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aduate
Student Experience
교환학생 체험수기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12-Fall
김봉진
체험 수기를 시작하기 전, 제가 교환 학생으로 파견되어 많은 것을 보고, 느끼고, 그리고 배울 수 있게 기회를 주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 진심으로 감사함을 전하는 바 입니다. 지금부터 저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 대한 체험 수기를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교환 학생을 지원하신 분들, 혹은 지원을 고려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잘 아시다시피, 다른 학교들에 비해 우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은 싱가포르 국립대학(이하 NUS)과 많은 학생들이 교환 학생으로 오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학교 학생들에 대한 NUS 측의 기대와 관심도 높은 편입니다. 게다가 많은 학생들이 교환 학생으로 선발되어 파견되기 때문에 현지 생활에서 외로움이나 기타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하게 지낼 수 있기도 한 곳 입니다.
1. 출국 준비
1) 한국에서 준비해야 할 것들
기본적으로 싱가포르의 기후는 1년 내내 영상 25~32도를 웃도는 날씨이기 때문에 상당히 덥습니다. 또한 주변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형이기에 습하기도 합니다. (우리 나라의 전형적인 여름 날씨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의류는 날씨를 고려하여 준비하시면 됩니다. 유의하실 점은 NUS의 모든 수업은 발표(presentation)을 필수로 하기 때문에 발표용 정장을 잊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또한 싱가포르의 더운 날씨 때문에 대부분의 실내가 냉방 시설로 추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는 긴 소매 옷들도 챙기시길 바랍니다.
2) 비자
싱가포르의 학생 비자에 취득에 대한 내용은 교환 학생 선발에 확정이 되면 NUS측에서 E-mail로 자주 정보를 보내줍니다. 하지만 E-mail 내용이 간결하지 못해 제가 비자를 준비할 때 친구들과 많이 헷갈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서류를 준비하여 싱가포르에 입국하시게 되면, 특정 일자에 싱가포르 비자 당국에서 NUS에 직접 방문하여 교환 학생들을 위한 비자 발급을 시행해 줍니다. 서류를 준비하는 과정이 조금 복잡하긴 하지만, 막상 비자를 발급 받는 부분에 있어서는 그리 복잡하지 않으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 은행 계좌 (Check Card or Credit Card)
싱가포르에서는 학생 비자로 체류 중인 외국인에 대한 은행 계좌 개설이 쉽지 않습니다. 절차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단기간 체류 학생들에게는 계좌 개설을 쉽게 허용해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사전에 ‘Citi Bank’ 등 해외에서 사용하기 편한 체크 카드 혹은 신용 카드를 준비해서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2. 현지 생활
1) 기숙사
교환 학생에 선발되면 기숙사를 신청할 수 있게 되는데, 수많은 학생들이 재학하는 학교인 만큼 기숙사의 수도 많습니다. 그 중, University Town (U-town, 일종의 기숙사 hostel들이 모여 있는 곳)에 있는 Graduate Residence (GR)에 지원하였고, 그 곳에서 지냈습니다. U-town은 새로 생긴 기숙사들이 모여 있는 곳이기 때문에, 그 일대가 아주 잘 꾸며져 있고, 생활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또한 학교 캠퍼스에서 멀지 않을 뿐 더러 셔틀 버스가 자주 운행되기 때문에 통학하는데 있어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 기숙사 비용은 식사 여부와 에어컨(AC) 등 몇 가지 옵션에 따라 가격이 조금씩 차이 나는데, 평균적으로 한 학기(4달) 기준으로 200~300만원 정도입니다. 참고로 제가 지냈던 GR의 AC Room은 4인이 하나의 거실을 공유하는 아파트 형식의 구조였고, 가격은 원화 기준 230만원이었습니다.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U-town 전 지역은 NUS에서 제공하는 wifi를 이용할 수 있는데, 그 신호의 강도가 매우 빈약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합니다. 또한 방에는 유선랜(LAN)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한국에서 LAN선을 준비하여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NUS 기숙사 규정상 공유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합니다. (하지만 거의 모든 학생이 공유기를 사용하여 방 안에서 wifi로 휴대폰을 이용합니다. – 일주일에 한 번, 청소 도우미 분들께서 거실을 청소해주시는데, 보통은 그 분들이 학생들의 방 안에 들어올 일이 없기에 공유기 설치 여부를 확인하진 않지만, 간혹 특별한 경우로 방 내부를 officer에게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므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공유기 이용 적발 시, 더 이상 방 내부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2) 일반 아파트 (콘도)
싱가포르는 자국민을 위해 아파트(싱가포르에서는 ‘콘도’라고 합니다)를 임대해주는 임대 아파트가 아니고서는 사설 아파트의 가격이 매우 비싼 편입니다. 싱가포르에 유학 중인 한국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가 지내는 아파트의 가격은 원화 기준 월세가 600~700만원 이었습니다. 물론 그 일대가 부동산 가격이 높은 편이긴 했고, 아파트이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싱가포르의 아파트 가격은 많이 비싸기 때문에 가급적 기숙사를 신청하시길 권장하는 바입니다.
3) 현지 물가
싱가포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싱가포르의 물가는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NUS 교내에서 식사를 할 경우에는 원화 5,000원 선으로 해결 할 수 있지만, 학교를 벗어나게 되면 높은 가격표에 부담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교환 학생 생활을 즐기시기 위해선 적당한 음주도 즐기게 되실 텐데, 안타깝게도 싱가포르의 주류 품목의 가격은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참고해두시길 바랍니다. (담배, 주류 등 유흥에 관련한 모든 품목은 높은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비싼 편입니다. 담배 1갑 = 12,000~15,000원, 소주 1병 = 약 15,000원 등)
4) 휴대폰 사용 (중요)
싱가포르에 도착하시게 되어 가장 먼저 하시게 될 일은 아마 휴대폰 개통일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SKT, KT, LGT과 같이 싱가포르에도 SingTel, Star Hub 등 통신사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저는 SingTel을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타 통신사들에 비해 전화, 데이터 등 속도도 빠르고, 소위 말하는 잘 터지기 때문에 이용하기가 좋습니다. (필자가 직접 다른 통신사들을 이용해보았고, 함께 싱가포르에 다녀온 학생들도 동일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빠르고 어디서든지 잘 터지는 LTE 혹은 전화를 이용하시다가 싱가포르에 가시게 되면 많이 답답하실 수 있으시겠지만, 그나마 SingTel 통신사의 USIM card를 구매하여 이용하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휴대폰 기기 중 LGT 기종 중 USIM Card가 없는 휴대폰 기종들이 있는데, 이럴 경우 현지에서 USIM Card를 구매하지 못하므로 매우 불편하실 수 밖에 없습니다. Data Roaming은 너무나 비싸기 때문에 이용하시지 못하실 것입니다. 물론 싱가포르 현지에서 2G 휴대폰을 구매하여 사용하실 수 있지만, 2G 휴대폰은 우리나라처럼 싱가포르 사람들도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Group Project를 위한 연락도 주고 받기 힘들고, 메신저를 이용하실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LGT 기종 중 USIM Card를 이용하지 않는 기종을 이용하시는 경우 사전에 공기계를 준비하시든지 혹은 다른 방안을 고려하고 가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i-Phone의 경우 간혹 ‘Country-Lock’이 걸려있는 경우가 있는데, 사전에 자신의 휴대폰이 Country-Lock 상태인지 아닌지 확인하시고 가시길 바랍니다. 막상 싱가포르에 도착하여 Country-Lock을 해제하려고 하면 많이 번거로우실 수 있습니다.
5) 대중 교통
싱가포르의 대중 교통의 운임은 그리 비싸지 않은 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원화 기준 1,000~2,000원으로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갈 수 있습니다. 도시 국가인 만큼, 나라가 작기 때문에 지하철 노선이 다양하지 않아 불편한 점이 없진 않지만 그래도 충분히 이용할 만 합니다. (NUS는 시내 중심가와는 거리가 먼 편이며, NUS에서 시내로 나가는 것은 조금 불편합니다. 우리 학교처럼 일반 버스가 지나다니는 것도 아니고, 지하철 역이 가깝지도 않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택시를 잡는 것도 여간 쉬운 일이 아닙니다.) 버스를 타실 때는 주의하셔야 할 점이 있는데, 버스 내부에는 버스 노선도가 없습니다. 심지어 음성 방송안내도 없습니다. 따라서 미리 노선도를 정확하게 숙지하시어 잘못 하차하는 경우가 없도록 버스에 탑승하셔야 하시겠습니다. 택시의 경우, 한국의 택시 운임보다 약 2배정도 비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용 거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택시를 타게 될 경우 원화 기준 10,000~15,000원 정도가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싱가포르 국민들은 준법 정신이 무척 강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발생하는 택시 요금 피해 같은 점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cf. Singapore Changi Airport – NUS 구간 택시 운임 : 대략 30,000원)
6) 현지 분위기
앞서 말씀 드렸던 것처럼, 싱가포르는 많은 부분에 있어 법 규제가 강력한 편이고, 실제로 벌금 혹은 실형의 강도가 높은 편입니다. 생활하시다 보면 신기한 부분도 많으실 것입니다. 그렇지만 가장 좋은 점은 바로 ‘안전하다’는 것과 ‘깨끗하다’는 것 입니다. 물론 어떻게 생활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싱가포르는 정말 안전하고 깨끗한 나라입니다. 사람들도 비교적 친절한 편이고 아시아권이다 보니 우리가 생활함에 있어 인종 차별 혹은 불이익을 당할 법한 일은 특별히 없습니다. 편하게 지내시되 그렇다고 하여 긴장을 아예 늦추진 않으시길 바랍니다.
3. 수강 과목 소개
NUS는 교환 학생들에게 최대 5과목까지 수강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5과목을 우리 학교 학점으로 환산하면 15점이 됩니다. 저의 경우는 5과목을 모두 신청하여 수강했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과목들이 일주일에 한 번 세 시간씩 진행되므로 저의 경우 일주일에 3일을 등교하여 하루에 3~6시간씩 수업을 들었습니다. 저는 가급적 매일 학교에 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렇게 수강 신청을 한 것이므로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1) Professional Communication (NUS Credit 4 -> KU Credit 3)
제가 NUS에서 들었던 수업 중 가장 좋았던 수업입니다. 비록 전공과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Presentation과 Assignment는 상당히 많지만, 1명의 교수와 약 10~15명의 학생이 한 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수님들도 무척 친근하시고 또한 classmate들과도 금방 친해질 수 있는 과목입니다. 수업 내용은 주로 presentation skills와 resume를 채워나가는 방법, 직접 사업계획을 구상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및 발표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또한 교수님께서 영어도 직접 가르쳐주시기 때문에 대학생이라면 한 번쯤은 반드시 수강해야 할만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간, 기말고사는 모두 없었습니다.
2) Investment and Portfolio Management (NUS Credit 4 -> KU Credit 3)
우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Investment(투자론)과 대체 인정되는 과목입니다. 수업 내용 역시 투자론 수업 시간에 다루는 내용이며, 재무 관리와 비교해 조금 더 심도 있는 난이도입니다. Finance과목이지만 Team project가 네 번(문제 풀이 발표 2회, Case study 발표 2회) 있었습니다. 중간, 기말고사 두 가지 다 있었습니다.
3) Options and Futures (NUS Credit 4 -> KU Credit 3)
우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Futures and Options(선물옵션)과 대체 인정되는 과목입니다. 수업 내용 역시 선물옵션 수업 시간에 다루는 내용이며, 난이도는 조금 높은 편입니다. Investment and Portfolio Management와 마찬가지로 Team project가 네 번(문제 풀이 발표 2회, Case study 2회) 있었습니다. 중간고사는 없었지만, 기말고사의 범위가 엄청났기 때문에 이 과목을 공부하는 것이 상당히 힘들었었습니다.
4) Human Resource Management (NUS Credit 4 -> KU Credit 3)
우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인적 자원 관리와 대체 인정되는 과목입니다. 수업 내용은 어렵지 않으며, 다양한 사례 분석과 team presentation 및 individual report, individual presentation이 있었습니다. 발표와 보고서의 양이 많은 대신 중간, 기말고사는 모두 없었습니다.
5) Leadership and Ethics (NUS Credit 4 -> KU Credit 3)
이 과목의 경우, 기말고사는 없지만 중간고사, Group Report, Individual Report 등 제출해야 하는 것들 것 많았습니다. 이 과목은 우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Supex Hall과 같은 대형 강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사실 저는 이 과목의 중간고사의 심히 저조하여 pass를 하지 못할까 걱정하였는데, 막상 최종 성적을 확인한 후 생각보단 나쁘지 않아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읽어보시면 느끼시겠지만, NUS는 수많은 발표와 수업참여, 그리고 보고서를 요구합니다. 대신, 한 가지 장점은 NUS에도 시험기간이라는 것이 존재하지만, 시험 일정은 교수님들의 재량에 따라 많이 다르므로 대부분의 과목이 시험기간이 겹치지 않으며, 심한 경우 한 학기 동안 1달에 한 두 번씩 나누어 시험 스케줄이 진행되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심지어 11월 달에 학기가 끝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12월 달에 학기가 끝나는 학생이 있을 만큼 시험 일정의 편차가 심한 편입니다. 중간, 기말고사 시험이 없는 과목들도 많은데, 함께 교환학생을 갔던 친구 중 한 명은 5과목 중 단 한번도 시험을 치르지 않는 과목들을 수강 신청하였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교수님들께서 출석 확인을 하지 않으시기 때문에, 출석 여부에 있어 크게 부담은 가지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또한 중간, 기말 고사 시험에 모두 참석하고 과제 및 group project에 불참하지만 않는다면, 각 과목을 pass 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진 않기 때문에(결과론적인 이야기) 학교 수업만 잘 따라가시면 됩니다. 하지만 A+를 받는 것은 현지 full-time students도 불가능에 가깝다고 이야기할 만큼 높은 학점을 받는 것은 무척 어렵다고 합니다.
4. 여행
흥미로운 점은 NUS에는 Reading Week 이라는 주말 포함 대략 10일간의 시험 준비 기간을 준 후 본격 시험기간에 돌입하게 됩니다. 중간, 기말고사 시험기간을 앞두고 두 번의 R.W.가 있는데 교환학생들은 이를 Recess Week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교환학생들은 주변 국가로 많이 여행을 다니는데,
본인이 시험 준비를 평소에 충분히 했다면 부담 없이 여행을 갈 수 있는 기간입니다. (앞서 말씀 드렸다시피 단지 수강 과목을 pass만하기 위한 조건은 높지 않습니다.) 싱가포르의 인접 국가로는 인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다양하게 있는데, 이 곳들의 물가는 한국과 비교하였을 때 싼 편이므로 여행하는데 있어 금전적인 큰 부담은 없습니다. 평소에 싱가포르에서 금전 관리를 잘 하셨다면 주말 혹은 R.W.기간 동안에 주변의 유명한 관광지들을 다녀오시길 추천합니다. 부가적으로, 말레이시아 여행의 경우 싱가포르와 육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로도 오갈 수 있는 곳 입니다. 주말을 활용하여 다녀오시는 것도 좋습니다.
이상으로 저의 수기를 마무리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연락해 주시길 바랍니다. 수기를 읽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함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