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aduate
Student Experience
프랑스 ESSEC Business School
2013120132 이진란
2. 준비과정
-비자신청
비자 신청의 경우 블로그에 검색해보면 많이들 찾으시겠지만 캠퍼스 프랑스에 먼저 서류를 등기로 송부한 후 간단한 OT 면접을 진행, 이후 대사관에 들러 면접을 보고 비자를 택배로 전달받게 됩니다. ESSEC business school의 가을 학기는 9월 개강으로, acceptance letter가 국제우편으로 7월 중순에야 도착하는 바람에 굉장히 애가 탔었습니다. 때문에 미리 캠퍼스 프랑스의 서류를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대사관면접을 캠퍼스 프랑스에서 신청하기 때문에 면접날 되도록이면 일찍 가셔서 예약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혹시 대사관 면접날짜가 너무 늦는다면 추후에 집에서 예약을 앞당길 수 있으니 너무 걱정 마시고(자리가 비는 경우에 한해서지만 저는 3~4일 정도 앞당길 수 있었습니다), 되도록이면 모든 서류 처리를 빨리 하시는 게 그나마 안전함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아포스티유 발급과 번역 공증
이는 CAF에서 APL(주거 보조금)을 받을 계획이 있는 학생들에게만 필요한 사항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프랑스의 ‘출생증명서’가 따로 없기 때문에 기본증명서와 가족관계증명서를 외교부 여권과에서 아포스티유를 발급받아 이를 출생증명서로 갈음하여 번역 공증을 받으면 됩니다. 공증의 경우 한국에서는 장당 30,000원이 넘는다고 들었는데 저는 파리 125 Rue de Grenelle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하루 정도 걸려서 3.2유로에 발급받았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으니 파리에서 받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비행기/보험
저는 비자를 발급받고 항공권을 사면 너무 비쌀 것 같아서 6월에 미리 항공권을 예매했습니다. 당시 8월 초 성수기에 출국하여 약 130만원 정도에 구매하였고,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는 루프트한자 항공사를 이용하였는데 딱히 큰 불편함 없이 무난한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보험 같은 경우 Non-European이나 한 학기 교환학생 경우 ESSEC에서 제공하는 보험을 들 수 없고 사보험을 들어가야 하는데 어떤 보험을 들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크게 제약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 보통의 유학생 보험을 들어갔고, 증빙서류(영문)을 제출하기만 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3. 수업 및 학교생활
1)i-xperience week
개강 전 3일간 필요한 행정업무와 학교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OT가 있고 그 뒤 일주일간 I-xperience라는 것을 진행합니다. 주로 오전에 사업가, 교수, 예술가, 소믈리에 등의 강의를 듣고 오후에 정해진 반, 조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학교 내에 없지만 수강하고 싶은 과목을 조별로 만들어 발표하기도 하고(이 중 정말 좋다고 생각되는 과목은 실제로 생기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도 합니다. 스케줄이 꽤 빡빡하고 컨텐츠가 지루할 때도 있었지만 이 때 교환학생들, 정규학생들끼리 교류가 가장 많으며 가장 많이 친구들을 사귀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수강신청
수강신청 날에 학교 포탈에 들어가 미리 정한 과목들을 등록하면 되는 시스템으로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교환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과목은 한정되어 있고,
이는 메일로 나누어준 안내사항과 포탈 사이트에 자세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수강신청이 한국에서처럼 치열하지는 않지만 시스템 오류가 꽤 있습니다. 첫 번째 round에서 시스템이 제 시간에 열리지 않아 시간을 재공지하고 다시 수강신청을 했었습니다. 개강 이후 정정 기간에 수강 과목을 바꾸거나 새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시스템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번 확인해야하고 꽤 번거롭습니다.(애초에 신청하실 때 최대한 많이 신청하시고 후에 드랍하는게 가장 편합니다.)
-수업
1) Consolidated Accounting: 고급회계에서 배우는 연결재무제표에 대해 배우는 과목으로 꽤 난이도가 있는 수업입니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자세히 설명하시고 간단한 예제부터 심화문제까지 문제풀이를 많이 하므로 열심히 하시면 따라갈 수 있습니다. 출석체크는 가끔 하고 케이스 분석을 하는 팀플이 한 번 있으며, 과제도 2-3번 정도 있습니다.
2) European Economics: 거시경제학에 가까운 수업입니다. 하지만 실제 유럽국가들의 예시를 통해 이론을 배우고 또 적용하기 때문에 보통의 경제수업보다는 재미있습니다. 교수님은 전형적인 프랑스인으로 조금 까다로운 부분이 있지만 매우 유쾌하시기도 합니다. EU에 속한 두 나라를 비교분석하는 팀플이 1번 있고, 중간/기말 고사는 필기만 조금하시면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3) International Economics: 국제재무와 거시경제를 합쳐놓은 과목입니다. 교수님이 굉장히 조용히 말씀하시는 편이기 때문에 집중하기가 힘들지만 평소 재무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어렵지 않은 과목입니다. 과제와 팀플은 없고 오로지 출석과 중간/기말고사 만으로 성적이 결정됩니다.
4) International Contract Law: 나라간의 거래/무역조건과 관련법에 대해 배우는 과목입니다. 중간고사와 기말대체 팀프로젝트로 성적을 결정하는데 중간고사는 치팅시트 한 장을 허용하기 때문에 매우 수월하였습니다. 또 팀프로젝트 발표를 프레젼테이션으로 하지 않고 앉아서 회의하듯이 발표하는 것이 매우 신선한 수업이었습니다.
5) Management of Organization 조직관리론이지만 실제로는 조직행동론과 매우 비슷한 수업이었습니다. 시험은 보지 않지만 거의 매주 과제가 있고 팀플이 두 번 있습니다. 교수님이 매우 친절하시고 열정이 있으시고 다양한 액티비티를 진행하십니다. 토론과 발표가 자유롭고 친구들을 많이 사귈 수 있어 재밌게 들은 수업입니다.
6) Beginner French 저는 불어를 처음 배우는 거라 매우 즐거운 수업이었습니다. 다른 국가의 유럽학생들은 말이 비슷하기도 하고 배운 적이 많은 터라 그에 비하면 많이 뒤처지긴 하지만 프랑스 특유의 문화와 언어를 함께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4. 기타 생활
-은행
ESSEC의 경우 I-xperience week동안 welcome center라는 곳이 생깁니다. 그곳에서 ofii, caf등을 쉽게 신청할 수 있고 은행계좌 또한 자신이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보통 BNP나 Sociate Generale를 많이 쓰고 두 지점 다 학교에서 가까워 편리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많이 학생들이 신청하기 때문에 계좌를 열기까지 최소 2주 이상 소요되고 한국으로 돌아올 때 계좌를 없애는 것도 꽤 시간이 걸립니다. 한국과 많이 다른 시스템 때문에 신기하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주택보조금을 신청하지 않는다면 하나은행 비바체크카드를 이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핸드폰
핸드폰의 경우, 보통 Free mobile의 19.99유로 요금을 많이 이용합니다. 데이터 무제한, 프랑스내 전화 및 문자 무제한, 한국으로 집 전화 무료입니다. Free mobile이 통화와 인터넷 품질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고 하지만 저는 쓰기에 큰 무리가 없었습니다.(어느 통신사나 한국에 비해 품질이 매우 떨어지고 지하철에서 인터넷이 안 됩니다.)
-교통
교통의 경우 보통 1-5존 Navigo를 구매해서 사용합니다. 한 달용이 원래는 100유로가 넘었으나 프랑스 내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자는 취지에서 2015-2학기 기준 70유로로 내려갔습니다. 또 Navigo카드에 사진을 부착하라고 하는데 무시하지 마시고 꼭 사진을 붙이시길 바랍니다. 검사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이것 때문에 꽤 큰 금액의 벌금을 내는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기숙사: 대부분의 교환학생들은 Cergy le Hault에 거주합니다. 모두 1인실로 각 방에 주방과 욕실이 따로 있는 스튜디오 형식입니다. 학교에서 RER로 3정거장 정도 거리에 있으며 시설은 무난합니다. 기숙사 내에 세탁방, 헬스장등의 시설이 있으며 가까운 곳에 마트(Cssino, Franprix)도 있어 장을 보거나 생활용품을 구매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기숙사라고 해서 저렴한 편은 아니지만 기숙사에 살면 친구들과 많이 어울릴 수 있고 또 학교에서 보조금 받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매우 편리합니다.
처음에 프랑스에 도착했을 때는 느린 행정처리 때문에 프랑스에 온 것을 후회한 적이 있지만 적응이 되면 프랑스, 특히나 파리는 정말 많은 것을 누릴 수 있는 곳입니다. 유럽 학생증으로 대부분의 미술관과 박물관을 무료로 즐길 수 있고, 작은 골목의 멋진 카페나 여유가 넘치는 공원에 앉아있기만 해도 행복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른 분들도 잘 선택하셔서 뜻 깊은 교환학생 생활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끝으로 이런 기회를 제공해주신 경영대학 국제실 선생님들께 감사인사 드리며 이만 체험수기를 마치겠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sksms5247@gmail.com으로 메일보내주세요 ;)
2013120132 이진란
2. 준비과정
-비자신청
비자 신청의 경우 블로그에 검색해보면 많이들 찾으시겠지만 캠퍼스 프랑스에 먼저 서류를 등기로 송부한 후 간단한 OT 면접을 진행, 이후 대사관에 들러 면접을 보고 비자를 택배로 전달받게 됩니다. ESSEC business school의 가을 학기는 9월 개강으로, acceptance letter가 국제우편으로 7월 중순에야 도착하는 바람에 굉장히 애가 탔었습니다. 때문에 미리 캠퍼스 프랑스의 서류를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대사관면접을 캠퍼스 프랑스에서 신청하기 때문에 면접날 되도록이면 일찍 가셔서 예약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혹시 대사관 면접날짜가 너무 늦는다면 추후에 집에서 예약을 앞당길 수 있으니 너무 걱정 마시고(자리가 비는 경우에 한해서지만 저는 3~4일 정도 앞당길 수 있었습니다), 되도록이면 모든 서류 처리를 빨리 하시는 게 그나마 안전함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아포스티유 발급과 번역 공증
이는 CAF에서 APL(주거 보조금)을 받을 계획이 있는 학생들에게만 필요한 사항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프랑스의 ‘출생증명서’가 따로 없기 때문에 기본증명서와 가족관계증명서를 외교부 여권과에서 아포스티유를 발급받아 이를 출생증명서로 갈음하여 번역 공증을 받으면 됩니다. 공증의 경우 한국에서는 장당 30,000원이 넘는다고 들었는데 저는 파리 125 Rue de Grenelle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하루 정도 걸려서 3.2유로에 발급받았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으니 파리에서 받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비행기/보험
저는 비자를 발급받고 항공권을 사면 너무 비쌀 것 같아서 6월에 미리 항공권을 예매했습니다. 당시 8월 초 성수기에 출국하여 약 130만원 정도에 구매하였고,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는 루프트한자 항공사를 이용하였는데 딱히 큰 불편함 없이 무난한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보험 같은 경우 Non-European이나 한 학기 교환학생 경우 ESSEC에서 제공하는 보험을 들 수 없고 사보험을 들어가야 하는데 어떤 보험을 들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크게 제약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 보통의 유학생 보험을 들어갔고, 증빙서류(영문)을 제출하기만 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3. 수업 및 학교생활
1)i-xperience week
개강 전 3일간 필요한 행정업무와 학교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OT가 있고 그 뒤 일주일간 I-xperience라는 것을 진행합니다. 주로 오전에 사업가, 교수, 예술가, 소믈리에 등의 강의를 듣고 오후에 정해진 반, 조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학교 내에 없지만 수강하고 싶은 과목을 조별로 만들어 발표하기도 하고(이 중 정말 좋다고 생각되는 과목은 실제로 생기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도 합니다. 스케줄이 꽤 빡빡하고 컨텐츠가 지루할 때도 있었지만 이 때 교환학생들, 정규학생들끼리 교류가 가장 많으며 가장 많이 친구들을 사귀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수강신청
수강신청 날에 학교 포탈에 들어가 미리 정한 과목들을 등록하면 되는 시스템으로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교환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과목은 한정되어 있고,
이는 메일로 나누어준 안내사항과 포탈 사이트에 자세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수강신청이 한국에서처럼 치열하지는 않지만 시스템 오류가 꽤 있습니다. 첫 번째 round에서 시스템이 제 시간에 열리지 않아 시간을 재공지하고 다시 수강신청을 했었습니다. 개강 이후 정정 기간에 수강 과목을 바꾸거나 새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시스템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번 확인해야하고 꽤 번거롭습니다.(애초에 신청하실 때 최대한 많이 신청하시고 후에 드랍하는게 가장 편합니다.)
-수업
1) Consolidated Accounting: 고급회계에서 배우는 연결재무제표에 대해 배우는 과목으로 꽤 난이도가 있는 수업입니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자세히 설명하시고 간단한 예제부터 심화문제까지 문제풀이를 많이 하므로 열심히 하시면 따라갈 수 있습니다. 출석체크는 가끔 하고 케이스 분석을 하는 팀플이 한 번 있으며, 과제도 2-3번 정도 있습니다.
2) European Economics: 거시경제학에 가까운 수업입니다. 하지만 실제 유럽국가들의 예시를 통해 이론을 배우고 또 적용하기 때문에 보통의 경제수업보다는 재미있습니다. 교수님은 전형적인 프랑스인으로 조금 까다로운 부분이 있지만 매우 유쾌하시기도 합니다. EU에 속한 두 나라를 비교분석하는 팀플이 1번 있고, 중간/기말 고사는 필기만 조금하시면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3) International Economics: 국제재무와 거시경제를 합쳐놓은 과목입니다. 교수님이 굉장히 조용히 말씀하시는 편이기 때문에 집중하기가 힘들지만 평소 재무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어렵지 않은 과목입니다. 과제와 팀플은 없고 오로지 출석과 중간/기말고사 만으로 성적이 결정됩니다.
4) International Contract Law: 나라간의 거래/무역조건과 관련법에 대해 배우는 과목입니다. 중간고사와 기말대체 팀프로젝트로 성적을 결정하는데 중간고사는 치팅시트 한 장을 허용하기 때문에 매우 수월하였습니다. 또 팀프로젝트 발표를 프레젼테이션으로 하지 않고 앉아서 회의하듯이 발표하는 것이 매우 신선한 수업이었습니다.
5) Management of Organization 조직관리론이지만 실제로는 조직행동론과 매우 비슷한 수업이었습니다. 시험은 보지 않지만 거의 매주 과제가 있고 팀플이 두 번 있습니다. 교수님이 매우 친절하시고 열정이 있으시고 다양한 액티비티를 진행하십니다. 토론과 발표가 자유롭고 친구들을 많이 사귈 수 있어 재밌게 들은 수업입니다.
6) Beginner French 저는 불어를 처음 배우는 거라 매우 즐거운 수업이었습니다. 다른 국가의 유럽학생들은 말이 비슷하기도 하고 배운 적이 많은 터라 그에 비하면 많이 뒤처지긴 하지만 프랑스 특유의 문화와 언어를 함께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4. 기타 생활
-은행
ESSEC의 경우 I-xperience week동안 welcome center라는 곳이 생깁니다. 그곳에서 ofii, caf등을 쉽게 신청할 수 있고 은행계좌 또한 자신이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보통 BNP나 Sociate Generale를 많이 쓰고 두 지점 다 학교에서 가까워 편리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많이 학생들이 신청하기 때문에 계좌를 열기까지 최소 2주 이상 소요되고 한국으로 돌아올 때 계좌를 없애는 것도 꽤 시간이 걸립니다. 한국과 많이 다른 시스템 때문에 신기하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주택보조금을 신청하지 않는다면 하나은행 비바체크카드를 이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핸드폰
핸드폰의 경우, 보통 Free mobile의 19.99유로 요금을 많이 이용합니다. 데이터 무제한, 프랑스내 전화 및 문자 무제한, 한국으로 집 전화 무료입니다. Free mobile이 통화와 인터넷 품질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고 하지만 저는 쓰기에 큰 무리가 없었습니다.(어느 통신사나 한국에 비해 품질이 매우 떨어지고 지하철에서 인터넷이 안 됩니다.)
-교통
교통의 경우 보통 1-5존 Navigo를 구매해서 사용합니다. 한 달용이 원래는 100유로가 넘었으나 프랑스 내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자는 취지에서 2015-2학기 기준 70유로로 내려갔습니다. 또 Navigo카드에 사진을 부착하라고 하는데 무시하지 마시고 꼭 사진을 붙이시길 바랍니다. 검사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이것 때문에 꽤 큰 금액의 벌금을 내는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기숙사: 대부분의 교환학생들은 Cergy le Hault에 거주합니다. 모두 1인실로 각 방에 주방과 욕실이 따로 있는 스튜디오 형식입니다. 학교에서 RER로 3정거장 정도 거리에 있으며 시설은 무난합니다. 기숙사 내에 세탁방, 헬스장등의 시설이 있으며 가까운 곳에 마트(Cssino, Franprix)도 있어 장을 보거나 생활용품을 구매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기숙사라고 해서 저렴한 편은 아니지만 기숙사에 살면 친구들과 많이 어울릴 수 있고 또 학교에서 보조금 받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매우 편리합니다.
처음에 프랑스에 도착했을 때는 느린 행정처리 때문에 프랑스에 온 것을 후회한 적이 있지만 적응이 되면 프랑스, 특히나 파리는 정말 많은 것을 누릴 수 있는 곳입니다. 유럽 학생증으로 대부분의 미술관과 박물관을 무료로 즐길 수 있고, 작은 골목의 멋진 카페나 여유가 넘치는 공원에 앉아있기만 해도 행복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른 분들도 잘 선택하셔서 뜻 깊은 교환학생 생활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끝으로 이런 기회를 제공해주신 경영대학 국제실 선생님들께 감사인사 드리며 이만 체험수기를 마치겠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sksms5247@gmail.com으로 메일보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