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견기간
: 2015.1.2.~2015.5.23.
파견국가 : 홍콩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 The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파견학교 : 홍콩중문대학교
(CUHK)
1. 개요
1963년
10월
17일에 설립된 홍콩의 대학교
. 홍콩대학과 더불어 홍콩에서 잘 나가는 대학교 중 하나. 참고로 홍콩의 고등교육기관 중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학교는 홍콩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홍콩성시대학
, 홍콩침례대학
, 홍콩영남대학
, 홍콩이공대학
, 홍콩과기대학 총
7군데이다
. 위치는 신계지역의
샤틴(沙田, Sha Tin)에 위치
. 학교 바로 앞에
동철선(East Rail Line) 대학역(University)이 위치하고 있다
.
약칭은 중대
(中大)이며 영어로는
CUHK라고 한다
.
2. 역사
1949년
New Asia College 설립
(Sham Shui Po)
1951년
Chung Chi College 설립
(Sheung Wan)
1956년
United College 설립
(Sheung Wan)
1956년
Chung Chi College, 샤틴으로 이주
(현 위치
)
1959년 홍콩 정부가
'중국어로 배우는 대학을 설립하자
'는 취지 발표 및 세 개의 칼리지를 합쳐서 대학을 만들 것을 제안
1963년 홍콩 입법회의 승인으로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설립
1966년 홍콩 최초로 대학원 설립
1971년
United College, 샤틴으로 이주
(현 위치
)
1973년
New Asia College, 샤틴으로 이주
(현 위치
)
1990년
4번째 칼리지인
Shaw College가
Run Run Shaw(런 런 쇼 경
)의 후원으 로 개교
2006년
Morningside College와
S.H.Ho College 설립 발표
2007년
C.W.Chu College, Wu Yee Sun College, Lee Woo Sing College 설립 발표
2010년
Morningside College 및
S.H.Ho College 설립
, 첫 입학
2011년
Lee Woo Sing College 설립
, 첫 입학
2012년
C.W.Chu College, Wu Yee Sun College 설립
, 첫 입학
3. 구성
독특한 구성을 갖고 있는데
, 원래 중문대는
3개
'칼리지
'의 느슨한 연합으로 출발했다
. 현재는
9개의 칼리지가 존재하고
, 각 학생들은 학과보다 본인의 소속 칼리지에 더 애착을 갖고 있다고 한다
. 9개의 칼리지 이름은 다음과 같다
. (설립연도순
)
New Asia College (新亞書院): 홍콩중문대학
산꼭대기에 위치한 칼리지로
, 바다 경치와 전망대 내 분수가 아름답게 어우러진
pavilion이 유명하다
. 주말에 외부인들도 찾는 포토스팟
. Chi'en Mu 도서관이 위치해있다
.
Chung Chi College (崇基書院): MTR 대학역에서 가장 가까운 칼리지. 학생식당 근처에
Elisabeth Luce Moore 도서관이 위치해있다
.
United College (聯合書院): New Asia College 옆의 칼리지
. Japanese Studies 전공과목수업은 주로 이 칼리지에서 진행된다
. Wu Chung Multimedia Library가 위치해있어 영화나 드라마 등 각종 영상물을 자유자재로 시청하거나 대여할 수 있다
.
Shaw College (逸夫書院): New Asia College 못지않게 전망이 좋다
.
Morningside College (晨興書院): Shho College 근처의 칼리지
. 근처에 중문대학교 재학
/졸업자 및 가족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와 레스토랑이 있다
.
S.H.Ho College (善衡書院): MTR 대학역에서 멀지 않고
시설도 깔끔하다
.
Lee Woo Sing College (和聲書院): 공식홈페이지 홍콩중문대학 칼리지 중 유일하게 기숙사 내 냉장고가 제공되는 칼리지
. 친자연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다
.
C.W.Chu College (敬文書院): 경영 및 기타 언어 수업이 자주 진행되는
Yasumoto International Academic Park로부터 가깝다
.
Wu Yee Sun College (伍宜孫書院): Shaw College와
Lee Woo Sing College 사이에 위치한 칼리지
. 학생식당에서 파는 프로즌 요거트가 유명하다
.
4. 캠퍼스
워낙 땅덩어리가 작은 홍콩이기에 다른 대학들은 대부분 오밀조밀 모여 있지만
, 중문대의 경우 크다
! 엄청 크다
! 산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셔틀버스가 없이는 다니기가 힘들다. 셔틀은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 30분경까지. 주말에도 운행한다
.(단
, 주말에는 배차 간격이 넓습니다
, 약
15분
, 단일노선
) 셔틀버스는
2014년 봄 학기 기준으로 평일에 다니는
1A/1B, 2, 3, 4번 노선이 있으며 수업 기간
(학기 시작일
~시험기간 직전
)에는
5~8번 노선이
'Meet Class'버스라고 하여 다닌다
. 6시 반 이후에는
N노선이 다니며
, 월요일에서 토요일에는 위와 같이 운행한다
. 단
, 일요일이나 공휴일에는
H(Holiday) 노선만 운행
.
아래 첨부한 지도를 보시면 각
College의 위치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 까맣게 동그라미 쳐 놓은 부분이
MTR University 역의 위치이고
, 역에서 나가시면 바로 셔틀버스 정류장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 위의 설명에서 보셨듯이
Chung Chi College가
MTR 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요
. Ching Chi College 내에는 약
10개의 중
, 소규모 기숙사 들이 보이는 녹색운동장 주변으로 분포하고 있어요
. S.H.Ho Colle와
Morningside College 도
MTR 역에서 가까운 편에 속합니다
. 중요한 것은 사실상 셔틀버스를 타고 접급할 수 있는
Collge는 앞서 말씀드린
3개가 전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거리상으로 멀기도 하지만 학교가 기본적으로 산 위에 넓게 퍼져있는 캠퍼스 형태라서 걸어가기에는 조금 힘드실 겁니다
.
5. Canteen(교내 식당
)
중문대학교는 홍콩대학교
(HKU)처럼 시내에 위치하지 않고 중심부에 상당히 동떨어진 곳에 있기 때문에 원하던 원치 않던 교내 식당을 자주 이용하실 수밖에 없습니다
. 기숙사 내 공용 부엌에서 요리를 하는 방법 또한 있기는 합니다만
.. 아마 매 번 해드시기는 어려울 겁니다
. 그래서
! 10개도 넘는 교내 식당 중 어떤 곳을 선택할 지에 대한 정보를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Chung Chi College 였기 때문에 위쪽 동네
Canteen은 많이 가보지 못하였습니다
..)
모든 교내 식당들은 아침
/점심
/에프터눈
/저녁을 다 제공하고
, 일반적으로 아침메뉴는 밥이 잘 없습니다
. Noodle이나 딤섬을 파는 경우도 있고 간단한 토스트를 파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에프터눈은 일종의 티타임 같은 개념으로
14시
30분에서
17시
30분 정도까지
(식당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토스트 혹은 핫도그 등 간식 메뉴들을 판매합니다
. 참고적으로 보통
KRW 3,000~6,000 정도면 한 끼 해결 가능합니다
.
1) Chung Chi Canteen
위치 : 지도상
Chung Chi College 글자가 있는 곳 바로 위쪽에 위치
(호수를 바라 보며 운치있는 식사 가능
)
메뉴 :
(1)홍콩식 바비큐 : 모든
Canteen에 있으며
, 밥에 달달한 소스와 바비큐 고기
[종 류는 오리
, 닭
, 돼지
, 소세지 중 선택 가능
]를 얹어 주는 일종의 덮밥
, 가장 저렴한 메뉴이고 고기가 들어있기 떄문에 무난히 잘 질리지 않아요
)
(2)베트남식 쌀국수 : 한국 쌀국수 가게에서 먹는 맛과는 조금 다르고 기름진 편이 지만 저렴하고 먹을 만 합니다
, 이 메뉴 또한 고기 종류 선택이 가능해요
)
(3)Western 패스트푸드
: 폭찹
, 치킨
, 소세지 패티 등을 골라서 밥에 얹어 주고 소스를 얹어 주는 메뉴인데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메뉴는 아닙니다
.
(4)Chinese 패스트푸드 : 말그대로 중국식 패스트 푸드로 쉽게 생각하면 두 세가 지 반찬을 골라서 드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반찬의 종류는 매일 바뀌는데 이 메뉴도 매일 먹기에는 너무 똑같은 맛이에요
.
(5)Made-to-order dish 는 주문을 받고 바로 만들어 주는 메뉴인데
, 흔히 광둥 식 중식당에서 볼 수 있는 메뉴들도 있고 볶음밥
, 볶음면 등이 있습니다
. 종류가 무척 다양하고 그만큼 가격대도 다양합니다
.
전반적으로 무난한 편입니다.
사실상
Canteen들의 메뉴 구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징적인 것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2) S.H.Ho Canteen
위치
: S.H.Ho College 건물 지하
1층에 위치
메뉴
:
(1)홍콩식 바비큐
(2)운난식 ᄊᆞᆯ국수 : 베트남식보다는 조금 매콤한
(?) 편입니다
(3)Chinese 패스트푸드
(4)Western 패스트푸드
: Baked rice(리조또랑 비슷
..?) 등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무난한 편입니다.(같은 교환학생친구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괜찮다는 평 이 많았습니다.)
3) Morningside Canteen
위치
: Morningside College 건물에 위치
메뉴 :
주로 서양식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샐러드를 골라 담아서 사갈 수 있는 샐 러드 바가 있습니다
.
전반적으로 맛없다는 평입니다. 그래서 저는 한 번도 직접 가보지는 않았습니다.
4) Benjamin Franklin 1(좌측
)
위치
: University Library에서 왼쪽으로 내려오면 있음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구글맵으로 보시는 게 빠를 것 같아요
..)
메뉴
:
(1)베트남식 쌀국수
(2)햄버거
, 샌드위치 등
전반적으로 평이 좋습니다.(개인적으로 쌀국수는 Chung Chi 것을 선호해 요)
5) Benjamin Franklin 2(우측
)
위치 :
BF1의 맞으편에 위치
메뉴
:
아마도 가장 다양한 메뉴를 커버하는 식당이라고 생각됩니다
. 한식
, 일식
, 중식
, 서양식 다 팝니다
. 맛은
전반적으로 무난합니다 골라먹는 재미가 잇 어요. 주료 오늘의 메뉴로
DP되어 있는 것이 괜찮았습니다
. 아
! 그리고 여 기 바비큐는 별로였어요 상당히
.
6) Lee Woo Sing
위치
: Lee Woo Sing College 건물에 위치
메뉴 :
양식
, 중식 다양한 메뉴를 팔고
, 교환학생 친구들 사이에서 가장 평가가 좋았던 식당입니다. 다만
, 윗동네에 위치하고 있어서 지리적으로 멀었던 저는 자주 가지는 않았어요
. 학교에 있다보면 아마 그냥 가까운 곳으로 수 렴하게 되실 확률이 높아요
. 사실 맛이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 에
..
이외에도 많은 식당들이 있지만 제가 직접 가본 곳 위주로 평을 작성하였습니다
.
6. 기타 교내 시설
1) 슈퍼마켓
: ParkNShop 이라고 홍콩에서 가장 유명한 대형마트 체인점 중 하나인데
Benjamin Franklin 건물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요
. 규모가 크진 않지만 간단한 생필품 및 식재료는 충당가능한 수준입니다
. 주류도 비교적 다양하게 갖추고 있어요
.
2) GYM : 각
College 별로 건물 내에
GYM이 있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어요
(Chung Chi, I-house). 대부분
University GYM을 이용합니다
. U-GYM은 지도상
Morningside College 오른편에 보이는 운동장에 위치하고 있고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단
, 일요일의 경우는
HK 14 정도 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http://www.cuhk.edu.hk/english/campus/accommodation.html
위 링크를 따라 가시면 학교 내 시설
(facilities)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
7. 가까운 지역 소개
1) Shatin : 본 학교에서 가까운 곳 중에서 가장 번화한 곳입니다
. 쇼핑몰의 규모가 어마어마해서 주말이면 중국인들로 매우 북적 북적거립니다
. 특별한 한국음식을 찾는게 아니라면 거의 모든 음식점부터 옷가게까지 없는 것이 없습니다
. 그리고 처음에 침구류 등 장만을 위한
IKEA 또한
Shatin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또한 가장 가까운
Citi Bank ATM 또한
Shatin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Citi Bank 계좌만들어서 오시는 분들은 여기서 인출하시면 됩니다
.)
2) Taiwai : Shatin은 다양한 사람들로 붐빈다면
, Taiwai은
local 사람들로 붐비는 곳입니다
. 홍콩 현지인들 많이 찾는 숨은 맛집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
3) Tai po Market : Shatin 만큼 큰 규모는 아니지만 소규모의 쇼핑몰이 위치하고 있고 더불어 시장 또한 형성되어 있습니다
.
8. 학업
저는 총 세 과목을 들었고 각 과목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
1)Intro to International Business 國際企業導論: 고려대학교의 국제경영론 전공필수 과목으로 인정 승인을 받은 과목입니다
. David Leung 교수님의 수업을 들었습니다
. 팀플
1회와 기말고사
1번으로 평가가 되었으며
, 중간고사 기간 전에 중국 심천으로 기업 탐방을 다녀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 신청을 받아 견학을 가는 방식이었습니다
. 시험의 난이도가 낮은 편이라서
, 팀플에서 학점이 거의 판가름 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 팀플은 교수님이 선정해주신 기업을 분석해서 발표하는 것이었습니다
.
2)Marketing in China 中國市場營銷: 전공선택으로 인정 승인을 받은 과목입니다
. 중국에 입지하고 있는 다국적기업의 마케팅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이었습니다
. 팀플
1회와 기말고사
1번으로 평가가 되었으며
, 대부분의 수강생이 교환학생이었습니다
. 대부분의 수강생이 교환학생인 만큼
, 수업의 분위기가 여유 있으며
, 팀플을 진행할 시 다국적 친구를 만드는데 용이했던 과목이었습니다
.
3)Fixed Income Securities Analysis 固定收入證券分析: 전공선택으로 인정 승인을 받은 과목입니다
. 채권론 수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채권의 밸류에이션 방법을 배우며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로 평가됩니다
. 중간고사는
100% 객관식이었고
, 기말고사는 주관식의 배점이 높게 출제되었습니다
. 과제는
3회였으나
, 수업을 듣는다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수업이었습니다
.
모든 수업 공통적으로
A 학점을 맡기 위해서는 본교에서 공부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중국학생들은 정말 공부밖에 하지 않고 그 학생들이 거의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 굳이 그들을 한 번 이겨보겠다고 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되겠지만 교환학생으로서만 느낄 수 있는 다른 문화체험
, 놀이
, 여행 등 다양한 체험을 하는 것이 더 유익하지 않을까하는 개인적인 의견을 조심스럽게 제안해보겠습니다
..^^
9. 기타 참고 사항
준비물
: 기본적인 생활용품들은 각자 필요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유용한 팁 위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 1)Adapter(전압 변환기
)의 경우 여행용 변환기
1개를 한국에서 사서 갔었는데 가격이 그리 저렴하지 않았어요
. 한국에서 저렴한 가격에 구할 수 있으시면 좋지만 혹시나
! 못 챙기셨을 경우
Mongkok 역의 전자제품상가 혹은
Ladies Market에만 가도 개당
KRW 1000~1500 사이의 가격에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2)전기담요 : 전기쿠션이나 방석보다 전기담요가 보다 여러모로 유용합니다
. 홍콩은
4계절 모두 더운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12~2월 정도까지는 전기담요를 요긴하게 쓰실 수 있습니다
. 에어컨은 기숙사 방마다 설치되어있지만 난방시설은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죠
. 조금 귀찮더라도 꼭 가져오시는 것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 3) 침구류 등의 기본생활용품 : 특히 베게나 이불같은 경우 부피가 만만치 않아서 고민하시는 경우가 많으실 것 같아요
. 저는 별 고민안하고 와서 사서 써야지하고 생각하긴 했지만
.. 저같은 경우
IKEA에서 베개
, 이불
, 이불 및 베개 덮개
, 옷걸이
, 거울 그리고 추가적으로 샤워용품 정도의 기본적인 것들만 구입했고
KRW 100,000 정도의 금액이 나왔습니다
. 가격을 고려하셔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침구류를 가져올 경우 비행기 탑습 무게제한이 초과되어서 부과될 금액을 생각하면 그냥 와서 사시는 게 여러모로 편하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4)Sim card : 홍콩은 한국과 달리 많은 통신사가 존재합니다
. 기본적으로 편의점 혹은 공항 입국로비에서
Prepaid SIM(말 그대로 선불 심카드
)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통신사를 직접 찾아가서 사셔도 되지만 편의점이 어디나 있으니 더 찾기 쉬울 거에요
. 가서 직원에게
SIM card 달라고 하면 주는데
China mobile 통신사 것이 가장 저렴해요
. 처음 사면
HK 80 정도 하고
, HK 78이 충전되어 있어요
. 3G/4G를 선택할 수 있는데
3G 무제한이
10일에
30불 정도 청구됩니다
. 한 달에 약
KRW 13,000 정도입니다
. 5)입출금계좌 : 저는
Citi은행 카드 한국에서 만들어 와서 사용했어요
. 현지에서 계좌 계설할 수 있기는 한데 절차가 조금 번거롭고
Citi 은행 국제거래 계좌로 거래하면 큰 불편함 없이 쓰실 수 있어요
. 그래도 수수료가 아까우시다면 계좌를 계설해서 사용하셔도 되지만
, 사실 어차피 또 해외계좌로 돈을 받아서 인출하는 것이라면 해외계좌로 이체하는 수수료나
Citi 은행 카드 수수료나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다만
, Citi은행
ATM에서 뽑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기는 해요
. 참고로 가장 가까운
ATM은
Shatin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아래에는 홍콩 주변 여행지 사진 및 간략 설명 첨부하였습니다
.
혹시 궁금한 점 생기시면 메일 주시면 아는 한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