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KUBS 소식

IBRE 논문상 수상 교수 인터뷰 – 김종수 교수

2025.07.15 Views 148 홍보팀

IBRE 논문상 수상 교수 인터뷰 – 김종수 교수

 

 

2025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김종수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논문 「Female Entrepreneurs and International Entry Mode Choice: Evidence from Entrepreneurial Firms in China」(공저: Anthony Kim, L.Q. Wei, G. Zhou.)이 국제 학술지 Journal of World Business에 게재되며 IBRE 논문상을 수상했다. 본 연구는 여성 창업자들이 해외 시장에 진입할 때 정치적 네트워크와 가족의 지원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고위험 진입 방식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정치적 네트워크는 재정적 제약을 극복하며 위험 감수 성향을 강화시키는 반면, 가족의 지원은 재정적 제약이 존재할 경우 위험 감수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Q1. 먼저, IBRE Award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수상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A1. 모교에 부임하자마자 큰 상을 받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번 수상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도 꾸준히 연구를 이어가 더 많은 성과를 내고 싶습니다.

 

Q2. 이번에 수상하신 연구(논문/성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A2. 이번 연구는 여성 창업자들이 해외 시장에 진출할 때 정치적 네트워크와 가족의 지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논문입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여성 창업자들이 남성에 비해 위험(Risk)을 덜 감수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는데요, 본 연구에서는 여성 창업자가 자국 내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네트워크를 갖고 있을 경우,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을 보인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특히 가족이 사업에 참여할 경우에도 위험 감수 성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흥미롭게도, 정치적 지원은 자금이 부족하더라도 위험을 감수하게 만드는 반면, 가족의 지원은 자금이 부족할 경우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Q3. 해당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나 배경에 대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3. 경영학 분야는 오랫동안 남성 CEO 및 창업가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지만, 최근에는 여성 창업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성 창업자들은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펀딩 확보나 위험 감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여성 창업자들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연구입니다. 특히, 정치적 네트워크 구축이나 고위 공직자와의 접촉 기회를 제공하는 것, 혹은 자녀 양육을 병행하는 여성 창업자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어떤 차이를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했습니다.

 

Q4. 이번 연구 성과가 사회나 산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4. 여성 창업의 성공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제도적·사회적으로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를 돌봐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거나, 자녀가 있는 여성 창업자에게는 추가적인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남성을 역차별하려는 것이 아니라, 여성 창업이 기본적으로 불리한 조건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이를 보완하려는 노력입니다.

 

Q5. 앞으로의 연구 계획이나, 특히 관심 있는 연구 주제가 있으시면 소개해 주시겠습니까?
A5. 최근에는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빅데이터’나 ‘인공지능’ 같은 신기술이 젊은 세대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통념이 있지만, 실제로는 풍부한 경험을 가진 고령층이 충분한 데이터가 주어질 경우 더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나이와 기술 수용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도 이어가고 싶습니다.

 

Q6. 학생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A6. 대학원생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좋은 연구는 결국 일상생활에서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도입 초기에 고령자들이 기기 앞에서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며 ‘왜 나이 든 사람들은 신기술에 쉽게 적응하지 못할까?’라는 문제의식을 갖는 것처럼, 주변의 작지만 중요한 현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지인, 또는 본인의 경험에서 출발한 문제의식이 좋은 연구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김종수 교수의 논문 요약본입니다.
「Female entrepreneurs and international entry mode choice : Evidence from entrepreneurial firms in China」 
본 연구는 정치적 참여와 가족 참여라는 두 가지 요인이 여성 창업자들의 해외 시장 진입 방식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있다. 중국의 벤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들 요인과 더 리스크가 높은 진입 방식을 선택하려는 경향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치적 참여가 높은 여성 창업자는 더 높은 리스크를 요구하는 진입 방식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했고 가족의 서포트가 높은 경우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해당 외/내부 요인과 재정적 제약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도 드러났는데, 정치적 참여는 재정적 자원을 보완하여 리스크가 높은 진입 방식을 더욱 가능하게 하며, 반면 가족의 서포트는 재정적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오히려 위험한 투자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창업자들이 의존하는 다양한 자원과 이들이 독립적 또는 상호작용하며 기업의 국제 시장 진입 방식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신흥 경제국에서 여성 창업의 특수한 도전과 국제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