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udent Experience

[China] Hong Kong University 2012-1 강나연

2012.08.31 Views 3613 경영대학

1.  파견 전 할일

우선 준비해야 할 서류가 많기 때문에 홍콩대로 배정을 받은 후 미리미리 준비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고려대 국제실과 홍콩대 국제교류처에서 오는 e-mail은 서류를 준비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자주 확인을 하시고 꼼꼼히 읽어주세요.

(1)   비자 신청: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비자를 받는데 1~2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미리미리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2)   은행잔고 증명서: 본인 명의로 된 계좌에 800만원 이상의 잔고가 있는 증명서

(3)   유학생 보험: 파견 전 오리엔테이션에서도 강조하시는 부분이지만 유학생 보험은 필수입니다. 한국에서 미리 들어놓고 가셔야 합니다.

(4)   수강신청: 홍콩대 국제교류처에서 e-mail이 오는데 설명을 따라서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시면 됩니다. (강의소개와 함께 설명 드리겠습니다.)

(5)   기숙사신청: 수강신청과 마찬가지로 홍콩대 국제교류처에서 기숙사신청 관련 e-mail을 받으시면 바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빨리 신청할수록 원하는 기숙사로 배치될 확률이 높습니다.

(6)   핸드폰: 스마트폰을 쓰시는 분이시라면 가져가셔서 SIM 카드를 바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Prepaid (Monthly)를 구입하실 수 있고 학교 내 Wi-Fi가 있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사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폰을 쓰시는 분이시라면 Country-lock을 꼭 해제하고 출국하셔야 SIM카드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 저도 잘 몰라서 출국하는 날 공항에서야 해제를 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2.  기숙사 신청

저는 학교에서 도보 10-15분 거리에 위치한 Suen Chi Sun Hall에 배정을 받았습니다. 학생들이 주로 선호하는 기숙사는 Starr Hall, Suen Chi Sun Hall 그리고 Swire Hall등이 있습니다. Starr Hall Suen Chi Sun Hall보다 더 가깝고 비교적 깨끗해서 학생들이 선호하고, Suen Chi Sun Hall Lee Shau Kee Hall 그리고 Morrison Hall은 같은 곳에 위치해 있는데 세 곳 모두 다른 기숙사에 비해 최근에 지어져서 깨끗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홍콩대 기숙사의 특징은 기숙사 내에 여러가지 클럽활동이 있다는 것인데, 다른 기숙사 학생들과 여러가지 스포츠, 합창, 토론 등을 겨루기도 합니다. 이러한 클럽활동에 교환학생이 참여하는 일은 드물지만 관심이 있다면 기숙사 회장에게 문의하면 됩니다.

 

3.  수강신청 및 강의평가

(1) 수강신청

수강신청은 파견 전에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고 싶은 과목을 적어서 프린트를 하고 홍콩대로 보내는 방식으로 시작됩니다. 개강 전 오리엔테이션에서 그 전에 신청했던 과목의 신청유무를 알 수가 있는데, 저의 경우에는 5개중에 2개 밖에 신청이 안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홍콩대는 2주간의 긴 시간을 걸쳐 수강정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불안해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렇지만 신청을 한 후에도 자신이 신청이 되었는지 바로 알 수 없기 때문에(몇 번의 지정된 날짜에 발표가 됩니다) 처음 신청하실 때 자신이 선수과목을 들었는지 등의 확인을 꼼꼼히 한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2) 강의

홍콩대에 지원하시는 분들은 재무와 금융분야에 관심이 많은데, 저의 경우에는 중국에서 살았던 경험 그리고 마케팅과 홍콩문화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홍콩대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분들과는 달리 재무나 금융관련 수업 보다는 마케팅과 전공필수과목 위주로 수강을 했습니다.

  Business Policy

고려대 경영대의 경영전략과 유사한 과목이라서 전공필수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과목일 것 같습니다. Business Policy는 홍콩대 학생들에게도 필수과목이라서 선택할 수 있는 강의가 많이 있기 때문에 수강신청하기는 수월했습니다. 매 수업마다 케이스를 바탕으로 토론하고 그 케이스 안에서 찾을 수 있는 회사의 경영전략에 대해서 배웁니다. 홍콩대 경영관련 수업에서는 발표와 토론을 중시하는데 학생들 또한 매우 적극적이어서 100% 토론만 하다가 수업이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 역시 팀원 모두 발표를 해야 하고 다른 조들의 프레즌테이션에 질문과 코멘트도 해야 했습니다. 시험은 기말고사 한번만 보게 되었는데 시험의 난이도는 중간이었습니다. 자신의 발표와 토론실력을 늘리고자 하신다면 이 수업을 추천합니다.

  International Marketing

International Marketing은 기업들이 글로벌로 진출하고 성공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International Business Marketing Strategy를 혼합시켜 논 수업이었습니다.  이 수업의 70%는 교환학생이었습니다. UC Berkley, UCLA 등 미국 명문대에서 온 교환학생들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손꼽히는 대학의 학생들이 모두 모여있어서 수업시간 내내 적극적인 발표가 진행됩니다. 이러한 학생들과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발표능력과 토론실력이 확실히 늘게 된 것을 느꼈습니다.

  Developing Marketing Competency through Brand Management

고려대 경영대의 Product and Brand Management와 유사한 과목으로 마케팅원론을 수강한 학생들이 신청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 교수님이 실제사례들을 매 수업마다 보여주시고 이에 대해 토론하는 형식의 수업입니다. 마케팅 수업 때 배운 이론들을 유용하게 쓸 수 있고 실제 회사들이 어떤 식으로 브랜드를 관리하고 성장시키는지 배우게 됩니다. 마케팅 관련 수업을 듣는 홍콩대 경영학과 학생들은 대부분 수업시간에 참여를 열심히 하는데 수업시간 내내 토론이 활발하게 진행됩니다.

  Principles of Entrepreneurship

고려대에 없는 이 강의는 홍콩대에서 특이하게 찾아볼 수 있는 과목이라서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업가의 기본자질, 특성 등에 대해 연구하고 스티브 잡스와 같은 성공한 기업가 등의 실제 사례들에 대해 공부합니다. 이 수업 역시 팀 프로젝트가 있고 교환학생들이 많아서 발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하지만 중간고사, 기말고사에 대해 큰 비중을 두지 않기 때문에 수월했던 수업이었던 것 같습니다.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Mandarin 2502)

중국어는 Mandarin Cantonese 두 가지 모두 있는데, 저는 Mandarin을 계속 공부하고 싶어서 2502반을 택했습니다. 레벨은 1501, 1502, 2501, 2502, 3501 등 총 8개 정도가 있는데 1로 시작하는 코스는 가장 쉬운 단계로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한 반입니다. 1 또는 2로 끝이 나는데 1학기와 2학기라는 뜻이지만 2학기 반이 1학기 반보다 상급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국어 반에는 외국국적을 가진 홍콩학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듣는 것보다 학점을 따기가 쉽지는 않지만 홍콩에서 원어민 교수님에게 직접 중국어를 배우고 싶으신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4.  홍콩생활

(1) 음식

홍콩에서는 홍콩, 중국, 대만음식뿐 아니라 태국, 인도,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여러나라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한국 식당도 아주 쉽게 찾아볼 수 있어서 음식으로 힘든 점은 없을 것 같습니다.

 

(2) 홍콩내 레져

홍콩은 작은 섬이지만 여러가지 레져활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공부는 미리미리 해 두고 수업시간이나 오리엔테이션 때 사귄 교환학생 친구들 및 로컬친구들과 함께 레져활동을 경험해보시길 추천합니다.

홍콩은 하이킹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곳에 코스가 아주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Sai Kung이나 Lion Mountain 1~10시간 코스를 직접 골라서 하이킹 할 수 있습니다.

홍콩에는 해변도 많이 있습니다. 홍콩대에서 가까운 곳도 많이 있어서 버스를 타고 쉽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4월부터 11월까지 해변에서 수영도 하고 바비큐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3) 해외 여행

홍콩에서는 동남아시아의 여행은 꼭 하시길 추천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홍콩에서도 자격증공부를 하느라 여행을 포기했었는데 홍콩 교환학생 경험 중 가장 아쉬운 점입니다. 비행기 편도 저렴하고 거리도 가까워서 교환학생들은 적어도 3 국가 정도 여행하는 편입니다. 홍콩대에서 다른 학교 교환학생들도 많이 사귀어서 같이 계획해보세요!

(4) 생활비

한국에서 출국 전 가장 많이 고민했던 부분이었는데, 보통 한국에서 자신이 쓰는 생활비의 150%~200%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체감 물가가 한국보다 10~20% 되는 것 같았습니다. 여자분들 같은 경우 홍콩에서 명품을 살 계획이 아니시라면 홍콩에서 쇼핑을 기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5) 교우회

홍콩에 다녀오신 거의 대부분의 교환학생들은 홍콩교대교우회 모임에 참여하는데 꼭 가시기를 추천합니다! 금융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도 많으시지만 가끔씩 법률, 마케팅, 컨설팅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시는 선배님들도 계셔서 여러가지 경험담을 들을 수 있고, 친분을 쌓을 기회도 생깁니다.

5.  파견 후 느낀점

교환학생이 끝이 난지 벌써 세달이 되었는데 저는 2학기 개강 하루 전인 어제 홍콩에서 귀국했습니다. 홍콩에서 인턴십의 기회를 얻게 되어 4개월 남짓 인턴을 할 수 있었습니다. 교환학생 4개월, 인턴십 4개월, 어디에서도 얻지 못할 값진 경험을 할 수 있었던 교환생활이었습니다. 이런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신 고려대학교 국제실 담당 선생님들과 관계자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 사진은 첨부파일에 포함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