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체험수기
중국 절강대학교(Zhejiang University 浙江大学) 교환학생 수기
2019년 2학기에 중국의 절강대학교 즈진강캠퍼스 관리학원으로 교환학생을 다녀온 경영학과 17학번 김정민입니다. 저 이전의 수기는 2011년도가 마지막이고, 절강대학교의 한국인 학생들은 교환학생보다는 정규 학생이 대부분이라 어학연수가 아닌 교환학생의 수기는 많지 않아서 최대한 자세히 적었습니다.
1. 파견교 정보
절강대학교는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시(杭州市)에 위치해있는 중국 5위 안에 손꼽히는, 특히 이공대로 유명한 중국의 명문대입니다. 중국 내에 7개의 캠퍼스가 있고, 그 중 5개가 항주시에 있습니다. 경영대 교환학생으로 절강대에 간다면, 메인 캠퍼스인 즈진강캠퍼스(紫金港校区)로 가게 됩니다.
학교에서 알게 된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국인에게 우호적이었으며 동아리도 교환학생을 받아주는 동아리가 많았습니다.
2. 생활 정보
[교통]
2019년 2학기 기준 지하철이 5호선까지 있습니다. 학교 근처에도 역이 여러 개 있고, 시내까지도 지하철로 갈 수 있으므로 편리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년 항주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어 2022년 안에 10호선 이상이 더 생길 것입니다.
캠퍼스가 매우 크기 때문에 캠퍼스 내의 이동도 걸어서 하기엔 부담스러울 때가 있는데, 그럴 땐 공유자전거를 활용하시면 매우 좋습니다. 저는 HELLOBIKE(哈啰出行) 월정액을 구매해서 항상 타고 다녔는데, 한달에 15위안, 이벤트가 있다면 그것보다 더 싸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택시요금도 저렴한 편이라 어중간한 거리는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카카오택시와 비슷한 滴滴出行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음식]
중국음식을 좋아하신다면 당연히 문제가 없겠지만, 혹시 그렇지 않더라도 학교 주변에 한식이 굉장히 많습니다. 음식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물가]
대체로 한국과 비슷하거나 한국보다 조금 저렴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날씨]
굉장히 습합니다. 여름에 정말 더울 때는 숨이 턱턱 막히는 습도였습니다. 그래도 기숙사 내 에어컨이 잘 돌아가니 큰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겨울에는 분명 온도는 한국보다 10도가량 높은데, 찬 바람이 많이 불고 습해서 그런지 체감 상은 더 추웠습니다. 전반적으로는 비가 많이 내리는 서울 정도라고 생각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3. 출국 전후 준비 사항
<출국 전>
[과목 검토]
과목 검토는 수강신청 전에 아주 중요한 절차입니다. 학점인정여부가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절강대로 파견이 되신다면 그건 쉽지 않습니다. 학교 사이트에서 영어강의들의 강의계획서를 볼 수 있긴 하지만, 해당 학기에 어느 과목이 열리는지는 중국에서 등록 절차를 마치기 전에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해당 학기에 열릴 과목 리스트가 출국 며칠 전에 이메일로 오긴 하지만, 영어로 된 관리학원 (우리로 치면 경영대학) 소속의 과목 리스트만 오기 때문에 실질적인 과목 검토를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수강신청 사이트를 볼 수 있다하더라도 대부분의 강의에는 중국어 강의계획서만 있기 때문에 과목 검토를 받기 위해서는 본인이 직접 영어나 중국어로 번역을 하셔야 합니다. 교수님께 부탁드리면 영어로 된 강의계획서를 주시기도 하시니, 우선 교수님께 여쭤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수강신청이 다 끝난 후 10월에 과목 검토를 받았습니다.
[Physical Examination Form]
Nomination 직후에 제출해야하는 서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Physical Examination Form입니다. 다른 서류는 그냥 개인정보 입력 같은 거라 생략하겠습니다.
절강대학교에서 요구하는 건강검진 결과는 조금 독특합니다. 실제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없고 다 질병을 앓았었는지 여부 체크정돈데, 의사 선생님의 사인이 있어야 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직접 문의해본 결과 지정된 병원은 없다고 해서 저는 고대병원에서 처리했고 비용은 총 5만원정도가 나왔습니다. 저는 어디서 이 form을 작성해줄지 몰라서 안전하게 학교 병원에 갔는데, 혹시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병원이 있다면 거기서 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중국은행 유학생 전용 카드] 준비물: 카드 발급 비용 현금 만원, 입학허가서, 신분증
절강대학교는 nomination 결과는 굉장히 빨리 나오는 반면 입학허가서와 비자 서류(JW202)는 굉장히 늦게 나오는 편이었습니다. 7월 중순이 다 되어갈 때 나왔던 것 같습니다.
저는 중국은행 서울지점에서 유학생 전용 카드를 만들었습니다. 중국공상은행에도 비슷한 카드가 있다고 하니까 비교해보고 더 쓰임새에 맞는 카드를 고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학생전용카드는 한국에서 하나은행 가상계좌로 돈을 보내주면 중국에서 별도의 수수료 없이 인민폐로 돈을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월 3회는 ATM 수수료도 없으므로 생활비를 받을 용도로 만들었습니다. (이 카드는 알리페이나 위챗페이와같은 결제 서비스와는 연동이 안 됩니다!!!)
[비자] 준비물: 입학허가서, JW202, 신청 서류, 비자사진 한 장(여권에 있는 사진과 달라야 함)
비자는 7월 24일에 중국 비자 신청 서비스 센터(서울스퀘어 지점)에 방문 접수하였고, 29일부터 수령할 수 있었습니다. 신청하면 우편 수령도 가능할 겁니다. 신청에 필요한 서류는 홈페이지에 준비되어있으니 미리 작성해가시는 게 편할 것 같습니다. 비자용도 사진(여권사진과 달라야함)도 준비해가셔야 합니다. 당연히 입학허가서와 JW202도 있어야 합니다. 한 학기 교환학생을 가기 때문에 저는 단기유학비자(X2)를 받았고 발급비용은 55,000원이었습니다. 단기유학비자는 단수 입국 비자고, 150일간 중국에서 체류가 가능합니다. 만약에 중국 체류 기간 동안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도 방문하실 계획이라면 항주에 도착하신 후 거류증을 받으셔야 합니다.
[보험]
절강대학교는 보험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직접 찾아서 들어야합니다. 저는 롯데손해보험의 해외장기체류자보험(II)를 5개월로 들었고, 금액은 96,450원이 나왔습니다.
[기숙사 신청] (http://dorm.zju.edu.cn/login.action)
절강대학교는 기본적으로 교환학생들에게 기숙사를 내어줍니다. 다만 직접 신청을 해야합니다. 2019년 2학기는 8월 15일 한국 기준 10시 (중국 기준 9시)에 기숙사 신청이 시작됐는데, 10분전부터 서버가 터져서 원활하지 못했습니다. 일주일 후까지도 방이 남아있었던 걸로 봐서 평소 학교에서의 수강신청만큼 치열하지는 않은 것 같지만, 그래도 불안하니 미리미리 해놓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기숙사 신청 전에 방법을 문서로 알려주니까 확인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기숙사 신청을 하고 비용지불까지 한번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므로 결제 수단도 미리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발급한 union pay 카드로 결제했습니다. (48시간내에 결제하면 된다고 하는데, 어차피 절차가 이어져 있으므로 한번에 하시는 게 더 편할 것입니다.)
제가 신청할 때는 즈진강캠퍼스에 C2, C3동만 남아있었고 (원래는 A, B, C1, C2, C3, D 기숙사가 있습니다) 총 51개의 1인실만 있었습니다. 기숙사비용은 하루에 45위안이었고, 보증금으로 800위안을 지불했습니다. 보증금은 퇴실시에 현금으로 돌려주십니다.
[Buddy와 연락]
한국에서 KUBS Global/Buddy나 KUISA, KUBA같은 활동을 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보통은 본교생이 국제 학생에게 연락을 하기 마련인데, 절강대학교는 교환학생에게 본교생 버디의 연락처를 주고 직접 연락을 하게 하였습니다. 저희에게 넘어오는 버디의 정보는 영문 이름, 성별,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로 버디에게 연락을 하면 됩니다. 학교에 가기 전까지 생각보다 학교에서 알려주는 정보가 많지 않아서 버디와의 연락이 생각보다 더 중요합니다.
<도착 후>
[기숙사 입사(入住)] 준비물: 입학통지서, 여권, 현금 100위안
저희 때는 기숙사 입주 공식날짜보다 이틀 정도는 일찍 입사가 가능했습니다.
기숙사 입주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이번에는 유학생기숙사 C2동(浙江大学紫金港校区 西区留学生公寓C2幢) 로비에서 입주하려고 한다고 입학통지서와 여권을 보여드리면 방카드와 확인할 사항이 적힌 종이, 에어컨 리모컨, 침구를 받을 수 있는 종이를 주십니다. 무거우니까 짐을 미리 방에 올려두고 침구 종이를 갖고 침구를 받을 수 있는 방으로 가면 바로 침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세 100위안을 미리 내야하므로 현금을 챙겨야 합니다. 처음에는 전기세가 이 돈에서 차감됩니다.
[유심카드 구매] 준비물: 여권
유심카드 구매는 기숙사 입주와 함께 하면 됩니다. 기숙사 입사시에 중국 번호를 물어보시므로 미리 해놔도 좋을 것 같습니다만, 저는 입사 수속 후에 유심을 사고 다시 카운터로 가서 번호를 말씀드렸습니다. 기숙사 동으로 바로 들어오자마자 유심카드 구매를 권하는 China Unicom(中国联通)홍보대?가 있는데, 한국어로 된 설명도 있으니 그거 읽어보시고 사면 될 것 같습니다. 번호도 그자리에서 고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선불 유심인데, 저는 150원을 현장에서 지불하면 매달 그 돈에서 28위안씩 빠져나가는 유심을 샀습니다. 중국내통화 120분, 전국 데이터 60GB, 절강성 학교 내 100GB를 매달 받을 수 있는 요금제입니다. 다만 이번에는 이 요금제와 충전 금액 모두에 문제가 있었어서 고생한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전반적으로 China Mobile(中国移动)이 더 잘 되는 것 같았으니, 직접 가격 등을 비교해보시고 고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中国移动도 기숙사 앞에서 홍보 부스를 엽니다.
[报到(Registration)] 준비물: 입학허가서 원본&사본, 여권 첫장&비자 사본, JW202 원본, 증명사진 두 장, 펜
International College(国际教育学院)에서 Registration을 진행하라고 하는 날이 있습니다. 그러면 그날은 가서 작성하라는 서류를 작성하고 제출한 후 학생증까지 만들면 됩니다.
[학교 인터넷 연결] 준비물: 학생증, 돈
절강대학교의 학교 인터넷은 직접 Nano Building(纳米喽)의 해당 사무실에 가서 신청을 해야 합니다. 저는 한달에 10위안을 내는 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속도와 동시 접속 가능 기기 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데, 개인적으로는 10위안 요금제로도 충분했습니다.
[중국 소재 은행 계좌 및 카드 만들기] 준비물: 여권, 학생증 또는 입학허가서 원본
중국의 은행들은 단기(6개월 이하) 교환학생에게 카드를 잘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이번 학기에 절강대학교에서 가능하다고 알려준 곳은 中国邮政储蓄银行(玉泉支行)이었는데, 사람이 너무 몰려서 여기서 모든 사람이 만들긴 힘들었습니다. 같은 은행이어도 지점에 따라 만들어주는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기 때문에 잘 돌아다니면서 알아봐야합니다. 저는 中信银行에서 만들었습니다. 가능하다면 中国银行, 中国工商银行, 中国农业银行, 中国建设银行에서 만드시는 게 학교 안 ATM을 이용하기 편리합니다.
카드를 만들면 알리페이(支付宝)와 위챗페이(微信支付)에 연동해야 중국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결제를 QR코드로 하기 때문에 현금으로 결제를 하려해도 잔돈이 준비가 안 된 곳이 꽤 많습니다. 꼭 카드를 빨리 만들어서 편하게 생활하셨으면 합니다.
[학과 OT 및 개학식]
관리학원의 교환학생 OT와 정규학생을 포함한 모든 절강대 국제학생이 모이는 개학 행사가 있으니 참여하셔야 합니다. 이번 학기에는 개학 행사에 부분 한국어 통역이 있었습니다.
[수강신청] (http://jwbinfosys.zju.edu.cn/)
선착순으로 수강신청 결과가 정해지는 고려대와는 다르게 절강대는 수강신청이 랜덤입니다. 저희는 개강 3일전에 수강신청을 시작했고, 그 신청의 결과는 개강 전날에 나왔습니다. 개강 후에 정정이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는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만, 중국어로 수업을 듣기에 무리가 없을 정도의 중국어 실력이 아니라면 들을 수업의 범위가 넓지 않습니다. ‘教学方法’부분에 全英文이라고 써있으면 영어강의고, 双语라고 써있으면 영어와 중국어를 섞어 쓰는 수업이지만, 보통은 수업은 중국어로 하시고 교과서나 시험은 영어인 경우가 많아서 언어의 사용 범주도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랜덤수강신청이 당황스럽긴 하지만, 소위 말하는 빌넣이 생각보다 수월하기 때문에, 그걸 잘 활용하면 원하는 강의를 들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도세 및 전기세] 준비물: 현금
매달 1일부터 며칠동안 기숙사 프론트에서 수도세와 전기세를 낼 수 있습니다. 수도세는 매달 금액을 알려주시니 사용한 금액대로 내면 됩니다. 전기세는 우선 처음에 낸 100위안에서 차감이 되고 100위안이 다 차감되면 전기가 끊어지므로 미리미리 전기세가 얼마 남았는지 여쭤본 후 부족할 것 같으면 미리 충전해놓으시기를 추천합니다.
2019년 2학기에 중국의 절강대학교 즈진강캠퍼스 관리학원으로 교환학생을 다녀온 경영학과 17학번 김정민입니다. 저 이전의 수기는 2011년도가 마지막이고, 절강대학교의 한국인 학생들은 교환학생보다는 정규 학생이 대부분이라 어학연수가 아닌 교환학생의 수기는 많지 않아서 최대한 자세히 적었습니다.
1. 파견교 정보
절강대학교는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시(杭州市)에 위치해있는 중국 5위 안에 손꼽히는, 특히 이공대로 유명한 중국의 명문대입니다. 중국 내에 7개의 캠퍼스가 있고, 그 중 5개가 항주시에 있습니다. 경영대 교환학생으로 절강대에 간다면, 메인 캠퍼스인 즈진강캠퍼스(紫金港校区)로 가게 됩니다.
학교에서 알게 된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국인에게 우호적이었으며 동아리도 교환학생을 받아주는 동아리가 많았습니다.
2. 생활 정보
[교통]
2019년 2학기 기준 지하철이 5호선까지 있습니다. 학교 근처에도 역이 여러 개 있고, 시내까지도 지하철로 갈 수 있으므로 편리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년 항주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어 2022년 안에 10호선 이상이 더 생길 것입니다.
캠퍼스가 매우 크기 때문에 캠퍼스 내의 이동도 걸어서 하기엔 부담스러울 때가 있는데, 그럴 땐 공유자전거를 활용하시면 매우 좋습니다. 저는 HELLOBIKE(哈啰出行) 월정액을 구매해서 항상 타고 다녔는데, 한달에 15위안, 이벤트가 있다면 그것보다 더 싸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택시요금도 저렴한 편이라 어중간한 거리는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카카오택시와 비슷한 滴滴出行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음식]
중국음식을 좋아하신다면 당연히 문제가 없겠지만, 혹시 그렇지 않더라도 학교 주변에 한식이 굉장히 많습니다. 음식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물가]
대체로 한국과 비슷하거나 한국보다 조금 저렴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날씨]
굉장히 습합니다. 여름에 정말 더울 때는 숨이 턱턱 막히는 습도였습니다. 그래도 기숙사 내 에어컨이 잘 돌아가니 큰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겨울에는 분명 온도는 한국보다 10도가량 높은데, 찬 바람이 많이 불고 습해서 그런지 체감 상은 더 추웠습니다. 전반적으로는 비가 많이 내리는 서울 정도라고 생각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3. 출국 전후 준비 사항
<출국 전>
[과목 검토]
과목 검토는 수강신청 전에 아주 중요한 절차입니다. 학점인정여부가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절강대로 파견이 되신다면 그건 쉽지 않습니다. 학교 사이트에서 영어강의들의 강의계획서를 볼 수 있긴 하지만, 해당 학기에 어느 과목이 열리는지는 중국에서 등록 절차를 마치기 전에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해당 학기에 열릴 과목 리스트가 출국 며칠 전에 이메일로 오긴 하지만, 영어로 된 관리학원 (우리로 치면 경영대학) 소속의 과목 리스트만 오기 때문에 실질적인 과목 검토를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수강신청 사이트를 볼 수 있다하더라도 대부분의 강의에는 중국어 강의계획서만 있기 때문에 과목 검토를 받기 위해서는 본인이 직접 영어나 중국어로 번역을 하셔야 합니다. 교수님께 부탁드리면 영어로 된 강의계획서를 주시기도 하시니, 우선 교수님께 여쭤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수강신청이 다 끝난 후 10월에 과목 검토를 받았습니다.
[Physical Examination Form]
Nomination 직후에 제출해야하는 서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Physical Examination Form입니다. 다른 서류는 그냥 개인정보 입력 같은 거라 생략하겠습니다.
절강대학교에서 요구하는 건강검진 결과는 조금 독특합니다. 실제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없고 다 질병을 앓았었는지 여부 체크정돈데, 의사 선생님의 사인이 있어야 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직접 문의해본 결과 지정된 병원은 없다고 해서 저는 고대병원에서 처리했고 비용은 총 5만원정도가 나왔습니다. 저는 어디서 이 form을 작성해줄지 몰라서 안전하게 학교 병원에 갔는데, 혹시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병원이 있다면 거기서 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중국은행 유학생 전용 카드] 준비물: 카드 발급 비용 현금 만원, 입학허가서, 신분증
절강대학교는 nomination 결과는 굉장히 빨리 나오는 반면 입학허가서와 비자 서류(JW202)는 굉장히 늦게 나오는 편이었습니다. 7월 중순이 다 되어갈 때 나왔던 것 같습니다.
저는 중국은행 서울지점에서 유학생 전용 카드를 만들었습니다. 중국공상은행에도 비슷한 카드가 있다고 하니까 비교해보고 더 쓰임새에 맞는 카드를 고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학생전용카드는 한국에서 하나은행 가상계좌로 돈을 보내주면 중국에서 별도의 수수료 없이 인민폐로 돈을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월 3회는 ATM 수수료도 없으므로 생활비를 받을 용도로 만들었습니다. (이 카드는 알리페이나 위챗페이와같은 결제 서비스와는 연동이 안 됩니다!!!)
[비자] 준비물: 입학허가서, JW202, 신청 서류, 비자사진 한 장(여권에 있는 사진과 달라야 함)
비자는 7월 24일에 중국 비자 신청 서비스 센터(서울스퀘어 지점)에 방문 접수하였고, 29일부터 수령할 수 있었습니다. 신청하면 우편 수령도 가능할 겁니다. 신청에 필요한 서류는 홈페이지에 준비되어있으니 미리 작성해가시는 게 편할 것 같습니다. 비자용도 사진(여권사진과 달라야함)도 준비해가셔야 합니다. 당연히 입학허가서와 JW202도 있어야 합니다. 한 학기 교환학생을 가기 때문에 저는 단기유학비자(X2)를 받았고 발급비용은 55,000원이었습니다. 단기유학비자는 단수 입국 비자고, 150일간 중국에서 체류가 가능합니다. 만약에 중국 체류 기간 동안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도 방문하실 계획이라면 항주에 도착하신 후 거류증을 받으셔야 합니다.
[보험]
절강대학교는 보험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직접 찾아서 들어야합니다. 저는 롯데손해보험의 해외장기체류자보험(II)를 5개월로 들었고, 금액은 96,450원이 나왔습니다.
[기숙사 신청] (http://dorm.zju.edu.cn/login.action)
절강대학교는 기본적으로 교환학생들에게 기숙사를 내어줍니다. 다만 직접 신청을 해야합니다. 2019년 2학기는 8월 15일 한국 기준 10시 (중국 기준 9시)에 기숙사 신청이 시작됐는데, 10분전부터 서버가 터져서 원활하지 못했습니다. 일주일 후까지도 방이 남아있었던 걸로 봐서 평소 학교에서의 수강신청만큼 치열하지는 않은 것 같지만, 그래도 불안하니 미리미리 해놓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기숙사 신청 전에 방법을 문서로 알려주니까 확인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기숙사 신청을 하고 비용지불까지 한번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므로 결제 수단도 미리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발급한 union pay 카드로 결제했습니다. (48시간내에 결제하면 된다고 하는데, 어차피 절차가 이어져 있으므로 한번에 하시는 게 더 편할 것입니다.)
제가 신청할 때는 즈진강캠퍼스에 C2, C3동만 남아있었고 (원래는 A, B, C1, C2, C3, D 기숙사가 있습니다) 총 51개의 1인실만 있었습니다. 기숙사비용은 하루에 45위안이었고, 보증금으로 800위안을 지불했습니다. 보증금은 퇴실시에 현금으로 돌려주십니다.
[Buddy와 연락]
한국에서 KUBS Global/Buddy나 KUISA, KUBA같은 활동을 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보통은 본교생이 국제 학생에게 연락을 하기 마련인데, 절강대학교는 교환학생에게 본교생 버디의 연락처를 주고 직접 연락을 하게 하였습니다. 저희에게 넘어오는 버디의 정보는 영문 이름, 성별,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로 버디에게 연락을 하면 됩니다. 학교에 가기 전까지 생각보다 학교에서 알려주는 정보가 많지 않아서 버디와의 연락이 생각보다 더 중요합니다.
<도착 후>
[기숙사 입사(入住)] 준비물: 입학통지서, 여권, 현금 100위안
저희 때는 기숙사 입주 공식날짜보다 이틀 정도는 일찍 입사가 가능했습니다.
기숙사 입주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이번에는 유학생기숙사 C2동(浙江大学紫金港校区 西区留学生公寓C2幢) 로비에서 입주하려고 한다고 입학통지서와 여권을 보여드리면 방카드와 확인할 사항이 적힌 종이, 에어컨 리모컨, 침구를 받을 수 있는 종이를 주십니다. 무거우니까 짐을 미리 방에 올려두고 침구 종이를 갖고 침구를 받을 수 있는 방으로 가면 바로 침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세 100위안을 미리 내야하므로 현금을 챙겨야 합니다. 처음에는 전기세가 이 돈에서 차감됩니다.
[유심카드 구매] 준비물: 여권
유심카드 구매는 기숙사 입주와 함께 하면 됩니다. 기숙사 입사시에 중국 번호를 물어보시므로 미리 해놔도 좋을 것 같습니다만, 저는 입사 수속 후에 유심을 사고 다시 카운터로 가서 번호를 말씀드렸습니다. 기숙사 동으로 바로 들어오자마자 유심카드 구매를 권하는 China Unicom(中国联通)홍보대?가 있는데, 한국어로 된 설명도 있으니 그거 읽어보시고 사면 될 것 같습니다. 번호도 그자리에서 고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선불 유심인데, 저는 150원을 현장에서 지불하면 매달 그 돈에서 28위안씩 빠져나가는 유심을 샀습니다. 중국내통화 120분, 전국 데이터 60GB, 절강성 학교 내 100GB를 매달 받을 수 있는 요금제입니다. 다만 이번에는 이 요금제와 충전 금액 모두에 문제가 있었어서 고생한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전반적으로 China Mobile(中国移动)이 더 잘 되는 것 같았으니, 직접 가격 등을 비교해보시고 고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中国移动도 기숙사 앞에서 홍보 부스를 엽니다.
[报到(Registration)] 준비물: 입학허가서 원본&사본, 여권 첫장&비자 사본, JW202 원본, 증명사진 두 장, 펜
International College(国际教育学院)에서 Registration을 진행하라고 하는 날이 있습니다. 그러면 그날은 가서 작성하라는 서류를 작성하고 제출한 후 학생증까지 만들면 됩니다.
[학교 인터넷 연결] 준비물: 학생증, 돈
절강대학교의 학교 인터넷은 직접 Nano Building(纳米喽)의 해당 사무실에 가서 신청을 해야 합니다. 저는 한달에 10위안을 내는 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속도와 동시 접속 가능 기기 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데, 개인적으로는 10위안 요금제로도 충분했습니다.
[중국 소재 은행 계좌 및 카드 만들기] 준비물: 여권, 학생증 또는 입학허가서 원본
중국의 은행들은 단기(6개월 이하) 교환학생에게 카드를 잘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이번 학기에 절강대학교에서 가능하다고 알려준 곳은 中国邮政储蓄银行(玉泉支行)이었는데, 사람이 너무 몰려서 여기서 모든 사람이 만들긴 힘들었습니다. 같은 은행이어도 지점에 따라 만들어주는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기 때문에 잘 돌아다니면서 알아봐야합니다. 저는 中信银行에서 만들었습니다. 가능하다면 中国银行, 中国工商银行, 中国农业银行, 中国建设银行에서 만드시는 게 학교 안 ATM을 이용하기 편리합니다.
카드를 만들면 알리페이(支付宝)와 위챗페이(微信支付)에 연동해야 중국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결제를 QR코드로 하기 때문에 현금으로 결제를 하려해도 잔돈이 준비가 안 된 곳이 꽤 많습니다. 꼭 카드를 빨리 만들어서 편하게 생활하셨으면 합니다.
[학과 OT 및 개학식]
관리학원의 교환학생 OT와 정규학생을 포함한 모든 절강대 국제학생이 모이는 개학 행사가 있으니 참여하셔야 합니다. 이번 학기에는 개학 행사에 부분 한국어 통역이 있었습니다.
[수강신청] (http://jwbinfosys.zju.edu.cn/)
선착순으로 수강신청 결과가 정해지는 고려대와는 다르게 절강대는 수강신청이 랜덤입니다. 저희는 개강 3일전에 수강신청을 시작했고, 그 신청의 결과는 개강 전날에 나왔습니다. 개강 후에 정정이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는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만, 중국어로 수업을 듣기에 무리가 없을 정도의 중국어 실력이 아니라면 들을 수업의 범위가 넓지 않습니다. ‘教学方法’부분에 全英文이라고 써있으면 영어강의고, 双语라고 써있으면 영어와 중국어를 섞어 쓰는 수업이지만, 보통은 수업은 중국어로 하시고 교과서나 시험은 영어인 경우가 많아서 언어의 사용 범주도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랜덤수강신청이 당황스럽긴 하지만, 소위 말하는 빌넣이 생각보다 수월하기 때문에, 그걸 잘 활용하면 원하는 강의를 들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도세 및 전기세] 준비물: 현금
매달 1일부터 며칠동안 기숙사 프론트에서 수도세와 전기세를 낼 수 있습니다. 수도세는 매달 금액을 알려주시니 사용한 금액대로 내면 됩니다. 전기세는 우선 처음에 낸 100위안에서 차감이 되고 100위안이 다 차감되면 전기가 끊어지므로 미리미리 전기세가 얼마 남았는지 여쭤본 후 부족할 것 같으면 미리 충전해놓으시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