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4월 1일 서울 송파구 신천동 잠실고에서 현대차그룹 인·적성 검사(HMAT)가 열렸다. 사진=이진호 기자
“각국의 보호무역 기조 속에서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을 가질 방안을 서술하시오.”
현대차가 인·적성 검사(HMAT) 역사에세이 문항으로 보호무역주의에 관해 묻는 문제를 냈다. 최근 트럼프 정부가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하는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체 HMAT 난이도에 대해 학생들은 “시중 문제집에 있는 유형과 비슷해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다”고 평했다.
현대차그룹 상반기 신입, 인턴사원 공개채용의 2차 관문인 HMAT가 4월 1일 서울, 부산, 전주 등 전국에서 일제히 시행됐다. 현대차는 대기업 가운데 가장 빨리 인·적성 검사를 시작했다.
올해 상반기 HMAT에는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현대엔지니어링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이 참여했다.
서울 고사장 중 한 곳인 송파구 신천동 잠실고에는 이날 1140명의 응시자가 몰렸다. 현대차는 잠실고 38개 교실을 빌려 한 곳당 30명이 시험을 치르게 했다. HMAT는 모든 그룹사가 같은 날 열려 지원자는 한 계열사만 택해 시험을 응시할 수 있었다.
▲응시생들이 교실안내 배치표 앞에서 본인의 교실을 확인하고 있다.
이날 아침, 수험생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서울 잠실고로 향했다. HMAT에 응시하기 위해 학생들은 아침 8시까지 입실을 완료해야 했다. 진행요원들은 정확히 오전 8시가 되자 철문을 굳게 닫았다. 8시 이후 입실을 차단했기에 뒤늦게 도착하는 이는 없었다.
HMAT는 적성검사와 인성검사, 역사에세이로 나눠 출제된다. 적성검사는 언어이해, 논리판단, 자료해석, 정보추론, 공간지각으로 구성됐다.
▲HMAT를 마치고 나오는 학생들. 이날 시험은 오후 2시 20분에 끝났다.
오후 2시 20분, 시험을 끝낸 응시생들이 일시에 교실에서 몰려나왔다. 잠실고를 벗어나자 일부 학생들은 서로 풀었던 문제를 질문했다. 부모 또는 지인이 승용차로 응시생을 데려가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한쪽에선 전화를 걸어 시험 소감을 전달하는 학생도 있었다.
응시생들은 “자료해석이 가장 어려웠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료해석은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연관성 있는 답을 찾는 문항이 제시됐다. 응시생 중 한 명은 “자동차 산업과 관련된 자료가 제시됐다. 제시된 수치가 어려워 시간이 촉박했다”고 말했다.
자료해석 영역을 제외한 다른 분야에 대해서 응시자들은 평이하다는 반응이었다. 다수의 학생이 문제의 70% 정도 풀었다고 답했다. 김모 씨는 “논리판단은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많아 문제를 모두 풀 수 있는 시간이 모자랐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 HMAT에는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지 않았다. 이모 씨는 “처음 보는 유형의 문제는 없었다. 공간지각 문제가 기존 25문항에서 20문항으로 바뀌었지만, 시간도 줄어 크게 쉬웠다고 체감될 정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시험이 끝난 후 입사지원자들에게 콜라와 밥버거를 제공했다.
올해 역사에세이 주제는 ‘보호무역주의’였다. 과거 고려, 조선 시대가 펼쳤던 쇄국정책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나타내고, 현시점에서 강화되고 있는 보호무역주의와 자동차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500~1000자 내로 쓰는 것이었다.
(이하생략)
보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www.jobnjoy.com/portal/jobnews/major_company_view.jsp?nidx=201337&depth1=1&depth2=1&depth3=2
기사출처: 캠퍼스 잡앤조이, 2017.04.0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