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KUBS News
박경서 교수가 쓴 이글은 한국경제신문 6월27일 38면 시론에 게재됐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의 허락을 얻어 원문 전재합니다 .
상단 사진은 주식회사 동우가 코스닥에 신규 상장할 때의 모습 <편집자주>
신생기업에 대한 자본제공을 주목적으로 개설된 코스닥시장이 7월1일로 10주년을 맞는다.
개설 당시 300개였던 상장기업수는 지난 5월 말 현재 925개로 3배 이상 늘어났고 코스닥 기업들은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 등을 통해 그동안 30조원에 가까운 자금을 조달했다.
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벤처기업에 특화한 외국의 신시장(new market)들이 대부분 별다른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코스닥시장은 대단한 성공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코스닥 기업들의 경영상황을 살펴보면 불안한 부분도 많다.
2001년 이후 최대주주가 바뀐 경우가 매년 25%나 되며 대표이사도 매년 35% 이상 바뀌고 있어 경영구조가 매우 불안정하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주요 수단은 증권사 등에서 제공하는 애널리스트 보고서인데,코스닥의 경우 전체 기업 중 3분의 2 정도는 아예 아무런 보고서도 없는 형편이다.
기업의 자발적인 기업설명회(IR) 횟수도 매년 60여건에 불과해 투자자들 입장에서 정보비대칭의 문제가 심각하다.
또 경영자를 감시할 이사회는 대부분 내부 경영진으로 구성돼 사외이사의 비중은 8%에 불과하고 아예 사외이사가 없는 기업도 188개나 돼 외부주주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취약하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기업의 경영권이 대주주 등 특정인에 의해 독점될 경우 기업의 지배구조가 나빠지고 회계나 재무적 투명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주주의 이러한 이기적인 욕구는 투자자가 코스닥기업에 투자할 경우 느끼는 투자위험을 높여 기업의 주가를 떨어뜨리고 자본조달 비용을 높이는 주된 배경이 된다.
특히 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경우 주가는 때로는 너무 높게,때로는 너무 낮게 형성되는 급등락을 반복하게 되며 이는 결국 주가를 낮추는 또 다른 요인이 된다.
물론 기업가치 저평가의 가장 직접적인 피해자는 가장 많은 지분(持分)을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지배구조와 경영투명성이 나쁠수록 기업의 주가도 낮아지는데 국내 코스닥시장의 경우 경영투명성 하위 25% 기업과 상위 25% 기업간 PBR(주가순자산비율)의 차이는 무려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기업의 경영투명성을 제고할 경우 주가를 50% 이상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코스닥 기업의 평균 시가총액이 700억원 내외라는 점을 고려할 때 기업지배구조와 경영투명성 개선을 통해 350억원의 부를 창출할 수 있다.
이의 상당부분을 대주주가 차지할 수 있다면 대주주 입장에서도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해 상당한 자원을 투자할 유인(誘因)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코스닥 기업의 자본조달 비용을 낮추고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접근도 필요하다.
정보생산에는 비용이 든다.
또한 정보는 일종의 공공재(公共財)라서 누군가 이를 생산하면 이에 무임승차(Free riding)하려는 성향이 있어 정보를 생산할 유인이 감소한다.
증권사가 코스닥기업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경제적 유인이 작다면 기업 간 공동기금 형성 등을 통해 코스닥 기업에 대한 정보생산을 확대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코스닥시장이 최근 100여개 기업에 대한 분석보고서 작성을 지원하는 것은 좋은 시도이다.
신생기업의 내부적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이들의 회계정보시스템이나 공시시스템의 구축을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기업의 경영행태를 하루아침에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코스닥시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책임경영과 투명경영을 통해 부를 창출할 것이라는 확신을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코스닥 기업과 코스닥시장의 각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정리 김봉진)
<사진은 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