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University of Hong Kong 심성수 2011-2

2012.02.07 Views 2044 경영대학

교환학생 경험 보고서
University of Hong Kong
2011년 9월~12월
심성수


1. 홍콩
1) 언어
중국의 7대방언 중 하나인 광동화(廣東話, Cantonese)가 홍콩인들의 모국어입니다. 한국에서 흔히들 중국어라고 말하는 보통화(普通話, Mandarin)와는 방언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다르고 외국어라고 하기엔 비슷한 면이 꽤 있습니다.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아 대부분의 간판에 영어가 병기되어 있고, 아주 허름한 가게가 아닌 이상 대부분 기본적인 영어는 통합니다. 한편 대륙에서 건너온 이주민들이 많고, 어린 학생들의 경우는 중고등학교 때 보통화가 필수이기 때문에 보통화도 어느 정도 통합니다. 사람마다 영어/보통화 실력이 천차만별이어서, 홍콩의 제2언어를 무엇이라고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2) 교통
MTR(지하철), 버스 등은 어디나 그렇듯이 비슷합니다. 서울에서 보기 힘든 교통수단으로는 페리, 트램, 미니버스가 있습니다. 홍콩 섬에서 2~3HKD 하는 페리를 10분만 타면 침사쵸이(Tsim Sha Tsui 尖沙咀)로 쉽게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 페리들은 홍콩 주위의 작은 섬들 및 마카오까지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트램은 홍콩 섬에 동서로 설치되어 있는데, 2.3 HKD로 가격은 아주 저렴하지만 교통체증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느립니다. 미니버스는 16인승 버스인데, 처음 타보는 사람은 적응이 쉽지 않습니다. 절반 정도는 안내방송/전광판을 갖춘 큰 버스와 달리, 미니버스는 안내방송은커녕 버스 내에 노선도조차 없습니다. 아주 소수의 버스를 제외하고는 벨이 없기 때문에, 홍콩 사람들이 하는 대로 “빠시짬, 음꺼이”(버스를 세워주세요) “야울럭, 음꺼이”(내릴 사람 있어요)를 외쳐야 합니다. 이게 참 재미있습니다. 정해진 정류장이 있지만 “[장소], 음꺼이” 등으로 장소를 말하면 원하는 곳에 내려줍니다. 광동어를 하기 싫다면 “Stop the bus, please” 등 영어로 해도 통합니다. 지하철역이 가깝지 않은 홍콩대 학생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버스를 탈 때는 일반버스든 미니버스든 행선지를 말하면 기사님이 행선지에 따라 요금을 조절해줍니다. 예를 들어 코즈웨이베이 까지 가는 28번 버스를 타고 센트럴로 가려면, 7.5라고 쓰여 있지만 “Central” 또는 “쭝완” 이라고 말하면 5.0으로 내려줍니다.

위에 언급한 교통수단들은 모두 옥토퍼스 카드(Octopus, 八達通, 공항에서 구입, 충전은 옥토퍼스로 물품 구매가 가능한 곳이면 어디나-예를 들어 7-11, ParknShop 등등)로 결제 가능합니다. 옥토퍼스는 교통수단 뿐 아니라, 편의점, 슈퍼, 학교 구내식당 등, 일부 옷가게 등 많은 곳에서 사용 가능하며 동전이 생기지 않아 편리합니다. 다만 이번 학기부터 한 학기 교환학생에게는 학생 옥토퍼스 카드를 만들어주지 않아서, 아쉽게도 MTR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3) 여행
인터넷이나 가이드북 등이 더 상세하고 정확하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a. 홍콩 내
아주 다양한 모습을 갖춘 도시입니다. 복작거리는 도심에서 벗어나 New Territory로 나가면 자연과 산을 즐길 수 있습니다.

b. 근처: 비행기를 타지 않고도 주말을 이용하여 다녀올 수 있는 곳들입니다.
마카오: 썽완(Sheung Wan, 上環)역의 ShunTak Centre에서 페리를 타고 70분 정도 걸립니다. 베이커리에서 시식으로 제공하는 육포와 빵이 맛있습니다. 옥토퍼스 카드는 통하지 않지만 HKD가 통용됩니다. 도박은 적당히! 여권 필수!

심천: 지하철 하늘색 노선을 타고 Hung Hom紅磡에서 Lo Wu羅湖 역으로 가면 됩니다. 중국 관광비자가 없어도 Lo Wu에서 심천전용 5일짜리 비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심천만 방문할 생각이라면 완차이에서 중국 관광비자를 받는것보다 전용비자를 받는 것이 가격도 비슷하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광동성에 속하지만 보통화도 잘 통합니다. 여권과 RMB(인민폐, 대륙 화폐) 필수!

c. 해외
동남아와 남중국이 여러분에게 열려 있습니다.


4) 휴대폰
이 글을 보시는 학우 여러분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유저이고, sim 카드만 바꿔끼우면 될것입니다. 그러나 제 경우엔 한 학기만 쓰려고 Mong Kok의 Ladie’s Market근처 전자상가에서 prepaid 방식의 싸구려 전화를 샀습니다. 통신사에 따라 요금 충전 방식이 다른데, 제가 이용한 smartone 같은 경우는 ATM으로 계좌이체를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5) 교우회
홍콩에는 교환학생들이 많이 옵니다. 이번 학기에 경영대4+본교9=13명(홍콩대, 홍콩중문대, 홍콩과기대, 시티대)이나 왔는데 적은 편이었다고 들었습니다. 홍콩고대교우회는 160여명의 큰 규모를 자랑하며, 예상하셨겠지만 대부분의 선배님들 금융업에 계십니다. 가을 학기는 고연전과 송년회 등 큰 행사가 있어 선배님들을 만날 기회가 더 많다고 합니다.


2. 홍콩대

1) 가기전에 할 일
-이메일 수시로 잘 확인하기
-자기 명의의 “신용카드” 만들기(비자수속 할 때 필요합니다. 체크카드는 안 됩니다.)
-수강 신청
파견 전 학기에 학교의 안내에 따라 수강하고 싶은 과목을 써서 보내면 됩니다. 고급 과목을 수강하려는 경우, 홍콩에 갈 때 업데이트된 성적표를 가지고 가야 합니다.
-기숙사 신청
-거주지 증명 서류(은행 bank statement, 주민등록등본 등- 계좌 계설시 필요)



2) 가서 할 일
기숙사 체크인, 오리엔테이션 참여


3) 수업
홍콩대 6학점인 과목의 경우 고대 4학점으로 변환되는데, 그것은 교수 수업3+조교 튜토리얼1 이 합산되기 때문입니다. 튜토리얼에서는 보통 교수 수업 진도에 맞춘 내용 정리나 문제 풀이를 하며, 과목에 따라 발표나 과제 해설 시간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엘포관 같은 시설을 기대하고 갔다가는 크게 실망할 것입니다. 거의 모든 강의실이 강당형으로 되어 있으며 100년 역사에 걸맞게 대부분 낙후되어 있습니다. 또 가뜩이나 복잡하고 계단이 많은 캠퍼스인데, 같은 과목의 수업 장소가 요일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아서 초반에는 상당히 헷갈립니다. 쉬는 시간도 5분밖에 안되어 교수님께 질문이라도 할라치면 다음 수업 시간을 맞추기가 어렵고, 점심시간은 30분밖에 안되어 구내식당에서 후다닥 먹어야 합니다. 고대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빡빡한듯 합니다.
아래는 제가 들은 수업들입니다.

과목명(학점) 교수 TA 평가방식 평
Management of Commercial Banks (6) Keith, P. Wong Kenneth Chu 문제풀이형 개인과제, 중간∙기말고사 출석 체크도 하지 않고 수업도 지루한 편이어서 출석률이 상당히 저조합니다.
다만 우리 학교에 없는 과목이라 내용은 신선했습니다.

Advanced Corporate Finance (6) Keith P. Wong Margaret Wei 문제풀이형 개인과제, 중간∙기말고사 고대의 기업재무에 해당하는 과목입니다. 위 과목과 같은 교수님이어서 수업 방식이 동일했습니다.

Financial Markets and Institutions (6) Frank, Song Vivian Cheung 수업 내용과 관련된 발표, 튜토리얼 출석, 중간∙기말고사 금융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는 과목입니다. 앞부분은 재무관리와 유사하며 뒷부분은 주로 금융시장과 기구들을 다루었습니다.

Chinese 3501 (6) Y. Y. Chan - 교재로 수업, 받아쓰기, 퀴즈, 구술/필기형 중간∙기말고사 보통화를 잊지 않기 위해 신청한 수업입니다. 선생님은 북경인인데 이것저것 많이 알려주셔서 상당히 유익한 수업이었습니다. 

Cantonese for foreigners 1 (3) W. C. Man - 교재로 수업, 수시 과제, 발표, 필기형 중간∙기말고사 사실 학점인정이라든지 언어의 유용성 면에서는 큰 도움이 안됩니다. (저처럼) 어딜 가든 현지어를 꼭 배워보고 싶다고 생각하고, 보통화를 어느 정도 하고, 외국인 친구를 많이 만나고 싶은 학우분들께 추천합니다.


2) 기숙사

a. Hall
흔히들 기숙사라고 말하는 Hall은 로컬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기숙사내 학생회 및 동아리 활동이 활발하며, 매달 한번씩 High Table Dinner라는 독특한 행사를 합니다. 또 로컬학생들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며 자기들끼리 시끄럽게 놀기 때문에 교환학생들이나 대륙 학생들은 잠드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학교에서 가까운 순서로 나열하면 교내(Swire, Simon K.Y.Lee) / Village 1(Lady Ho Tung, Starr, Ho Tim) / Village 2(Suen Chi Sun, Morrison, Lee Shau Kee; Flora Ho 체육관과 붙어 있음) / Sasoon Road의 Village 3(Lee Hysan, WeiLun, R.C. Lee) 가 있습니다. 저는 Lee Hysan hall에 살았는데 학교까지 30분을 걸어내려갈 수는 없어 셔틀버스를 이용했습니다. Sassoon Road의 기숙사들은 시설이 열악하고 외국학생을 챙겨주는 분위기가 적고, 무엇보다 학교에서 멀기 때문에 기숙사에 지원할 때는 학교에 가까운 쪽으로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 학생들의 경우 자기 의지와 무관하게 Sassoon에 배정된 학생들이 대다수입니다. 그러나 홍콩의 살인적인 방세와, 기숙사는커녕 residence에도 자리를 구하지 못해 고생하다가 학교측 도움으로 겨우 집을 얻은 다른 교환학생들을 생각하며 참았습니다.


Residence
Hall이 아니며 교환학생들을 위한 숙소입니다. 따라서 학생회비니 High Table Dinner fee니 하는 비용이 들지 않아, 숙박비가 Hall보다 학기당 1000HKD 가량 저렴합니다. Flora Ho 에서 조금 내려가면 있는 Pokfield Residence와, Sassoon Road에 있는 Patrick Manson이 있습니다. 시설은 낙후된 편이고 3인 1실인 방도 많습니다. 홍콩대에 교환학생 온 네 명 중 저를 제외한 셋은 모두 residence에 살았습니다.


3) 학교내 시설들
오리엔테이션에 참가하면 학교시설에 대한 안내자료를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기에 나오지 않는 부분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비밀의 방 - Run Run Shaw 빌딩 1층 컴퓨터실 맞은편에 학생증을 찍고 들어갈 수 있는 작은 방이 있습니다. 공부할 자리가 없거나 밤을 새야 할 때 유용합니다.

Canteen - Chong Yuet Ming 4층의 Maxim food 캔틴 가장 안쪽에 들어가면, 11:30부터 점심시간에 양식 세트메뉴를 제공합니다. (식당 밖이 아니라 그 안쪽 카운터에서 직접 계산해야 합니다) 그 식당 중에서는 가장 맛있는 편이었습니다.

보건소 - Meng Wah Complex 2층입니다. 가벼운 병의 경우 여기서 무료로 진료받을 수 있습니다. 저도 한번 가봤는데 의사 선생님이 친절하고 영어도 잘하셔서 좋았습니다.


4) 학교근처 시설들
우체국 - 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우체국은 Sai Ying Pun Post Office입니다.
쇼핑몰 - 서문으로 10분 가량 걸어서 길을 걸어가면 Belcher’s 라는 아파트가 있고, 아래로 향하는 나선형 계단이 있습니다. 끔찍하게 긴 나선형 계단을 내려가다보면 Westwood라는 상가가 있습니다. Wellcome이라는 큰 마트와 Citi은행 ATM 외에도 일본성(생필품 사기 좋은 곳), 7-11, KFC, 아지센 라멘 등이 있습니다.
식당 - 학교 동문으로 나가 Bonham road를 따라가면 맥도날드, 베트남 쌀국수집, 태국 음식점, 義發茶餐聽(yee fat caacaanteng-볶음밥 등 중식 판매, 메뉴판이 모두 한자임) 등이 있습니다.


5) 은행계좌
HSBC - 첫 1년동안 보관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계좌를 열어야 합니다. 통장을 개설할 때는 여권을 가져가야 합니다. 또 기숙사의 주소증명과 한국의 주소증명을 모두 요구합니다. 기숙사비 등 목돈을 낼 때도 유용하고, Citi현금카드만으로 안될 때도 있으니 하나 만들어두면 유용합니다.


3. Sassoon Road(沙宣道)
달동네인 이곳은 겨울이 되면 바닷바람이 기승을 부립니다. 혹시나 이곳의 기숙사/Patrick Manson을 배정받게 되는 학우들을 위해 덧붙입니다.


1) 교통편(노선-목적지)

a. 학교 셔틀버스
기숙사 Ground Floor, 버스 정류장, 학교 포탈에서 시간표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학생 옥토퍼스 카드가 있으면 그것을 찍으면 되지만 아닌 경우 Knowles Building의 Finance and Enterprise Office에서 티켓을 사야 합니다. 차비는 2HKD로 일반 버스나 미니버스보다 절반이상 저렴합니다. 입석은 받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몰리는 시간에는 미리 나가서 줄을 서 있어야 합니다.

b. 기숙사 앞
미니버스: 세 기숙사에서 나와 계단을 내려가면 오른편에 정류장이 보입니다. 여기서 내리려면 “싸쉰도, 야울럭 음꺼이”
8 – 학교, 센트럴 (종점: IFC Mall 아래 터미널)
28 – 학교, 센트럴, 코즈웨이 베이 (종점: Causeway bay 지하철역 남쪽의 Sun Wui Road 新會道) 다만 센트럴 이후에서 너무 돌아가기 때문에, Causeway bay로 가려면 퀸메리병원 반대편 정류장에서 31번 등 다른 버스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c. 퀸메리병원 반대편(센트럴 방향): 굉장히 큰 공립병원이며, 따라서 다니는 버스도 매우 많습니다. 싸순에 사는 학생들에겐 참 고마운 존재라고 하겠습니다. 여기서 내리려면 “말라이(이윈), 야울럭 음꺼이”
미니버스
10 – Causeway bay 지하철역 북쪽의 Jaffe Road
22 – 센트럴
22S – 센트럴 페리. 페리를 타고 침사쵸이로 넘어갈 때 유용합니다. 8번이나 22번을 타면 버스에서 내린 후 상당히 걸어야 하지만 이 노선은 페리 앞에 내려줍니다.
23 – Hau Wo street. Kennedy Town 우체국을 가야 할 일이 있을 때 유용합니다. 또 Hau Wo street 10번지는 그 유명한 3AM 딤섬(Sun Hing Sik Gaa新興食家, 새벽 3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영업)이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31 – Causeway bay 지하철역 북쪽의 Jaffe Road. 24시간 운행.
일반 버스
4X – 페리로 가는 급행 버스입니다.
40(M) – 학교 west gate와 east gate를 모두 지나갑니다. Admiralty나 Wanchai에 갈 때도 유용합니다.
A10 – 싸순에 기숙사 배정받은 학우님들은 학교에서 알려주는대로 AEL을 타지 마시고, 공항에서 30분마다 있는 A10버스를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가격이 48HKD로 훨씬 저렴할뿐더러, 환승할 필요도 없기 때문입니다. 공항까지 한 시간 반 정도 걸립니다.

퀸메리병원(애버딘 방향)
미니버스
10 – Pokfulam도를 따라 병원에서 학교 가는 방향으로 조금 걸어가면, 10번 정류장이 보입니다. 이것을 타면 Stanley Ho 체육관으로 내려갈 수 있습니다.
 

2) 운동

Peak 등산 – The peak로 가는 길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학교 뒷문으로 가는 길, 그리고 Pokfulam Road Reservoir로 가는 길입니다. 후자는 퀸메리 병원에서 학교 반대쪽으로 20여분 걷다 보면 나옵니다.

Stanley Ho sports center –헬스장, 야외수영장 등 설비가 잘 갖춰져 있습니다. Sassoon에 사는 학생들에게는 Flora Ho보다는 가까운 편입니다.


3) 식사
Bay View – Lee Hysan 지하에 있는 식당입니다. 싸지만 별로입니다. Sassoon 기숙사들의 High Table Dinner는 여기서 진행됩니다.
Queen Mary Hospital – K블럭 1층에 있으며, HKU 학생증을 내면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교 Student Union 식당과 같은 회사입니다.


기타
유용한 링크
A10 공항버스 도착시간 알림사이트 http://eta.citybus.com.hk/
교통사이트 http://hketransport.gov.hk/index.aspx?lang=en
포에버홍콩/마카오 http://cafe.naver.com/foreverhk/

* 첨부파일에 사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file

  • 교환학생 경험 보고서_심성수.doc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