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체험수기
The University of Hong Kong 체험수기 (2014년 2학기 파견)
2013120252 김선주
< 파견 전 지원과정 및 준비 사항>
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이뤄지는 선발과정
파견시기 1학기 전 방학기간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국제실에서 해당학기 파견국과 규모를 발표하고, 선발과정을 거칩니다. 이에 대한 안내사항은 경영대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② 홍콩대학교 교환학생 지원과정
방학이 끝나갈 무렵 선발결과가 발표되는데, 그 이후에 홍콩대학교에 교환학생 지원하는 절차가 남아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선발결과가 발표가 난 이후 3주 동안 아무런 연락이 없어서 직접 국제실을 찾아가보았는데, 이 기간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학교별로는 시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개강하고 한달 이내에 파견교에서 내부지원절차를 알리는 메일이 올 것입니다. 고려대학교의 선발과정에 합격했다고 해서 교환학생이 확정이 된 것이 아니라 다시 한번 파견교의 내부 지원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다만, 국제실 지원과정에서 선발이 되면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선발된 학교로 파견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홍콩대학교의 경우 이 내부 지원절차가 다소 많기에 제가 지원하던 당시의 세부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③ 그 외 준비사항
<홍콩 주거 관련 정보>
기존 체험수기에서 기숙사 선발이 안된 경우는 들어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숙사를 배정 못 받게 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걱정이 많이 되었습니다. 다시금 돌아보면 그 정도로 걱정할 일은 아니었지만, 타지에 홀로 가는 상황에서 숙소를 구하지 못했다는 불안감이 컸던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기숙사를 배정받지 못한 대부분의 교환학생들은 1달 정도 뒤에 다시 기숙사 offer을 받았습니다. 그 중 이미 구해놓은 숙소에서 지내기로 한 사람들도 있고, 이전 숙소를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단기계약기간이 끝나서 기숙사로 이동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홍콩대를 다니는 친구가 있어서 같이 자취방을 구해놓고 출국하였습니다. 그래서 혹여 저와 같은 상황이 생길 경우를 대비하여 홍콩 주거 관련 정보를 적어보았습니다. 기숙사 별로 다르지만 제가 아는 바로는 한 달 기숙사비는 20만원부터 50만원까지 다양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1인 1실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숙사는 lung wah에 있는 신식기숙사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이에 반해 flat sharing을 하거나 rent를 하면 HKD 4000 ~ HKD 8000정도를 잡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도 교환학생들에게 학교측에서 bursary로 저 때는 한 달에 HKD 1500정도를 지원해 주어서 그 부담을 다소 덜 수 있었습니다.
① 홍콩의 전반적인 주거 현황
<수강신청 및 수강과목>
먼저, 강조 드리고 싶은 부분은 Online application때 적는 과목들이 실제 수강신청이 되는 과목들이라는 점입니다. 저도 이걸 간과하고 깊은 고민 없이 과목을 정하고 가서 정정기간 때 수강신청에 애를 먹었습니다. 따라서 미리 심사숙고 후 신청과목을 적어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신청 전 미리 학교 홈페이지에서 선수과목도 확인하시어 reject 당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세요. 홍콩대학은 학기 시작 후 2주 동안 정정기간을 가지는데, 이때 선착순으로 과목을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 신청 뒤 faculty에서 승인을 해야지 수강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어떤 기준으로 approve가 되고 reject가 되는지는 재학생조차 잘 알지 못하므로, 미리 듣고 싶은 과목을 online application제출시 적어내서 혼란을 최소화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아래는 제가 수강한 과목의 후기들 입니다.
① Managerial accounting (BUSI0027)
고려대학교 관리회계와 유사한 과목으로, 홍콩대에서는 Managerial accounting 1과 advanced 과정인 managerial accounting2 과목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수업은 1주일에 2번 교수님 강의와 일주일에 1번의 조교수업으로 이루어져있었으며,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리고 조별과제(발표)로 평가가 이루어졌습니다. 저는 Olivia 교수님께 수업을 들었으며, 매 수업마다 직접 수기로 작성하신 summary까지 제공해주셔서 큰 어려움 없이 수업을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
② Corporate finance
재무관리와 기업재무와 유사한 과목으로, business faculty의 전공필수 과목으로 많은 학생들이 듣는 과목입니다. 수업은 1주일에 2번의 교수님강의와 일주일에 1번의 조교수업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조교수업은 수업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주고 연습문제를 같이 풀어주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홍콩대의 조교수업은 단순히 강의의 보충이라기 보다는 출석체크도 하고 조교님께서 따로 만드신 수업정리내용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할 만큼 유익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대규모로 진행되는 교수님 강의보다는 소규모로 진행되며, 개인적인 지도가 가능한 조교수업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평가방식은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리고 총5번의 조별 연습문제 풀이 과제로 이루어졌습니다.
③ Consumer behavior
앞의 두 수업은 홍콩대학교 전공필수과목인 만큼 현지 학생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Consumer behavior수업은 외국인의 비중이 50%정도 차지했습니다. 기말고사와 하나의 조별과제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조별과제는 하나의 case analysis와 기업의 소비자 인식 개선방안에 대한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 수업은 강의 내용보다는 조별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이 많았던 수업이었습니다. 중간고사가 없는 대신 조별과제의 비중이 높은 만큼 자주 만나서 토의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조원들과의 상호작용이 많았던 수업이었습니다. 다만, 외국인 교환학생 비중이 높은 수업인 만큼 일부 학생들은 성적에 무관심하여 free ride문제를 겪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될 듯 합니다.
④ International business
이 수업은 수강생의 80%가 교환학생이었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International business는 2과목 개설되었는데, 제가 있었던 반은 대부분이 교환학생이고 다른 반은 현지 학생이 대다수라고 들었습니다. 먼저 평가는 중간고사 없이 기말과 조별과제로 이루어지며, 조별과제는 매 수업 Class discussion과 in-class assignment 그리고 한번의 발표 및 레포트가 있었습니다. 교환학생이 많은 만큼 다들 수업 참여도도 높고, 영어도 매우 잘 구사합니다. 그래서 발표하기 주저할 수 있으나, 교수님께서 그런 점은 고려를 해주시고 영어가 유창하지 않아도 교수님께서 원하시는 단어나 핵심어를 끌어낼 수 만 있으면 된다고 봅니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기말고사 때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국제 경영론과 관련된 굵직한 이론이나 사례가 아닌 정말 세세한 부분을 묻는 문제들이었습니다.
<교환생활>
①학교생활
교내 시설 및 프로그램: 교내 시설 및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해보라는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교내에는 Chi wah와 Flora Hall 두 곳에 헬스장이 있는데 학생들이 붐비는 저녁시간 외에는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 학기별로 다양한 스포츠 레슨이 있는데, 일정금액을 지불하면 한 학기 동안 스포츠 강좌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인기강좌는 빠른 시일 내에 마감되니 빨리 신청하세요) 학교에서는 Non Cantonese speaker을 위한 survival 강좌도 시행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인원이 초과해서 신청을 못했지만, 미리 신청해서 듣는다면 홍콩 생활을 좀 더 수월히 하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이외에도 홍콩대 국제처에서 교환학생들을 위한 모임,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교 식당: 교환생활 중 가장 아쉬웠던 부분이 학교 식당이었습니다. 아무래도 현지인의 입맛을 맞춘 음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뭘 먹을까가 큰 고민 중 하나였습니다. 학교에는 대략 10개 정도의 식당이 있는데, 그 중 입맛에 맞는 몇 개 되지 않을 뿐더러, 학교 주변에도 마땅한 식당들이 없었습니다. 물론 음식이 못 먹을 정도로 맛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매일 먹기에는 입맛에 맞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학교 주변 대형마트에 한국음식이 많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가격도 우리나라와 크게 차이 나지 않기 때문에 굳이 한국에서 음식을 들고 오지 않아도 될듯합니다.
② 교외생활
홍콩대 주변환경: 올해부터 HKU MTR이 개통되면서 시내까지 10분이면 갈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비록 제가 교환학생으로 가있을 때는 공사중이라 이용하지 못했지만, 이제 파견가시는 분들은 좀더 교외생활을 즐기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점심시간을 이용해서 홍콩의 중심가인 Central에서 식사를 하고 돌아오셔도 될 만큼 홍콩대는 홍콩 어느 대학보다 지리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심가가 아니라도 학교 주변 Kennedy town 부둣가나 학교랑 이어진 Victoria PeaK도 가끔 가볼 수 있는 좋은 장소입니다.
홍콩 고대교우회: 아마 교환 파견국 중에서 홍콩의 가장 큰 특징은 어느 지역보다 교우회가 활성화되어 있고 교환학생들도 잘 챙겨준다는 점일 것 입니다. 매달 맥주파티에 초대해주셔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시고, 집에도 초대해서 맛있는 음식도 사주실 정도로 타지에 있는 학생들에게 신경을 많이 써주십니다. 덕분에 교환생활을 하면서 다른 곳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것들을 체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맺은말>
체험수기를 적다 보니 제가 그곳에서 경험하고 느끼고 알게 된 내용을 다 담아내지는 못했습니다. 학교에서 보조금 받는 방법 같은 서류과정부터 학교주변 맛집이나 여행하기 좋은 곳까지 세세한 부분을 다 알려드리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입니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전해드리고 싶은 말은 직접 그곳에 가시게 되면 제가 여기에 쓴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경험하고 오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혼자 HKU에 파견되는것이라서 걱정되는 것도 많았지만 막상 홍콩에 도착하고 시간이 지나니 차차 적응을 하고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라도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2013120252 김선주
< 파견 전 지원과정 및 준비 사항>
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이뤄지는 선발과정
파견시기 1학기 전 방학기간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국제실에서 해당학기 파견국과 규모를 발표하고, 선발과정을 거칩니다. 이에 대한 안내사항은 경영대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② 홍콩대학교 교환학생 지원과정
방학이 끝나갈 무렵 선발결과가 발표되는데, 그 이후에 홍콩대학교에 교환학생 지원하는 절차가 남아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선발결과가 발표가 난 이후 3주 동안 아무런 연락이 없어서 직접 국제실을 찾아가보았는데, 이 기간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학교별로는 시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개강하고 한달 이내에 파견교에서 내부지원절차를 알리는 메일이 올 것입니다. 고려대학교의 선발과정에 합격했다고 해서 교환학생이 확정이 된 것이 아니라 다시 한번 파견교의 내부 지원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다만, 국제실 지원과정에서 선발이 되면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선발된 학교로 파견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홍콩대학교의 경우 이 내부 지원절차가 다소 많기에 제가 지원하던 당시의 세부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Online application form 작성하기: 홍콩대학교에서 첫 번째로 오는 이메일에 Online application에 대한 설명이 있을 것입니다. 이 매뉴얼에 따라 Online form을 작성하시고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 Submit the documents: 그 다음 서류들을 준비해야 됩니다. 제가 준비했던 서류들은..
- 영문 제학증명서
- 영문 성적증명서
- Passport 사본
- 토플 사본
- Visa application (이것도 online application이 왔던 메일에 같이 첨부되어 있을 것 입니다. student visa fee payment, application of sponsor of student visa, visa application form 이렇게 3가지를 요구했습니다)
- 잔액 증명서(이전 체험수기에서 잔액증명서를 제출하였다고 하기에 저도 일정액수 이상이 적힌 잔액 증명서를 제출하긴 하였으나, 학교측에서 보내준 메일에서는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서 보내두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거래은행에 방문하시어 영문 잔액 증명서를 요구하시면 됩니다.)
- Receive acceptance letter: 서류가 보내진 후 한달 내지 두 달 사이에 acceptance letter가 도착하고, 국제처에서 연락 받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그 안에 학교 생활을 소개하는 팜플렛이랑 서약서가 들어있습니다.
- Send admission letter/ the notice of administration to CEDAR: acceptance letter을 받고 반드시 해야 되는 것이 그 안에 같이 들어 있던 서류에 서명을 한 뒤 홍콩대 측으로 스캔한 내용을 보내야 됩니다. 이는 본인이 홍콩대에 파견되는 것에 대한 동의를 확인하는 절차이며, 제한 기간안에 하지 못할시에 파견이 취소됨을 간주한다고 적혀져 있었습니다. 그러니 기간 엄수해서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Accommodation admission: 그 다음 과정이 기숙사 신청입니다. 홍콩대에는 in campus 2곳을 포함하여, 학교 근,원거리에 10개 가까이 되는 기숙사가 있습니다. 기숙사의 특성 및 시설은 상이하며 학교측에서 보내신 메일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기숙사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3순위까지 선택할 수 있고, 선착순이라고 공지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정말 선착순으로 진행되는지는 많은 의문이 듭니다. 제가 파견될 당시에는 한국 여러 대학교에서 파견된 한국인 6명 중에서 상위 시설의 기숙사를 처음부터 배정받은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그래도 미리 기숙사에 대해 숙고하시고 신청시간에 맞춰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여태까지의 체험수기에서는 기숙사를 배정받지 못했다는 이야기는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만, 제가 파견되는 시점에 교환학생들이 많아서 그런지 약 100여명 가까이는 배정받지 못했다고 들었습니다. 따라서 혹여라도 저처럼 기숙사를 배정받지 못하신 경우가 있다면 뒤의 주거 관련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Visa 집 우편으로 발송: Visa는 집으로 발송됩니다. 받으신 스티커를 여권 한 면에 붙이면 입국심사할 때 출입국카드를 적지 않으셔도 통과 가능합니다.
③ 그 외 준비사항
- 항공권 예매하기(되도록이면 acceptance letter온 뒤에 바로 구매하시는 게 저렴한 듯 싶습니다.)
- 해외 사용가능한 Credit card 만들기 (홍콩은 대부분 현금으로 결제를 하지만, 여행을 가기 위해 숙소를 잡거나 할 때 Credit card가 필요하기 때문에 만들어 가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 Insurance 신청하기
<홍콩 주거 관련 정보>
기존 체험수기에서 기숙사 선발이 안된 경우는 들어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숙사를 배정 못 받게 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걱정이 많이 되었습니다. 다시금 돌아보면 그 정도로 걱정할 일은 아니었지만, 타지에 홀로 가는 상황에서 숙소를 구하지 못했다는 불안감이 컸던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기숙사를 배정받지 못한 대부분의 교환학생들은 1달 정도 뒤에 다시 기숙사 offer을 받았습니다. 그 중 이미 구해놓은 숙소에서 지내기로 한 사람들도 있고, 이전 숙소를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단기계약기간이 끝나서 기숙사로 이동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홍콩대를 다니는 친구가 있어서 같이 자취방을 구해놓고 출국하였습니다. 그래서 혹여 저와 같은 상황이 생길 경우를 대비하여 홍콩 주거 관련 정보를 적어보았습니다. 기숙사 별로 다르지만 제가 아는 바로는 한 달 기숙사비는 20만원부터 50만원까지 다양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1인 1실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숙사는 lung wah에 있는 신식기숙사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이에 반해 flat sharing을 하거나 rent를 하면 HKD 4000 ~ HKD 8000정도를 잡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도 교환학생들에게 학교측에서 bursary로 저 때는 한 달에 HKD 1500정도를 지원해 주어서 그 부담을 다소 덜 수 있었습니다.
① 홍콩의 전반적인 주거 현황
- 주거 환경에 비해서 주거비가 상당히 비쌉니다. 특히, 중심가(Central)주변의 집값은 더더욱 비싸고, 그다지 주거환경은 좋지 않다는 것은 감안하셔야 될 듯싶습니다.
- 단기간 가능한 주거 형태
- Room sharing / Flat sharing: Room Sharing은 2인 1실, 3인 1실의 형태로 한 방을 같이 share해서 사는 형태입니다. Flat sharing은 room sharing과는 유사한 형태로 다만 1인 1실로 사용하되, 화장실이나 주방은 공동시설로 사용하게 됩니다. 월세는 집의 상태와 위치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대략 HKD4000 ~ HKD8000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I-map: 제가 다니고 있는 홍콩대에서 지원하는 온라인 네트워킹 플랫폼인데, 홍콩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만 이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room sharing을 많이 한다고 들었습니다. 아래는 학교측에서 제공한 설명이며, 학교측에서 받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 an online social networking platform consisting of a public wall and a search engine to help HKU students to find fellow students by interest, talent, nationality, current location and overseas experience, etc. Membership is exclusively for HKU students. With our feature "HK UHome", you can also look for privately rented off campus accommodation and roommate to share the place via this channel. To facilitate your immediate use of iMAP even before you get your HKU email account, you could be assigned a login password with your current non-HKU email account, so that you can get connect with the rest of the University community even before you come. Please visit this website for further information:
- Link: http://w3.cedars.hku.hk/imap/
- Facebook Page: 홍콩에 있는 사람들을 기반으로 Room sharing/ Flat sharing/ Renting 정보가 공유 되고 있는 페이지 입니다.
- I-map: 제가 다니고 있는 홍콩대에서 지원하는 온라인 네트워킹 플랫폼인데, 홍콩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만 이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room sharing을 많이 한다고 들었습니다. 아래는 학교측에서 제공한 설명이며, 학교측에서 받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 Private renting: small flat의 월세는 통상 HKD10000 이상부터 이고, 중개인을 통해서 구해야 됩니다. 또한 대부분 1년 계약이 기본이며, 한달 월세의 반값을 중개 수수료로 지불해야되기 때문에 단기간 체류하시는 것이면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 만약 private renting을 선호하시면 Wing Kong Holdings라고 홍콩대학교에서 알려준 업체가 있습니다. 홍콩대학교와는 official collaboration이 되어있지는 않지만, 학교측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이 업체를 통해서 집을 구했다고 하더군요. 아래 링크에 들어가시면 대략적인 비용이랑 연락처가 나와있습니다.
- Room sharing / Flat sharing: Room Sharing은 2인 1실, 3인 1실의 형태로 한 방을 같이 share해서 사는 형태입니다. Flat sharing은 room sharing과는 유사한 형태로 다만 1인 1실로 사용하되, 화장실이나 주방은 공동시설로 사용하게 됩니다. 월세는 집의 상태와 위치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대략 HKD4000 ~ HKD8000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단기간 가능한 주거 형태
- Budget Hostel and Youth Hostel: 중심가 근처에 있는 호스텔에 장기 투숙할 경우 원래 비용보다는 저렴한 비용에 투숙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나와있는 링크를 통해서 호스텔 쪽과 연락을 취하여 보시는 것이 좋을 듯싶습니다.
- 주거지 선정 시 유의할 점
- 만약 room sharing이나 Flat sharing을 하게 된다면, 반드시 누구와 room share을 하는 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례로 이번 학기 홍콩대로 교환학생을 온 친구 중에는 비싼 돈을 주고 shared room을 구했는데, 막상 집에 들어가보니깐 서양 남자 3명과 같이 살아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당연히 같은 성별끼리 묶어 놓겠지 라고 생각하다간 낭패를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 해외에서 집을 구하는 것보단 홍콩에 들어와서 직접 집을 보고 계약을 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홍콩의 거주 환경은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고, 사진만 보시고 결정하시기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많을 듯 합니다. 가능만 하시다면 호텔이나 호스텔에 단기간 숙박하면서 직접 집을 보고 계약을 하시기 바랍니다.
- 계약 조건 중에서 일부는 계약 기간의 금액을 모두 내고, 다른 사람이 대신 들어오기 전에는 환불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러한 점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단기 체류하시는 경우 이기 때문에 fully furnished인지 half furnished이면 얼마나 가구들이 배치 되어 있는 지도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 위치는 되도록이면 학교주변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Kennedy town이나 Pok fu lam Road 주변에 거주합니다.
<수강신청 및 수강과목>
먼저, 강조 드리고 싶은 부분은 Online application때 적는 과목들이 실제 수강신청이 되는 과목들이라는 점입니다. 저도 이걸 간과하고 깊은 고민 없이 과목을 정하고 가서 정정기간 때 수강신청에 애를 먹었습니다. 따라서 미리 심사숙고 후 신청과목을 적어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신청 전 미리 학교 홈페이지에서 선수과목도 확인하시어 reject 당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세요. 홍콩대학은 학기 시작 후 2주 동안 정정기간을 가지는데, 이때 선착순으로 과목을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 신청 뒤 faculty에서 승인을 해야지 수강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어떤 기준으로 approve가 되고 reject가 되는지는 재학생조차 잘 알지 못하므로, 미리 듣고 싶은 과목을 online application제출시 적어내서 혼란을 최소화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아래는 제가 수강한 과목의 후기들 입니다.
① Managerial accounting (BUSI0027)
고려대학교 관리회계와 유사한 과목으로, 홍콩대에서는 Managerial accounting 1과 advanced 과정인 managerial accounting2 과목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수업은 1주일에 2번 교수님 강의와 일주일에 1번의 조교수업으로 이루어져있었으며,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리고 조별과제(발표)로 평가가 이루어졌습니다. 저는 Olivia 교수님께 수업을 들었으며, 매 수업마다 직접 수기로 작성하신 summary까지 제공해주셔서 큰 어려움 없이 수업을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
② Corporate finance
재무관리와 기업재무와 유사한 과목으로, business faculty의 전공필수 과목으로 많은 학생들이 듣는 과목입니다. 수업은 1주일에 2번의 교수님강의와 일주일에 1번의 조교수업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조교수업은 수업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주고 연습문제를 같이 풀어주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홍콩대의 조교수업은 단순히 강의의 보충이라기 보다는 출석체크도 하고 조교님께서 따로 만드신 수업정리내용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할 만큼 유익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대규모로 진행되는 교수님 강의보다는 소규모로 진행되며, 개인적인 지도가 가능한 조교수업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평가방식은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리고 총5번의 조별 연습문제 풀이 과제로 이루어졌습니다.
③ Consumer behavior
앞의 두 수업은 홍콩대학교 전공필수과목인 만큼 현지 학생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Consumer behavior수업은 외국인의 비중이 50%정도 차지했습니다. 기말고사와 하나의 조별과제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조별과제는 하나의 case analysis와 기업의 소비자 인식 개선방안에 대한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 수업은 강의 내용보다는 조별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이 많았던 수업이었습니다. 중간고사가 없는 대신 조별과제의 비중이 높은 만큼 자주 만나서 토의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조원들과의 상호작용이 많았던 수업이었습니다. 다만, 외국인 교환학생 비중이 높은 수업인 만큼 일부 학생들은 성적에 무관심하여 free ride문제를 겪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될 듯 합니다.
④ International business
이 수업은 수강생의 80%가 교환학생이었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International business는 2과목 개설되었는데, 제가 있었던 반은 대부분이 교환학생이고 다른 반은 현지 학생이 대다수라고 들었습니다. 먼저 평가는 중간고사 없이 기말과 조별과제로 이루어지며, 조별과제는 매 수업 Class discussion과 in-class assignment 그리고 한번의 발표 및 레포트가 있었습니다. 교환학생이 많은 만큼 다들 수업 참여도도 높고, 영어도 매우 잘 구사합니다. 그래서 발표하기 주저할 수 있으나, 교수님께서 그런 점은 고려를 해주시고 영어가 유창하지 않아도 교수님께서 원하시는 단어나 핵심어를 끌어낼 수 만 있으면 된다고 봅니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기말고사 때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국제 경영론과 관련된 굵직한 이론이나 사례가 아닌 정말 세세한 부분을 묻는 문제들이었습니다.
<교환생활>
①학교생활
교내 시설 및 프로그램: 교내 시설 및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해보라는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교내에는 Chi wah와 Flora Hall 두 곳에 헬스장이 있는데 학생들이 붐비는 저녁시간 외에는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 학기별로 다양한 스포츠 레슨이 있는데, 일정금액을 지불하면 한 학기 동안 스포츠 강좌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인기강좌는 빠른 시일 내에 마감되니 빨리 신청하세요) 학교에서는 Non Cantonese speaker을 위한 survival 강좌도 시행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인원이 초과해서 신청을 못했지만, 미리 신청해서 듣는다면 홍콩 생활을 좀 더 수월히 하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이외에도 홍콩대 국제처에서 교환학생들을 위한 모임,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교 식당: 교환생활 중 가장 아쉬웠던 부분이 학교 식당이었습니다. 아무래도 현지인의 입맛을 맞춘 음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뭘 먹을까가 큰 고민 중 하나였습니다. 학교에는 대략 10개 정도의 식당이 있는데, 그 중 입맛에 맞는 몇 개 되지 않을 뿐더러, 학교 주변에도 마땅한 식당들이 없었습니다. 물론 음식이 못 먹을 정도로 맛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매일 먹기에는 입맛에 맞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학교 주변 대형마트에 한국음식이 많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가격도 우리나라와 크게 차이 나지 않기 때문에 굳이 한국에서 음식을 들고 오지 않아도 될듯합니다.
② 교외생활
홍콩대 주변환경: 올해부터 HKU MTR이 개통되면서 시내까지 10분이면 갈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비록 제가 교환학생으로 가있을 때는 공사중이라 이용하지 못했지만, 이제 파견가시는 분들은 좀더 교외생활을 즐기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점심시간을 이용해서 홍콩의 중심가인 Central에서 식사를 하고 돌아오셔도 될 만큼 홍콩대는 홍콩 어느 대학보다 지리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심가가 아니라도 학교 주변 Kennedy town 부둣가나 학교랑 이어진 Victoria PeaK도 가끔 가볼 수 있는 좋은 장소입니다.
홍콩 고대교우회: 아마 교환 파견국 중에서 홍콩의 가장 큰 특징은 어느 지역보다 교우회가 활성화되어 있고 교환학생들도 잘 챙겨준다는 점일 것 입니다. 매달 맥주파티에 초대해주셔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시고, 집에도 초대해서 맛있는 음식도 사주실 정도로 타지에 있는 학생들에게 신경을 많이 써주십니다. 덕분에 교환생활을 하면서 다른 곳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것들을 체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맺은말>
체험수기를 적다 보니 제가 그곳에서 경험하고 느끼고 알게 된 내용을 다 담아내지는 못했습니다. 학교에서 보조금 받는 방법 같은 서류과정부터 학교주변 맛집이나 여행하기 좋은 곳까지 세세한 부분을 다 알려드리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입니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전해드리고 싶은 말은 직접 그곳에 가시게 되면 제가 여기에 쓴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경험하고 오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혼자 HKU에 파견되는것이라서 걱정되는 것도 많았지만 막상 홍콩에 도착하고 시간이 지나니 차차 적응을 하고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라도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