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s
인사담당자들은 잘 쓴 자기소개서는 공통적으로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경험과 지식, 역량을 잘 설명하는 특징이 있다고 답했다.
그럼 잘 쓴 자기소개서는 어떤 공통된 특징이 있을까? 조사결과 인사담당자 과반수이상인 65.7%가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경험과 지식, 역량을 잘 설명한 자기소개서’를 잘 쓴 자기소개서로 꼽았다. 또, ‘입사하려는 의자가 높고 명확한 자기소개서’도 응답률 51.0%로 잘 쓴 유형으로 꼽았다. 그 외에는 ▲구구절절한 설명 없이 핵심만 간결하게 작성한(46.0%) ▲회사와 업계에 대한 이해가 높은(34.3%) ▲지원자 성격의 장단점과 개성이 잘 표현된(31.8%) 자기소개서가 잘 쓴 유형으로 꼽았다.
반대로 못 쓴 자기소개서의 공통된 특징도 짚어냈다. 인사담당자들은 못 쓴 자기소개서는 ‘문장이 산만하고 길어 무엇을 말하려는지 이해가 어려운’(61.1%) 자기소개서가 가장 못 쓴 유형이라 답했다. 이 외에는 ▲지원한 회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해 보이는(48.0%) ▲지원 기업과 직무를 잘 못 쓴(다른 기업과 직무를 쓴_43.4%) 경우를 못 쓴 자기소개서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꼽았다.
이외에도 인사담당자 10명중 8명에 달하는 83.3%는 ‘자기소개서를 검토할 때 진부한 인상을 주는 단어나 문장이 있다’고 답했다. 진부한 인상을 주는 단어나 문장 1위는 ‘성실한’으로 응답률 48.9%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화목한 가정에서 태어나(35.3%) ▲노력하는(33.2%) ▲책임감 있는(23.2%) 순으로 높았다.
변지성 잡코리아 팀장은 “성실함이나 책임감 등의 기본 인성은 지원자에게 기업이 요구하는 기본 덕목이기 때문에 이 점을 강조하는 것은 뽑고 싶은 인재라는 인상을 주지 못한다”면서 “직무 중심 채용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채용하는 직무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추었음을 간결한 문장으로 잘 설명하는 것이 자기소개서 작성 시에는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부내용 및 기업별 정보는 출처 참조
출처: 한국경제, http://goo.gl/j8hzqu
그럼 잘 쓴 자기소개서는 어떤 공통된 특징이 있을까? 조사결과 인사담당자 과반수이상인 65.7%가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경험과 지식, 역량을 잘 설명한 자기소개서’를 잘 쓴 자기소개서로 꼽았다. 또, ‘입사하려는 의자가 높고 명확한 자기소개서’도 응답률 51.0%로 잘 쓴 유형으로 꼽았다. 그 외에는 ▲구구절절한 설명 없이 핵심만 간결하게 작성한(46.0%) ▲회사와 업계에 대한 이해가 높은(34.3%) ▲지원자 성격의 장단점과 개성이 잘 표현된(31.8%) 자기소개서가 잘 쓴 유형으로 꼽았다.
반대로 못 쓴 자기소개서의 공통된 특징도 짚어냈다. 인사담당자들은 못 쓴 자기소개서는 ‘문장이 산만하고 길어 무엇을 말하려는지 이해가 어려운’(61.1%) 자기소개서가 가장 못 쓴 유형이라 답했다. 이 외에는 ▲지원한 회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해 보이는(48.0%) ▲지원 기업과 직무를 잘 못 쓴(다른 기업과 직무를 쓴_43.4%) 경우를 못 쓴 자기소개서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꼽았다.
이외에도 인사담당자 10명중 8명에 달하는 83.3%는 ‘자기소개서를 검토할 때 진부한 인상을 주는 단어나 문장이 있다’고 답했다. 진부한 인상을 주는 단어나 문장 1위는 ‘성실한’으로 응답률 48.9%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화목한 가정에서 태어나(35.3%) ▲노력하는(33.2%) ▲책임감 있는(23.2%) 순으로 높았다.
변지성 잡코리아 팀장은 “성실함이나 책임감 등의 기본 인성은 지원자에게 기업이 요구하는 기본 덕목이기 때문에 이 점을 강조하는 것은 뽑고 싶은 인재라는 인상을 주지 못한다”면서 “직무 중심 채용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채용하는 직무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추었음을 간결한 문장으로 잘 설명하는 것이 자기소개서 작성 시에는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부내용 및 기업별 정보는 출처 참조
출처: 한국경제, http://goo.gl/j8hz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