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KUBS 소식
바이브 코딩으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만드는 MVP, 개발자 말라카
“된다던데, 왜 난 안 되지?” 기술 창업자가 마주하는 현실과 해법
생성형 AI와 노코드 툴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기술 기반 창업에 도전하는 이들에게 “코딩 없이도 웹앱을 만들 수 있다”는 메시지는 꽤 매력적으로 들린다. 실제로 다양한 AI 개발 도구들이 등장하며, 기획자나 비개발자도 자신만의 웹앱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실전에 들어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된다던 도구들이 뜻대로 작동하지 않고, 결과는 엉뚱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AI가 시키는 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분명 잘 되던 기능이 갑자기 멈추고, 원하는 기능은 끝내 구현되지 않는다. 결국, “왜 되는 사람은 되는데, 나는 안 될까?”라는 좌절에 마주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러버블(Lovable)이라는 웹앱 실습 특강에서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AI는 그 자체로 마법 같은 능력을 가진 도구지만, 사용자가 구조를 모르고 접근하면 통제 불가능한 ‘드래곤’과 같다. 러버블 강연에서는 이 드래곤을 길들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설계의 힘’이라고 강조한다. 도구를 쓰기 전에 그 도구가 작동하는 논리와 환경을 이해하고 있어야만, 진짜 원하는 결과를 만들 수 있다. 단순히 “이 프롬프트를 쓰면 된다더라”는 방식은 초보자에게 일시적 위안을 줄 수 있지만, 곧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리버블 실습 특강에서는 이러한 설계 기반 접근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도록, 참가자들이 웹으로 간단한 게임을 만들고, 소모임에 가입하거나 직접 모임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까지 직접 구현해 보는 과정을 거쳤다. 단순히 화면을 단드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의 행동 흐름과 데이터 저장 방식까지 설계하고 테스트해보는 실전 중심의 훈련이 진행됐다.
기술 창업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기획자와 개발자 간의 충돌은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다. 기획자는 아이디어 중심으로 사고하고, 개발자는 구조적 가능성을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언어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유저 플로우 기반의 스크린 설계와 데이터 흐름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MVP(최소 기능 제품)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완성도가 아닌 속도다. 와이어프레임 작성, 피그마를 활용한 프로토타이핑, UX 테스트를 통한 반복 개선 과정을 빠르게 실행해야 한다. 이후 유저 데이터 분석과 관리자 기능 구축까지 이어지는 전체 개발 플로우를 경험하면서, 배포 형태에 따른 웹앱 설계 전략까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러버블 프로젝트는 이러한 실전 흐름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이 직접 웹 기반 게임이나 소모임 페이지를 만들면서 데이터 구조와 서버 연동까지 설계·구현해보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단순한 툴 사용을 넘어, AI나 노코드 도구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구조 설계 사고를 훈련하는 과정이며, 결국 고객에게 가치를 얼마나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지가 창업 성공의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