카와역에 이케아와 니토리 매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불 같은 경우 학교에서 미리 렌탈을 신청할 수 있는 메일을 줍니다. 이불 렌탈은 제가 가장 잘 한 선택 중 하나인데요, 당일엔 힘들어서 절대 이불을 사러 갈 수 없었을 것 같습니다.. 5) 보험 및 비자 저는 강남에 있는 유니티스에서 비자를 우편으로 신청했습니다. 인터넷으로 신청하고 직접 방문 수령하면 됩니다. 일주일도 안 걸렸던 것 같아서 추천합니다. 일본 거주자는 건강보험과 연금보험을 필수로 가입해야 합니다. 두 보험 모두 우편으로 안내물이 오니 항상 기숙사 1층의 우편함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의 경우 한달에 1,000엔정도였던 것 같은데 입국 후 오는 우편물을 가지고 편의점에서 6개월치를 한 번에 납입하면 됩니다. 만약 그것보다 더 적게 거주하게 된다면 귀국시 시약소(주민센터)에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을 가입하면 보험증을 줍니다. 병원에 갈 때는 항상 보험증을 지참해야 하며, 병원비가 우리나라랑 비슷하게 저렴하여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은 드럭스토어에 다양한 종류의 상비약이 잘 갖추어져 있지만 가격대가 비싸기 때문에 병원에서 처방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연금보험은 유학생이라면 면제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면제받기 위해서는 우편으로 대학재학증명서 등의 서류를 따로 보내야 했으므로 항상 우편물을 수시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6) 파견교 소개/소감 히토츠바시 대학교는 도쿄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일본에서는 아주 유명한 학교입니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인지도가 낮아서 한국인 교환학생들이 와세다나 다른 학교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었는데요. 저는 그래서 더 좋았습니다. 서양인 친구들이 훨씬 많았기 때문에 영어로 소통할 기회도 많았습니다. 참고로 제가 파견 갔을 당시 한국인 교환학생은 5명이었던 반면, 프랑스에서 온 교환학생은 9명이었습니다. 일본어도 영어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좋은 학교입니다 .. 저는 막학기에 가서 한 학기밖에 못 있었지만, 가능했다면 꼭 연장 신청을 했을 것 같습니다. 또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일본어 공부를 더 열심히 하고 갔으면 적용해보며 실력을 늘리기에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히토츠바시가 위치한 지역이 도쿄이기는 하지만 23구 안에는 포함되지 않는 외곽 지역입니다. 이건 아쉬운 점도 많고 장점도 있는 부분인데요. 일단 장점으로는, 관광객이 없고 음식점에도 영어메뉴판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많아서 일본어 실력을 늘리기엔 아주 좋았던 것 같습니다. 로컬 느낌을 좋아하신다면 아주 추천입니다. 아쉬운 점은 도쿄 구석구석을 다니기 어려웠다는 점입니다. 저는 도쿄에서의 삶이 너무너무 기대되고 가보고 싶었던 곳도 엄청 많았는데요.. 어디든 한 시간 반에 교통비가 만원 이상 씩 든다고 생각하니까 귀차니즘이 너무 심해졌습니다. 돌아와서 생각해보니 이것도 다 너무 핑계 같고 아쉽습니다. ㅠㅠ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어디로 교환을 가시든간에 매일 문 밖으로 나가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래서 결론은 도쿄 시내와 멀어도 추천입니다! ★ 저는 일본이라는 아날로그의 나라에서 살면서 너무너무 소중한 기억들을 남기고 왔습니다. 만약 히토츠바시로의 교환학생을 고민하고 계신 분이 있으시다면, 완전 추천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안녕하세요. 2024학년도 2학기에 쾰른 대학교에서 교환학생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자유전공학부 경영학과 20학번 이찬혁입니다. 누군가 저에게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언제냐고 묻는다면, 저는 단연코 교환학생 시기였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꿈만 같고 알찬 교환학생 생활을 보냈습니다. 지금 제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은 교환학생 지원을 준비 중이시거나 이미 합격 후 출국 준비를 하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낯선 환경에 대한 긴장과 두려움을 갖고 계실 텐데, 저 역시 기파견 되었던 학우분들의 수기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었던 만큼 제 글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수강신청 및 수업: 교환교 수강신청 방식 수강신청은 KLIPS 사이트를 통해 진행됩니다. 10월 초에 개강하는 가을학기 기준, 8월 중순부터 개설 과목 리스트가 발표되고, 9월 중순부터 희망 과목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 대학교의 타임라인보다 많이 늦어서 걱정하실 수도 있지만, 개강이 그만큼 늦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기다리시면 문제 없습니다. 본격적인 수강신청을 희망과목을 담아두기만 하면 정원을 넘지 않는 한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정원을 넘는 경우 선착순이 아닌 랜덤으로 배정되기 때문에 수강신청 결과가 발표되는 날 정상적으로 신청되었는지 확인하시고, 담지 못한 과목이 있다면 남아 있는 과목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성적을 결정하는 시험은 수강신청과 별도로 이루어집니다. 시험을 신청하는 기한이 따로 있으며, 반드시 해당 기간 내에 시험 신청을 해두어야 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과목별로 시험 신청 기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강의계획서를 참고하시어 시험에 응시하실 계획이시라면 잊지 마시고 신청해두시기 바랍니다. 제가 수강했던 과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Pre-semester German Language Course B1 [9 ECTS] 본격적인 개강 전 9월에 수강할 수 있는 독일어 언어 강의입니다. 수강신청 전에 학교 측에 언어 강의를 수강하고 싶은 지 조사하는 메일을 받으시면 안내에 따라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하시면 레벨테스트를 응시하게 되고, 결과에 따라 반을 배정 받습니다. 저는 파견 전에 고려대학교에서 교양독일어 1, 2를 수강하고 시험을 봤더니 B1 레벨을 받았습니다. A1, A2 레벨을 주2회 수업을 한다고 들었는데, B1 레벨은 월화목금 주4회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수업은 모두 독일어로 이루어져서 약간은 당황했지만, 그만큼 독일어 실력을 많이 향상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학습량이나 난이도가 부담되시면 메일을 보내어 낮은 레벨로 변경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독일어 강의는 Pre-semester 강의와 학기 중 강의 2가지가 있는데, Pre-semester 강의는 9월 한달만 진행되는 반면, 학기 중 강의는 10월부터 1월까지 오랜 기간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Pre-semester 강의를 수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Fundamentals in International Taxation [6 ECTS] 국제경영 환경 속 독일 세법에 따른 기업의 조세 전략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입니다. 기업의 배당, 사채를 통한 세액공제 전략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과제는 따로 없었으며, 시험은 T/F 문제와 개념 및 사례를 분석하는 문제들로 출제되었습니다. 2) 기숙사: a) 교환교로부터의 기숙사 정보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의 내용 (학교 기숙사가 아닌 사설 기숙사 또는 off-campus 시설을 이용한 경우도 해당 내용을 적어주세요) 쾰른 대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기숙사는 없습니다. 쾰른 내에 위치한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숙사를 운영하는 KSTW라는 업체를 통해 기숙사를 구하셔야 합니다. 다만, 독일은 가을학기에 신학기가 시작하기 때문에 가을학기에 파견되시는 분들은 쾰른 내에서 기숙사를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더군다나 카더라에 의하면, 독일은 대학 등록금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가정이 있는 사람들도 학교에 등록하고 학생 신분으로 학생 기숙사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저희 같은 단기 교환학생들은 기숙사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고려대학교에서 쾰른대학교 합격통보를 받으셨다면 즉시 KSTW 홈페이지에서 기숙사 신청을 해두시기 바랍니다. 저 역시 8월에 출국 예정이었지만 1월에 합격자가 발표되자마자 기숙사를 신청했습니다. 저는 주거비에 큰 금액을 지출하고 싶지 않아서 월세는 350유로를 상한선으로 두었고, 1인실 Apartment와 Furnished Room을 신청했습니다. 신청을 완료하셨다면, 매월 1회 기숙사 신청 시 입력하셨던 메일 주소로 확인 메일을 받으실 것입니다. 해당 메일에 있는 링크를 수신일로부터 5일 내에 클릭하셔야 대기 리스트에 이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틈틈이 메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6월 즈음에KSTW 측으로 문의 메일을 보냈습니다. 1월부터 대기 중이었는데 기숙사 오퍼를 받지 못했다는 내용으로 작성했더니 기숙사를 배정해주었습니다. 그러나 신청서에 기재했던 요구사항이 모두 반영되지는 않았고, 월세 318유로(기본 월세 288유로+단기계약 할증 30유로)짜리 반지하에 위치한 6인 WG("Wohngemeinschaft"의 줄임말로, 한 집에 여러 사람이 함께 거주하는 주거 형태)를 배정 받았습니다. 반지하라는 사실은 계약서의 주소에 ‘Souterrain’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쾰른 시내가 아닌 근교도시인 Hürth에 위치한 건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최초 오퍼를 거절하면 대기 리스트 최후순위로 밀려날 뿐더러 쾰른 내에서 기숙사를 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오퍼를 수락했습니다. 처음에는 반지하여서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공간이 넓었고, 9월에도 습기가 많았던 점을 제외하면 괜찮은 방이었기에 만족하면서 지냈습니다. b) 외부 숙소 정보 KSTW에서도 끝내 기숙사를 구하지 못한 친구들은 현지 사무실을 방문했다고 하나 여기서도 구하지 못한 친구들은 개인적으로 내놓는 숙소를 이용해서 방을 구했다고 합니다. 다만, 이렇게 주거를 구하는 경우 기숙사보다 2배 이상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으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생활 및 기타 a) KUBS BUDDY 와 같은 교환학생 도우미 프로그램 존재여부 경영학과가 소속된 WISO에서 교환학생들을 위한 버디를 매칭해줍니다. 다만, 제 버디의 경우에는 인턴십을 병행하고 있다고 해서 인사말만 몇 번 주고 받고 연락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버디와 지속적으로 연락하는 친구들도 있었기에 버디에 따라 교류할 수 있는 정도가 상이한 것 같습니다. 버디 이외에도 학교 측에서 준비한 행사들이 많습니다. 교환학생 환영식, 근교 도시로 여행, 술집을 돌아다니면서 게임을 하는 Pub Crawl 등의 행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딱히 시끌벅적한 행사를 좋아하지 않아서 교환학생 환영식을 포함해서 2~3개의 행사에만 참여했습니다. 다른 행사에는 참여하시지 않더라도 교환학생 환영식은 한국인을 포함해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10월에 열리는 환영식에는 참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b) 파견 국가의 교우회 아는 바가 없습니다. c) 물가 외식 물가는 한국에 비하면 매우 높습니다. 일례로 맥도날드에서 평범한 세트 메뉴가 7~10유로 정도입니다. 일반적인 식당에서도 최소 15유로 이상은 지불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마트에서 식재료를 구매하셔서 요리를 하시게 될텐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독일도 물가가 꽤 올라서 과거에 비해 엄청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비싼 빵이나 과일류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쾰른 시내에 있는 GoAsia나 뒤셀도르프에 있는 하나로마트에서 한식 재료들을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팁으로 GoAsia는 매월 첫째주 토요일에 10% 할인 행사를 진행하므로 쇼핑 계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 파견교 장학금 혜택 쾰른 대학교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장학금은 들은 바가 없으나, 독일학술교류처 DAAD에서 독일 유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장학금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자세하게 찾아보지 않았지만, 해당되시는 분들은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출국 전 준비사항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여권, 보험, 슈페어콘토, (비자; 비자는 후술하듯이 현지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등을 제외하고 부차적으로 준비하면 좋을 것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의류입니다. 현지에서도 의류나 신발을 구매하실 수 있지만, 한국과 비교하여 가격이 크게 저렴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습니다. 또한 온라인 쇼핑 등을 통해 택배를 받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한국처럼 문앞배송을 하지 않고 반드시 수령인이 있어야 합니다) 좋아하는 옷이나 신발들은 한국에서 챙겨오시거나 구매하시는 것들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렌트카 여행을 생각 중이신 분들을 위한 팁입니다. 해외에서 운전을 하시려면 국제운전면허증이 필요합니다. 이는 영문 운전면허증과 다른 책자형 문서입니다. 자세한 발급 방법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알아보시면 되나, 해외에서는 발급이 불가능하고 한국의 경찰서에서만 발급이 가능하오니 렌트카 예약을 계획 중이시라면 꼭 한국에서 미리 발급하고 출국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대부분의 유럽 내 렌트카 업체에서 보증금 명목으로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체크카드는 불가합니다. 보통 500 ~ 600유로 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발급 가능여부 및 한도를 확인하시고 여행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5) 보험 및 비자 보험은 Expatrio에서 슈페어콘토(비자 발급을 위한 재정증명서)를 신청하면서 TK 공보험을 함께 신청했습니다. 보험료는 나이 및 파견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한달에 약 140유로 정도였습니다. 병원을 가실 일이 없으시다면 상당히 아까운 금액이지만, 비자 발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류이기 때문에 사전에 신청해두시기 바랍니다. 보험증서를 발급 받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출국 2달 전 정도에 슈페어콘토를 만드실 때 함께 가입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혹여 병원에 가시게 된다면, 보험 가입이 완료된 이후에 수령하는 카드를 지참하시어 병원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복지가 잘 되어 있는 독일답게 웬만한 진료는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저는 이용하지 않았으나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면 가다실 주사나 알레르기 검사 등을 받고 환급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기 때문에 아까운 보험료를 잘 활용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독일 비자를 받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신청하거나 독일 현지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 발급 받기 위해서는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잡아야 하는데 교환학생이 몰리는 방학 시즌에는 빈자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저는 실패했습니다. 최근에는 예약을 신청하면, 대사관 측에서 알아서 날짜를 배정해주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고 들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에서 비자를 받지 못하고 독일에 오셨다면 한가지 주의하실 부분이 있습니다. 교환학생에게 필요한, 주한독일대사관에서 발급하는 비자는 한국 내 대사관에서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독일 현지에서는 비자를 어떻게 신청하는지 의문을 가지실텐데, 독일 현지에서 신청하는 것은 비자가 아닌 ‘거주허가증’입니다. 비자가 없는 EU 이외의 국민이 독일에서 쉥겐조약의 90일 이상을 체류하려면 거주허가증이 필요합니다. 거주허가증은 합법적으로 독일에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을 증명해주기 때문에 비자와 사실상 유사한 효력을 가지고 있어서 편의상 비자라고 불립니다. 저는 한국에서 비자를 발급하지 않고 독일에 입국했기 때문에 현지에서 거주허가증을 신청했습니다. 쾰른 시내가 아닌 Hürth에 주거를 구하셨다면, 쾰른에서 기차로 약 1시간 떨어진 Bergheim에 위치한 외국인청에 거주허가증을 신청해야 합니다. 다만, 방문이나 전화접수는 받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청 메일 주소인 abh@rhein-erft-kreis.de로 거주허가증을 신청하고 메일을 보내야 합니다. 이때, 상술했듯이 ‘비자(das Visum)’이 아닌 ‘거주허가증(die Aufenthaltserlaubnis)’을 신청한다는 내용을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메일은 ChatGPT 등을 활용하여 꼭 독일어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최초 메일을 보내고 약 2주 후에 여권, 안멜둥 서류, 비자를 제출하라는 답장을 받았습니다. 이때 비자는 한국에서 받지 못해서 여권과 안멜둥 서류만 제출했더니 비자가 필요하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의 법률조항을 첨부해서 한국인은 독일 현지에서 거주허가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담당자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Aufenthaltsverordnung (AufenthV) § 41 Vergünstigung für Angehörige bestimmter Staaten (1) Staatsangehörige von Australien, Israel, Japan, Kanada, der Republik Korea, von Neuseeland, des Vereinigten Königreichs Großbritannien und Nordirland im Sinne des § 1 Absatz 2 Nummer 6 des Freizügigkeitsgesetzes/EU und der Vereinigten Staaten von Amerika können auch für einen Aufenthalt, der kein Kurzaufenthalt ist, visumfrei in das Bundesgebiet einreisen und sich darin aufhalten. Ein erforderlicher Aufenthaltstitel kann im Bundesgebiet eingeholt werden. 외국인청에서 요청한 서류를 제출하시면, (저는 2주 후에) 외국인청에 방문할 날짜를 알려주는 우편 또는 메일을 받으실 것입니다. 안내 받은 날짜에 외국인청을 방문하시어 서류를 제출하시면 임시 거주허가증을 발급해줍니다. 비자가 없이 입국하셨다면, 독일 내에서만 체류할 수 있는 허가증을 줄 것입니다. 정식 거주허가증을 받기 전까지는 독일을 벗어나실 수 없습니다(그래서 저는 이 기간 동안 독일 도시 여행을 했습니다.). 이후 외국인청으로부터 거주허가증이 발급되었으니 수령하러 오라는 연락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최초 메일을 보낸 시점으로부터 거주허가증 수령까지 약 4개월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처럼 현지에서 거주허가증을 신청하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한국에서 비자를 발급 받아 오시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6) 파견교 소개 쾰른 대학교의 캠퍼스는 쾰른 시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꽤 규모가 큽니다. 강의실을 찾으실 때 약간 헤매실 수도 있습니다. 강의가 시작하기 전에 강의실 위치를 미리 파악해 두시거나 주변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친절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쾰른이라는 도시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쾰른은 독일 내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기 때문에 독일 전역뿐만 아니라 인접 국가인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으로 향하는 기차도 자주 다닙니다. 또한, 쾰른 내 자체 공항인 쾰른/본 공항과 더불어 기차로 약 1시간 거리의 프랑크푸르트 공항과 기차로 약 1시간 30분 거리의 뒤셀도르프 공항도 있기 때문에 유럽 각국뿐만 아니라 모로코, 이집트, 튀르키예 같은 다양한 국가로 여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우수한 인프라 덕분에 실제로 저는 18개국을 여행하고 돌아왔습니다. 독일로 교환학생을 오고 싶어하는 분들은 학교 선택을 고민하고 계실텐데, 저처럼 여행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주거와 비자 문제만 원활하게 해결된다면) 쾰른 대학교를 적극 추천드립니다. 7) 마치며 어렸을 적부터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면서 살아왔는데, 이번 교환학생 생활 동안 또 한번 소중한 인연들을 만날 수 있었고, 알고 지냈던 인연들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가히 쾰른을 저의 3번째 고향이라고 부를 만큼 많은 정이 들었던 곳입니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면서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해보고 싶다는 진로 방향도 계획할 수 있었습니다. 인생에서 다시는 없을 순간들이었기에 아쉬움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설렘을 안고 낙관적인 인생을 이어나가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었던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교환학생 생활을 꿈꾸시는 여러분도 후회 없는 경험을 만들고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환학생 생활, 비자 준비, 여행 관련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셔도 됩니다:) ** 사진은 쾰른 대성당, FC쾰른 홈구장, 모로코의 사하라 사막, 핀란드의 오로라입니다!

2025.03.31 Views 130

안녕하세요. 2024학년도 2학기에 쾰른 대학교에서 교환학생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자유전공학부 경영학과 20학번 이찬혁입니다. 누군가 저에게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언제냐고 묻는다면, 저는 단연코 교환학생 시기였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꿈만 같고 알찬 교환학생 생활을 보냈습니다. 지금 제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은 교환학생 지원을 준비 중이시거나 이미 합격 후 출국 준비를 하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낯선 환경에 대한 긴장과 두려움을 갖고 계실 텐데, 저 역시 기파견 되었던 학우분들의 수기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었던 만큼 제 글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수강신청 및 수업: 교환교 수강신청 방식 수강신청은 KLIPS 사이트를 통해 진행됩니다. 10월 초에 개강하는 가을학기 기준, 8월 중순부터 개설 과목 리스트가 발표되고, 9월 중순부터 희망 과목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 대학교의 타임라인보다 많이 늦어서 걱정하실 수도 있지만, 개강이 그만큼 늦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기다리시면 문제 없습니다. 본격적인 수강신청을 희망과목을 담아두기만 하면 정원을 넘지 않는 한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정원을 넘는 경우 선착순이 아닌 랜덤으로 배정되기 때문에 수강신청 결과가 발표되는 날 정상적으로 신청되었는지 확인하시고, 담지 못한 과목이 있다면 남아 있는 과목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성적을 결정하는 시험은 수강신청과 별도로 이루어집니다. 시험을 신청하는 기한이 따로 있으며, 반드시 해당 기간 내에 시험 신청을 해두어야 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과목별로 시험 신청 기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강의계획서를 참고하시어 시험에 응시하실 계획이시라면 잊지 마시고 신청해두시기 바랍니다. 제가 수강했던 과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Pre-semester German Language Course B1 [9 ECTS] 본격적인 개강 전 9월에 수강할 수 있는 독일어 언어 강의입니다. 수강신청 전에 학교 측에 언어 강의를 수강하고 싶은 지 조사하는 메일을 받으시면 안내에 따라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하시면 레벨테스트를 응시하게 되고, 결과에 따라 반을 배정 받습니다. 저는 파견 전에 고려대학교에서 교양독일어 1, 2를 수강하고 시험을 봤더니 B1 레벨을 받았습니다. A1, A2 레벨을 주2회 수업을 한다고 들었는데, B1 레벨은 월화목금 주4회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수업은 모두 독일어로 이루어져서 약간은 당황했지만, 그만큼 독일어 실력을 많이 향상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학습량이나 난이도가 부담되시면 메일을 보내어 낮은 레벨로 변경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독일어 강의는 Pre-semester 강의와 학기 중 강의 2가지가 있는데, Pre-semester 강의는 9월 한달만 진행되는 반면, 학기 중 강의는 10월부터 1월까지 오랜 기간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Pre-semester 강의를 수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Fundamentals in International Taxation [6 ECTS] 국제경영 환경 속 독일 세법에 따른 기업의 조세 전략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입니다. 기업의 배당, 사채를 통한 세액공제 전략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과제는 따로 없었으며, 시험은 T/F 문제와 개념 및 사례를 분석하는 문제들로 출제되었습니다. 2) 기숙사: a) 교환교로부터의 기숙사 정보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의 내용 (학교 기숙사가 아닌 사설 기숙사 또는 off-campus 시설을 이용한 경우도 해당 내용을 적어주세요) 쾰른 대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기숙사는 없습니다. 쾰른 내에 위치한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숙사를 운영하는 KSTW라는 업체를 통해 기숙사를 구하셔야 합니다. 다만, 독일은 가을학기에 신학기가 시작하기 때문에 가을학기에 파견되시는 분들은 쾰른 내에서 기숙사를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더군다나 카더라에 의하면, 독일은 대학 등록금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가정이 있는 사람들도 학교에 등록하고 학생 신분으로 학생 기숙사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저희 같은 단기 교환학생들은 기숙사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고려대학교에서 쾰른대학교 합격통보를 받으셨다면 즉시 KSTW 홈페이지에서 기숙사 신청을 해두시기 바랍니다. 저 역시 8월에 출국 예정이었지만 1월에 합격자가 발표되자마자 기숙사를 신청했습니다. 저는 주거비에 큰 금액을 지출하고 싶지 않아서 월세는 350유로를 상한선으로 두었고, 1인실 Apartment와 Furnished Room을 신청했습니다. 신청을 완료하셨다면, 매월 1회 기숙사 신청 시 입력하셨던 메일 주소로 확인 메일을 받으실 것입니다. 해당 메일에 있는 링크를 수신일로부터 5일 내에 클릭하셔야 대기 리스트에 이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틈틈이 메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6월 즈음에KSTW 측으로 문의 메일을 보냈습니다. 1월부터 대기 중이었는데 기숙사 오퍼를 받지 못했다는 내용으로 작성했더니 기숙사를 배정해주었습니다. 그러나 신청서에 기재했던 요구사항이 모두 반영되지는 않았고, 월세 318유로(기본 월세 288유로+단기계약 할증 30유로)짜리 반지하에 위치한 6인 WG("Wohngemeinschaft"의 줄임말로, 한 집에 여러 사람이 함께 거주하는 주거 형태)를 배정 받았습니다. 반지하라는 사실은 계약서의 주소에 ‘Souterrain’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쾰른 시내가 아닌 근교도시인 Hürth에 위치한 건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최초 오퍼를 거절하면 대기 리스트 최후순위로 밀려날 뿐더러 쾰른 내에서 기숙사를 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오퍼를 수락했습니다. 처음에는 반지하여서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공간이 넓었고, 9월에도 습기가 많았던 점을 제외하면 괜찮은 방이었기에 만족하면서 지냈습니다. b) 외부 숙소 정보 KSTW에서도 끝내 기숙사를 구하지 못한 친구들은 현지 사무실을 방문했다고 하나 여기서도 구하지 못한 친구들은 개인적으로 내놓는 숙소를 이용해서 방을 구했다고 합니다. 다만, 이렇게 주거를 구하는 경우 기숙사보다 2배 이상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으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생활 및 기타 a) KUBS BUDDY 와 같은 교환학생 도우미 프로그램 존재여부 경영학과가 소속된 WISO에서 교환학생들을 위한 버디를 매칭해줍니다. 다만, 제 버디의 경우에는 인턴십을 병행하고 있다고 해서 인사말만 몇 번 주고 받고 연락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버디와 지속적으로 연락하는 친구들도 있었기에 버디에 따라 교류할 수 있는 정도가 상이한 것 같습니다. 버디 이외에도 학교 측에서 준비한 행사들이 많습니다. 교환학생 환영식, 근교 도시로 여행, 술집을 돌아다니면서 게임을 하는 Pub Crawl 등의 행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딱히 시끌벅적한 행사를 좋아하지 않아서 교환학생 환영식을 포함해서 2~3개의 행사에만 참여했습니다. 다른 행사에는 참여하시지 않더라도 교환학생 환영식은 한국인을 포함해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10월에 열리는 환영식에는 참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b) 파견 국가의 교우회 아는 바가 없습니다. c) 물가 외식 물가는 한국에 비하면 매우 높습니다. 일례로 맥도날드에서 평범한 세트 메뉴가 7~10유로 정도입니다. 일반적인 식당에서도 최소 15유로 이상은 지불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마트에서 식재료를 구매하셔서 요리를 하시게 될텐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독일도 물가가 꽤 올라서 과거에 비해 엄청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비싼 빵이나 과일류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쾰른 시내에 있는 GoAsia나 뒤셀도르프에 있는 하나로마트에서 한식 재료들을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팁으로 GoAsia는 매월 첫째주 토요일에 10% 할인 행사를 진행하므로 쇼핑 계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 파견교 장학금 혜택 쾰른 대학교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장학금은 들은 바가 없으나, 독일학술교류처 DAAD에서 독일 유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장학금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자세하게 찾아보지 않았지만, 해당되시는 분들은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출국 전 준비사항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여권, 보험, 슈페어콘토, (비자; 비자는 후술하듯이 현지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등을 제외하고 부차적으로 준비하면 좋을 것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의류입니다. 현지에서도 의류나 신발을 구매하실 수 있지만, 한국과 비교하여 가격이 크게 저렴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습니다. 또한 온라인 쇼핑 등을 통해 택배를 받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한국처럼 문앞배송을 하지 않고 반드시 수령인이 있어야 합니다) 좋아하는 옷이나 신발들은 한국에서 챙겨오시거나 구매하시는 것들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렌트카 여행을 생각 중이신 분들을 위한 팁입니다. 해외에서 운전을 하시려면 국제운전면허증이 필요합니다. 이는 영문 운전면허증과 다른 책자형 문서입니다. 자세한 발급 방법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알아보시면 되나, 해외에서는 발급이 불가능하고 한국의 경찰서에서만 발급이 가능하오니 렌트카 예약을 계획 중이시라면 꼭 한국에서 미리 발급하고 출국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대부분의 유럽 내 렌트카 업체에서 보증금 명목으로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체크카드는 불가합니다. 보통 500 ~ 600유로 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발급 가능여부 및 한도를 확인하시고 여행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5) 보험 및 비자 보험은 Expatrio에서 슈페어콘토(비자 발급을 위한 재정증명서)를 신청하면서 TK 공보험을 함께 신청했습니다. 보험료는 나이 및 파견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한달에 약 140유로 정도였습니다. 병원을 가실 일이 없으시다면 상당히 아까운 금액이지만, 비자 발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류이기 때문에 사전에 신청해두시기 바랍니다. 보험증서를 발급 받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출국 2달 전 정도에 슈페어콘토를 만드실 때 함께 가입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혹여 병원에 가시게 된다면, 보험 가입이 완료된 이후에 수령하는 카드를 지참하시어 병원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복지가 잘 되어 있는 독일답게 웬만한 진료는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저는 이용하지 않았으나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면 가다실 주사나 알레르기 검사 등을 받고 환급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기 때문에 아까운 보험료를 잘 활용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독일 비자를 받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신청하거나 독일 현지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 발급 받기 위해서는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잡아야 하는데 교환학생이 몰리는 방학 시즌에는 빈자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저는 실패했습니다. 최근에는 예약을 신청하면, 대사관 측에서 알아서 날짜를 배정해주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고 들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에서 비자를 받지 못하고 독일에 오셨다면 한가지 주의하실 부분이 있습니다. 교환학생에게 필요한, 주한독일대사관에서 발급하는 비자는 한국 내 대사관에서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독일 현지에서는 비자를 어떻게 신청하는지 의문을 가지실텐데, 독일 현지에서 신청하는 것은 비자가 아닌 ‘거주허가증’입니다. 비자가 없는 EU 이외의 국민이 독일에서 쉥겐조약의 90일 이상을 체류하려면 거주허가증이 필요합니다. 거주허가증은 합법적으로 독일에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을 증명해주기 때문에 비자와 사실상 유사한 효력을 가지고 있어서 편의상 비자라고 불립니다. 저는 한국에서 비자를 발급하지 않고 독일에 입국했기 때문에 현지에서 거주허가증을 신청했습니다. 쾰른 시내가 아닌 Hürth에 주거를 구하셨다면, 쾰른에서 기차로 약 1시간 떨어진 Bergheim에 위치한 외국인청에 거주허가증을 신청해야 합니다. 다만, 방문이나 전화접수는 받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청 메일 주소인 abh@rhein-erft-kreis.de로 거주허가증을 신청하고 메일을 보내야 합니다. 이때, 상술했듯이 ‘비자(das Visum)’이 아닌 ‘거주허가증(die Aufenthaltserlaubnis)’을 신청한다는 내용을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메일은 ChatGPT 등을 활용하여 꼭 독일어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최초 메일을 보내고 약 2주 후에 여권, 안멜둥 서류, 비자를 제출하라는 답장을 받았습니다. 이때 비자는 한국에서 받지 못해서 여권과 안멜둥 서류만 제출했더니 비자가 필요하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의 법률조항을 첨부해서 한국인은 독일 현지에서 거주허가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담당자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Aufenthaltsverordnung (AufenthV) § 41 Vergünstigung für Angehörige bestimmter Staaten (1) Staatsangehörige von Australien, Israel, Japan, Kanada, der Republik Korea, von Neuseeland, des Vereinigten Königreichs Großbritannien und Nordirland im Sinne des § 1 Absatz 2 Nummer 6 des Freizügigkeitsgesetzes/EU und der Vereinigten Staaten von Amerika können auch für einen Aufenthalt, der kein Kurzaufenthalt ist, visumfrei in das Bundesgebiet einreisen und sich darin aufhalten. Ein erforderlicher Aufenthaltstitel kann im Bundesgebiet eingeholt werden. 외국인청에서 요청한 서류를 제출하시면, (저는 2주 후에) 외국인청에 방문할 날짜를 알려주는 우편 또는 메일을 받으실 것입니다. 안내 받은 날짜에 외국인청을 방문하시어 서류를 제출하시면 임시 거주허가증을 발급해줍니다. 비자가 없이 입국하셨다면, 독일 내에서만 체류할 수 있는 허가증을 줄 것입니다. 정식 거주허가증을 받기 전까지는 독일을 벗어나실 수 없습니다(그래서 저는 이 기간 동안 독일 도시 여행을 했습니다.). 이후 외국인청으로부터 거주허가증이 발급되었으니 수령하러 오라는 연락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최초 메일을 보낸 시점으로부터 거주허가증 수령까지 약 4개월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처럼 현지에서 거주허가증을 신청하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한국에서 비자를 발급 받아 오시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6) 파견교 소개 쾰른 대학교의 캠퍼스는 쾰른 시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꽤 규모가 큽니다. 강의실을 찾으실 때 약간 헤매실 수도 있습니다. 강의가 시작하기 전에 강의실 위치를 미리 파악해 두시거나 주변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친절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쾰른이라는 도시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쾰른은 독일 내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기 때문에 독일 전역뿐만 아니라 인접 국가인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으로 향하는 기차도 자주 다닙니다. 또한, 쾰른 내 자체 공항인 쾰른/본 공항과 더불어 기차로 약 1시간 거리의 프랑크푸르트 공항과 기차로 약 1시간 30분 거리의 뒤셀도르프 공항도 있기 때문에 유럽 각국뿐만 아니라 모로코, 이집트, 튀르키예 같은 다양한 국가로 여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우수한 인프라 덕분에 실제로 저는 18개국을 여행하고 돌아왔습니다. 독일로 교환학생을 오고 싶어하는 분들은 학교 선택을 고민하고 계실텐데, 저처럼 여행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주거와 비자 문제만 원활하게 해결된다면) 쾰른 대학교를 적극 추천드립니다. 7) 마치며 어렸을 적부터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면서 살아왔는데, 이번 교환학생 생활 동안 또 한번 소중한 인연들을 만날 수 있었고, 알고 지냈던 인연들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가히 쾰른을 저의 3번째 고향이라고 부를 만큼 많은 정이 들었던 곳입니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면서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해보고 싶다는 진로 방향도 계획할 수 있었습니다. 인생에서 다시는 없을 순간들이었기에 아쉬움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설렘을 안고 낙관적인 인생을 이어나가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었던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교환학생 생활을 꿈꾸시는 여러분도 후회 없는 경험을 만들고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환학생 생활, 비자 준비, 여행 관련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셔도 됩니다:) ** 사진은 쾰른 대성당, FC쾰른 홈구장, 모로코의 사하라 사막, 핀란드의 오로라입니다!
  • 1
  • 2
  • 3
  • 4
  • 5
  • 마지막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