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s
올해 채용 면접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 중 78.4%가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하세요'라는 질문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면접에 참여한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78.4%가 이같은 질문을 받았다고 답했다.
이 질문에 대한 구직자들의 대응은 지원 경력별로 차이를 보였다. 경력직 구직자들은 마지막 질문을 받았을 때, '채용하는 직무에 대한 질문'(31.1%)을 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출퇴근시간이나 직원 수 등의 '근무여건에 대한 질문'(24.4%)을 했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반면 신입직 구직자들은 '질문은 안하고 자기PR을 더 했다'(41.5%)는 응답자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채용하는 직무에 대한 질문'(25.5%)이나 '근무여건에 대한 질문'(17.0%) '기업문화에 대한 질문'(17.0%)을 했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해미 잡코리아 취업컨설턴트는 '면접에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에 답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직무 관련 질문은 구체적으로 ▲조건과 혜택 때문에 지원했다는 인상을 주지 말 것 ▲회사에 대한 관심을 보일 것 ▲말 뿐인 열정을 보이지 말 것 ▲자기PR도 과유불급 ▲마지막 질문도 센스 있게 등의 조언을 했다.
5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면접에 참여한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78.4%가 이같은 질문을 받았다고 답했다.
이 질문에 대한 구직자들의 대응은 지원 경력별로 차이를 보였다. 경력직 구직자들은 마지막 질문을 받았을 때, '채용하는 직무에 대한 질문'(31.1%)을 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출퇴근시간이나 직원 수 등의 '근무여건에 대한 질문'(24.4%)을 했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반면 신입직 구직자들은 '질문은 안하고 자기PR을 더 했다'(41.5%)는 응답자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채용하는 직무에 대한 질문'(25.5%)이나 '근무여건에 대한 질문'(17.0%) '기업문화에 대한 질문'(17.0%)을 했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해미 잡코리아 취업컨설턴트는 '면접에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에 답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직무 관련 질문은 구체적으로 ▲조건과 혜택 때문에 지원했다는 인상을 주지 말 것 ▲회사에 대한 관심을 보일 것 ▲말 뿐인 열정을 보이지 말 것 ▲자기PR도 과유불급 ▲마지막 질문도 센스 있게 등의 조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