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언론에 비친 KUBS

[미디어펜] 한국 경제 쥐락펴락하는 그룹 총수 55명 살펴보니

2021.04.30 Views 971 경영지원팀

※제목을 클릭하시면 온라인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국내 55개 대기업 집단중 ‘대표이사 회장’ 타이틀을 보유한 총수는 25곳으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55개 총수 친족이 해당 그룹 계열사 주식을 보유한 인원은 6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국내 55개 대기업 집단 총수 현황 분석’을 통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5월 지정한 64개 공시대상 대기업 집단 중 자연인을 동일인으로 지정한 55곳이다. 그룹 및 동일인 현황은 공정위가 관리하는 ‘기업집단포털’을, 그룹 총수의 친족 주식보유 현황 등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 등을 참고했다. 그룹 총수 친족이 보유한 주식은 작년 5월 기준이고, 친족의 범위는 6촌 이내 혈족과 4촌 이내 인척이다. 

 

조사 결과를 살펴 보면 55개 그룹 총수 중 남성은 53명으로 96.4%에 달했다. 여성 총수는 이명희 신세계 회장과 장영신 애경  회장 2명이었다. 장자와 아들 중심으로 경영 승계가 이뤄지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는 것으로 해석됐다.

 

조사 대상 55명 총수의 평균 연령은 67.9세로 파악됐다. 이중 60대가 21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13명), 50대(10명), 80대(9명) 순으로 많았다. 조원태(47) 한진 회장과 구광모(44) LG 회장 두 명은 40대 젊은 총수에 속했다.

 

단일 출생년도 중에서는 1953년생이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박성수 이랜드 회장, 우오현 SM(삼라마이다스) 회장 등이 올해 69세 동갑이다. 1968년생은 4명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김정주 넥슨 대표이사,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 이우현 OCI 부회장이 올해 54세 그룹 수장들이다.

 

55명 중 회장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는 이는 3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명예회장(7명), 부회장(2명), 이사회 의장(2명) 등의 직함을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그룹 계열사 중 한 곳에서라도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총수는 27명으로 조사 대상 55명 중 49%에 그쳤다. 대표이사이면서 회장 직위를 동시에 쓰고 있는 그룹 총수는 25명(45.5%)이었다.


총수를 경영 세대별로 분류해보면 창업 2세 경영자가 22명으로 가장 많았고, 창업 1세대 총수도 20명이나 됐다. 3세 및 4세 경영자는 각각 11명, 2명으로 파악됐다.

그룹 총수들이 나온 대학(학부기준)을 살펴보면 ‘고려대’가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대(11명), 연세대(4명), 건국대·한양대(각 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경영학도’ 출신이 18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경제학(8명), 건축공학(3명) 등으로 파악됐다. 

 

단일 학과별 대학 중에서는 ‘고려대 경영학과’가 그룹 총수의 최고 요람지로 꼽혔다. 55명의 총수 중 10명이나 여기에 포함됐다. 허창수 GS건설 회장,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김윤 삼양 회장, 정몽원 한라 회장, 정몽진 KCC 회장, 두산 박정원 회장 등이 고려대 경영학과 동문이다.

 

이번 조사 대상 55개 그룹 집단 중 6촌 이내 혈족과 4촌 이내 인척을 포함한 총수의 친족등이 해당 그룹 계열사에서 주식을 보유한 인원은 모두 580명으로 집계됐다. 한 개 그룹 당 평균 10명 정도의 친족들이 해당 그룹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넷마블을 비롯해 카카오·네이버·넥슨 등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IT 그룹들은 친족들이 유의미한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적고, 계열사에서 등기임원을 맡는 경우도 다른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아 다른 전통 그룹들처럼 일률적으로 동일한 법을 적용하는 것이 시대 흐름에 부합되는 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 등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 등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맞게 대기업 집단을 관리하는 기준들은 새롭게 재정비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심도 깊게 할 시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